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COLUMN

10월호

시인 문동만의 우이동에서의 몇 년마음속 고향, 되돌아가고 싶은 시간
문동만 시인은 가족들과 함께 우이동에서 여러 해를 보냈다. 자연과 어우러진 우이동은 그에게 있어 고향과 같은 곳이다. 고향이란 태어났거나 오래 산 곳이 아니라, 바로 지금 되돌아가고 싶은 추억의 시간을 간직한 곳이므로….

서울 단상 관련 이미지

우이동에 마련한 생애 첫 집

이 인근을 사방으로 터를 잡은 지 20여 년 가까이 되어간다. 수도권 도시에서 10년 넘게 살다 처가가 가까운 수유리 작은 빌라로 이사를 왔다. 여기서 둘째아이 돌을 치르고 딸아이는 어린이집을 가고 첫 차인 중고 프라이드를 샀다. 백운빌라라는 이름의 16평 작은 집에서 우리 식구 넷과 거처가 마땅치 않은 형과 막내누이가 몇 해를 같이 살기도 했다. 형제들이 거처를 옮기자 나는 자꾸만 주저앉는 방바닥과 찢어진 장판이 거슬렸다. “장판이라도 바꿉시다. 세상은 못 바꾸고 있지만.” 아내는 왜 셋집에 돈을 들이냐고 했다. 나는 한 번 꽂히면 갈 데까지 가봐야 하는 성격이었는지, 자꾸만 집을 보러 다녔다. 시골 출신인 나는 가까운 우이동이 끌렸고 최대한 조용하고 자연적인 곳을 찾았다. 거기에 작은 빌라를 우여곡절 끝에 장만하게 되었다. 생애 첫 집이었는데 반은 대출을 꼈다.
이사를 하니 좋았다. 집은 한쪽이 사선이어서 반듯하지 않았다. 그 이유로 싼 편이었지만, 신혼부부가 사는 아랫집에서는 뭔가 알 수 없는 재즈풍의 음악과 기이한 소리들로 잠을 어지럽혔지만, 창을 열면 족히 100년도 넘었을 떡갈나무와 껍질 붉은 소나무가 다정한 숲을 이루고 까치와 까마귀가 어울려 공평한 아점을 먹는 것도 볼 수 있었다. 노래를 불러도 되는 단골 술집도 있었다. 그러나 내가 좋아하는 마지막 술집들은 늘 사라지곤 했다. 옆집에서는 큰 개를 키웠는데 시도 때도 없이 짖었다. 어느 날 새벽잠을 이룰 수 없었고 말리는 아내를 뒤로 밀치며 따지러 갔다. “잠 좀 잡시다. 제발!” “개가 그러는 걸 우리가 어떻게 해요?” “그럼 개가 당신들 주인입니까?” 잠결과 술김은 제정신이 아니라는 점에서 똑같았고 마침내 경찰차가 왔다. 그 후에도 개가 짖었는지 어쨌는지 기억은 없다. 거기서 깨달은 건 조용한 곳에선 작은 소음도 거대하다는 것쯤.
어느 해 겨울, 눈이 많이 왔다. 나는 어디서 비료포대를 구해 아이 둘을 태우고 동네를 한 바퀴 돌았다. 동네 사람 하나가 “이렇게 눈을 다져놓으면 온 동네가 다 빙판길 됩니다. 아이고, 진짜…”라고 했다. 그렇다고 포기하면 촌놈일 수 없었다. 비료포대를 들고 지금은 둘레길이 된 경사진 산길에다 다시 썰매장을 만들어 놀았다.
거름기 없는 화단이었지만 상추와 들깨를 심을 수 있었다. 자연이 곁에 있으면 내가 작은 뭐라도 자연일 수 없을까 이런 생각을 하게 되는 것 같았다. 도선사와 소귀천 쪽에서 흘러 내려오는 제법 큰 계곡은 물이 넉넉해서 여름이면 어디 갈 것도 없었다. 물을 좋아하던 아들은 늘 젖어서 들어왔다.

