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ASSOCIATED

7월호

전시 <디시전 포리스트>와 <예술과 기술의 실험(E.A.T.): 또 다른 시작>기술과 예술, 그 운명적 만남
기술과 예술의 만남은 ‘운명’일까. 기술이 발달할수록 호기심 많은 예술가들은 기술을 통해 더 자유로운 예술을 꿈꿔왔다. 가끔은 기술 본연의 쓰임새와 무관한 ‘예술적 성취’를 이뤄내기도 한다. 바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감동을 주는 것. 서울 주요 미술관 두 곳에서 예술과 기술의 만남을 주제로 한 전시가 진행 중이다.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은 개관 첫 기획전으로 멕시코 태생 작가 라파엘 로자노헤머의 <디시전 포리스트>(Decision Forest)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는 ‘기술과 예술의 만남’의 시조격인 <예술과 기술의 실험(E.A.T.): 또 다른 시작>전을 개최한다.

기술을 통한 인간과 예술의 상호작용<디시전 포리스트>(Decision Forest) 5. 3~8. 26, 아모레퍼시픽미술관

<디시전 포리스트>는 대규모 인터랙티브 미디어 전시로, 상당히 대중친화적이다. 복잡한 A. I(인공지능) 알고리즘보다 키네틱 조각, 생체 측정 설치작품, 카메라, 사운드 환경, 프로젝터를 활용하는 등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작업을 통해 관객을 끌어들이고, 그들의 참여로 전시를 완성한다.
미술관 입구로 들어서면 지름 3m의 거대한 3D 원형 조각 <블루선>과 가장 먼저 만난다. 태양을 표현한 <블루선>은 작가가 10년간 미 항공우주국(NASA)과 협업해 만든 작품이다. 태양광선이 가시광선 스펙트럼에선 파랑에 가깝다는 것에서 출발했다. 지하 전시장의 첫 작품은 <샌드박스>다. 미국 LA의 산타 모니카 해변에서 진행한 공공 프로젝트로, 거대한 인공 해변에서 관람객들이 서로 어우러지며 한바탕 ‘놀이’를 즐긴다. 공간을 함께 점유하고 서로 연결되고 바라보고 함께 있다는 경험을 주고자 했다.
초음파 분무기를 사용한 분수 <페어아이들리엄>(Pareidolium)도 눈길을 끈다. 수백 개의 초음파 분무기가 차가운 증기를 내뿜는데, 관객이 이 물속을 들여다보면 앞의 카메라가 작동, 관객의 얼굴 이미지를 추출해 증기로 그려낸다. 관객이 물속을 들여다보지 않으면 완성될 수 없는 작품이다. 그런가 하면 <줌 파빌리온>(Zoom Pavilion)은 얼굴 인식과 형태 감지 알고리즘을 사용, 참여자들의 모습과 전시공간에서의 이들의 관계를 기록한다. 카메라가 감시의 용도가 아닌 인간관계를 측정하는 기술로 쓰였다.
전시의 하이라이트인 마지막 작품 <펄스 룸>(Pulse Room)은 인간의 심장박동을 빛과 소리로 변환한 작업이다. 전시장 한편의 센서 스틱을 잡으면 관객의 심장박동을 측정하고, 그 박동에 맞춰 백열전구가 반짝인다. 260개의 백열전구는 260명의 데이터를 기록, 동시에 저마다의 리듬으로 고동친다.
로자노헤머는 “이전까지 관객들이 어떤 작품을 보고 영감을 받았다면 최근의 예술은 예술이 관객을 바라보고 이야기를 듣고 감시하며 어떤 행동을 하도록 한다”며 “이것이 예술의 흐름”이라고 했다. 기술을 통해 인간과 예술이 비로소 상호작용하게 됐음을 시사한다.

관련된 이미지

1 라파엘 로자노헤머 <블루선>(Blue Sun), LED 배턴, 알루미늄 및 나무프레임, 컴퓨터, 태양 교류 방정식, 오픈프레임웍스, d3 프로그래밍, 지름 300cm, 2018. (사진 제공 연합뉴스)

2 로버트 라우센버그 <트레이서>(Tracer), 자전거 바퀴와 금속판, 전기 모터, 목재에 플렉시글라스, 69.90×57.20×15.20cm, 1962, 페이스 갤러리 서울 소장.

3 백남준 <자석 TV>(Magnet TV), TV 수상기, 자석, 50×90×120cm, 1965(1995 재제작),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융복합 예술의 가능성 <예술과 기술의 실험(E.A.T.): 또 다른 시작> 5. 26~9. 16,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선도한 협업체 ‘E.A.T.’(Experiments in Art and Technology)가 한국에서 처음 소개된다. 국립현대미술관은 1960년대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했던 예술가와 공학자의 협업체 ‘E.A.T.’의 주요 활동을 조명한다. 전시에는 로버트 라우센버그, 앤디 워홀, 머스 커닝햄, 존 케이지, 로버트 휘트먼 등 E.A.T.를 이끈 현대미술 거장들의 작품 33점과 아카이브 100여 점이 소개된다.
E.A.T.는 1966년 미국의 팝아트 작가 로버트 라우센버그와 로버트 휘트먼, 벨 연구소의 공학자 빌리 클뤼버와 프레드 팔트하우어 등 예술가와 공학자가 예술과 기술 간의 협업을 모색하기 위해 만든 단체다. 한때 회원이 6,000명까지 늘어나며 예술계에 돌풍을 일으키기도 했다.
‘협업의 시대’, ‘E.A.T.의 설립’, ‘아홉 번의 밤:연극과 공학’, ‘확장된 상호작용’ 등 총 4개 섹션으로 이루어진 전시는 E.A.T.의 탄생부터 현재까지의 역사를 총망라한다. 특히 두 번째 섹션인 ‘E.A.T.의 설립’에서는 그들의 활약상을 자세히 소개한다. 냉각 장치를 갖춘 스테인리스 테이블 위에 놓인 얼음이 녹고 얼기를 반복하는 한스 하케의 <아이스 테이블>(1967), 레이저 기술을 활용한 로버트 휘트먼의 <붉은 직선>(1967) 등이 관객의 시선을 붙잡는다. 가장 인상적인 작품은 장 뒤피의 <심장 박동 먼지: 원뿔형의 피라미드>다. 관람객의 심장박동을 청진기로 포착, 그 박동에 따라 먼지처럼 쌓인 붉은 안료가 고동친다. 붉은 피가 용솟음치는 것 같은 이 작품은 1968년 뒤피가 공학자 랠프 마르텔과 협업한 결과물이다.
50년 전의 ‘낡은’ 기술을 활용한 작품이 현대의 관객에게도 울림을 주는 건 E.A.T.가 추구했던 기술의 도움을 받아 더욱 진보할 현대사회에 대한 기대감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E.A.T.가 추구했던 가치의 중심엔 기술이 대체할 수 없는 인간, 그들의 협업을 통해 이뤄질 신세계에 대한 비전이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융복합 예술의 가능성을 성찰해볼 수 있는 자리다.

글 이한빛 헤럴드경제신문 기자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