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ASSOCIATED

7월호

남북정상회담과 ‘미술 정치’역사적 순간에 그림이 있었다
지난 6월 12일 싱가포르 센토사섬 카펠라호텔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 북한 인공기와 미국 성조기 앞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악수를 하며 새 시대를 기약했다. 국기(國旗)는 미국이 북한을 정상 국가로 승인한다는 상징적 의미를 지녀 화제가 됐다. 이 역사적인 회담의 씨앗이 된 남북정상회담, 그때의 배경은 국기가 아니라 그림이었다. 한국에서 북한 인공기 게양은 국가보안법 위반이다. 그래서 청와대는 지난 4월 27일 판문점 남측 통일의집 곳곳을 의미 있는 그림으로 장식하는 ‘미술 정치’로 회담 분위기를 띄웠다. 남북정상회담에 앞서 기자들에게 주요 미술품 선정 배경을 설명할 정도로 미술품 선택과 배치에 신경을 썼다. 정상회담에 걸린 미술품들은 ‘환영과 배려, 평화와 소망’을 주제로 선정됐다.

관련이미지

1 민정기 화백의 <북한산> 앞에 선 남북 정상. (사진 제공 매일경제신문)

남북정상회담의 숨은 공신이 된 작품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그림을 화제로 대화를 나누면서 어색함을 풀었다. 아름다운 한반도 산하를 담은 화폭은 기념촬영 배경으로도 나무랄 데 없었고 평화와 통일에 대한 기대감을 키웠다. 그림이 남북정상회담 성공의 숨은 공신이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특히 당시 김 위원장은 평화의집 1층에 들어서자마자 민정기 화백의 청록빛 산수화 <북한산>에 관심을 보이며 “이건 어떤 기법으로 그린 겁니까?”라고 질문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서양화인데 우리 동양적 기법으로 그린 겁니다”라고 답했다. 정확한 설명이었다. 민 화백이 2007년 그린 <북한산>은 서양 재료인 유화물감을 사용했지만 전통 한국화의 붓놀림과 구도, 채색 등을 활용했다. 가로 452.5cm, 높이 264.5cm에 달하는 대작이다.
남북 정상은 이 그림 앞에서 악수하면서 기념촬영을 했다. 청와대는 역사상 처음으로 남한 땅을 밟는 북측 최고 지도자를 서울 명산으로 초대한다는 의미로 이 작품을 선택했다. 서울에 있는 산이지만 이름은 ‘북한산’이라는 점도 고려했다고 한다.
조선 진경산수화의 재해석에 몰두해온 민 화백은 장쾌한 북한산 산세를 화폭에 펼쳤다. 지도 제작자에 가까울 정도로 지형 등을 상세하게 묘사했다. 동시에 눈에 보이는 세계 너머의 것들을 함께 표현했다. 경기도 양평군에 살고 있는 그는 전문가와 함께 북한산을 두 달 넘게 답사해 그림을 완성했다.
남북 정상은 평화의집 2층 회담장에 걸린 신장식 국민대 교수의 대작 <상팔담에서 본 금강산> 앞에서도 악수를 하면서 기념촬영을 했다. 남북 화해와 협력의 상징인 북한 금강산을 회담장 안으로 들여 이번 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소망했다. 이 작품은 가로 681cm, 세로 181cm에 달하는 푸른빛 화폭에 북한 금강산의 절경을 담았다. 신 교수는 수묵화의 선(線)과 민화의 색채, 현대 풍경화의 감각을 융합해 표현했다. 2001년 직접 금강산에 가서 상팔담을 스케치하고 사진 2,000장을 찍은 후 혼신을 다해 완성한 이 작품을 작업실에 고이 간직해왔다고 한다.
회담장 입구 양쪽에는 이숙자 작가의 <청맥, 노란 유채꽃>과 <보랏빛 엉겅퀴>가 배치됐다. 한반도 보리밭 풍경을 담은 두 작품은 강인한 생명력을 지닌 우리 민족을 의미한다.
환담장 뒷벽에는 김중만 작가의 훈민정음 작품 <천년의 동행, 그 시작>이 걸렸다. 세종대왕기념관이 소장한 <여초 김응현의 훈민정음>을 재해석한 이 작품은 남북한이 공유하는 한글이라는 소재를 통해 남북이 한민족임을 강조했다. 국민의 평안과 태평성대를 꿈꿨던 세종대왕의 정신을 남북 지도자에게 당부하기 위해 김정숙 여사가 골랐다고 한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에게 이 작품을 설명하며 두 정상의 이름 첫 글자 ‘ㅁ’과 ‘ㄱ’을 각각 푸른색과 붉은색으로 특별히 표시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웃으면서 “세부에까지 마음을 썼다”고 화답했다.
문 대통령은 환담장 앞에 걸린 박대성 화백의 백두산 장백폭포와 제주 성산일출봉 그림을 가리키며 “왼쪽에는 장백폭포, 오른쪽엔 성산일출봉 그림이 있다”고 소개했다. 또 “북측을 통해 꼭 백두산에 가보고 싶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우리도 준비해서 대통령께서 오시면 편히 모실 수 있게 하겠다”고 약속했다.

동선에 따라 상징적인 그림 배치

두 정상이 회포를 푼 연회장에는 신태수 작가의<두무진에서 장산곶>을 전시했다. 북한과 마주한 서해 최북단 백령도 두무진과 북한 황해남도 장산곶을 그린 작품이다. 연평해전 등 남북 간 무력 충돌이 벌어진 서해를 ‘평화의 보금자리’로 만들자는 뜻을 담았다.
전반적으로 두 정상의 동선에 따라 회담 장소 분위기에 맞는 그림을 상징적으로 잘 배치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면서도 이념이 배제된 풍경화는 탁월한 선택이었다. 시선을 압도하는 아름다운 대작으로 회담장을 환하게 만들었다. 또한 회화와 판화, 사진 등 다양한 장르를 골라 다채롭게 연출했다. 마지막 야간 환송행사에서는 평화의집 건물 자체를 스크린으로 삼아 레이저를 쏘는 미4디어 파사드로 피날레를 장식했다.
작가들도 성공적인 남북정상회담의 배경으로 자신의 작품이 선택된 데 고무됐다. 신장식 교수는 “내 그림 앞에서 두 정상이 악수한 후 한반도의 평화와 희망이 더 커지고 밝은 미래가 왔으면 좋겠다. 앞으로 자유롭게 금강산에 가서 그림을 그리면서 한민족의 기운을 느꼈으면 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민정기 화백 역시 “내 그림이 한반도 평화를 선언한 남북정상회담 현장의 한 장면이 되어 화가로서 큰 보람을 느꼈다”며 “남북 화가들의 교류도 활발해져 북한 땅을 자유롭게 밟고 싶다”고 기대했다.

관련이미지

2 신장식 교수의 <상팔담에서 본 금강산>.

3 김중만 작가의 <천년의 동행, 그 시작>.

4 신태수 작가의 <두무진에서 장산곶>.

글 전지현 매일경제신문 기자
사진 제공 청와대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