고향처럼 떠나지 못하고 당신들을 떠나지 못하고

그렇게 여러 해를 살았던 모양이다. 단점이라면 4호선 수유역까지 가는 거리와 시간이 만만치 않다는 것. 경전철은 생긴다고 하는데 어느 세월일지. (이 글을 탈고할 쯤 전철이 개통되는 아이러니라니.) 또 사정이 생겨 아랫동네 쌍문동에서 몇 년, 재 넘어 쌍문동에서 몇 년을 이사 다니며 장인 장모님과 함께 살았다. 아이들은 여기를 고향같이 느끼는 것 같았고 큰애는 아내가 결혼했던 나이가 되었고 기어 다니던 아들은 주민등록증이 나왔다. 거기서 아버지보다 더 정들었던 장인이 돌아가셨다. 벚꽃이 날릴 때는 쌍문동에서 우이동으로 넘어가는 언덕길에서 빨간 자전거를 탄 그이의 뒷모습을 신기루처럼 만나곤 하였다. 작년에 집 주인이 집이 팔렸다고 다시금 불가피하게 들어간 곳이 우이동 집이었는데… 40년도 넘은 웃풍 센 벽돌집, 길쭉한 연립 가운데에 얕은 벽을 쳐두고 지붕이 서로 뚫린 집, 옆집에서 소곤거리는 소리도 다 들리고 화장실도 하나여서 정신이 없는, 그 집에 들어가 페인트를 칠하고 반 평짜리 텃밭을 만들어 석류나무와 노랑장미를 심었다. 작년 여름엔 아내와 산책하는데 봉황각 돌담 앞에 멧돼지 박제 같은 게 보이는 것이었다. “어라 왜 저기에 멧돼지 박제를 세워놨지? 무슨 종교적 의미인가?” 그렇게 얘기하고 있는 찰나, 아내가 갑자기 “움직여! 움직여!”라고 외쳤다. 우리는 진짜 멧돼지를 본 것이었다.
그리고 거기서 어떤 인연 하나를 만났으니 바로 강아지였다. 2개월밖에 안 된 녀석을 보는 순간, 오래 본 필연처럼 나는 두 말도 하지 않고 품에 안았다. 나는 녀석을 가랑이에 앉혀 집에 데려왔다. 식구들은 상의도 없이 사고 친 나를 기가 차다는 듯 바라봤지만 초롱초롱한 강아지를 보는 순간 하나같이 식구라고 불렀다. 우리는 강아지 덕에 좀 더 웃을 수 있었고 소소하게 싸웠고 자연히 외식을 줄였다. 생명관이 조금 바뀐 것 같기도 하다. 나는 언제나 준비 없이 아버지가 되었고 또 이번에도 준비 없이 곁을 들였다. 그러나 마음보다 큰 곁이 있으랴 믿지 않으면 내가 미워진다. 그 동네도 털리고 짓는 집들이 늘어나기 시작했고 우리는 또 눈 내리는 날 이사를 해야 했다.
얼음이 녹고 봄이 되자 마침내 집들이 사라져 있었다. 다닥다닥 빌라를 짓는다고 했다. 석류나무와 노랑장미는 어디로 갔을까. 별을 보며 이를 닦던 수돗가는 어떤 수맥 속에 묻혔을까. 손때 묻은 시간들은 떠나 돌아오지 않았고 나는 출입금지 펜스가 둘러쳐진 집터를 바라보다 눈시울이 붉어졌다. 오래 살았다고 고향은 아니더라. 가서도 되돌아가고 싶은 시간이 고향이더라. 그러나 어떤 회한도 격정도 졸아들고 엷어진다는 걸 안다. 다행히 우리는 멀리 가지 않았다. 우이천 맑은 물을 아랫녘에서 다시 만나고 있다. 흐르는 물을 보며 상류에서 살던 한 시절을 생각하고 발을 적신다. 사람들은 누구나 불가나 물가로 모여들어 살려고 한다. 큰물에 쓰러졌던 갈대는 다시 일어나 뻣뻣이 푸르게 서 있다. 텃새가 된 원앙도 청둥오리도 짝을 지어 떠나지 않고 있다. 잉어는 꼭 떼로 몰려다니며 한 우주를 이룬다. 피라미, 버들치는 너무 많아서 물이 줄어들지 않기를 바랄 뿐. 다들 떠났거나 떠나지 않았으므로 우리도 여기서 산다. 고향처럼 떠나지 못하고 당신을 떠나지 못하고, 곁과 곁으로 붙어서.

글 문동만_ 시인. 시집으로 <그네> 등이 있다. 산은 바라보는 걸 좋아하고 물가는 거니는 걸 좋아하고 나무 같은 사람들과 술 먹는 걸 가장 좋아한다.
그림 박수정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