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COLUMN

6월호

촛불 시민과 진보언론의 갈등에 대하여 광화문 민주주의 2교시
광화문 촛불은 민주주의의 학교였다. 그리고 대선은 촛불의 마침표였다. 지난 6개월여 동안 촛불은 단호하게 ‘직접민주정치’를 집행했다. 일종의 ‘국민 계엄’인 셈이다. 촛불은 문재인이라는 대변자를 당선시키고, ‘간접 민주정치’로 되돌리는 일종의 권력 이양 과정을 완성한 뒤 일상으로 되돌아갈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국민들은 아직 촛불을 놓지 않았다.

고재열의 썰 관련 이미지

안심하고 일상으로 돌아갈 시간이 아니라는 것이다. 대선까지 정치권에 꼼수 부리지 말고 ‘국민의 명령’을 따르라고 밀어붙였던 촛불이 요즘 주목하는 곳은 진보언론이다. 진보언론이 감시자의 역할을 하더라도 문재인정부가 성공할 수 있도록 너무 가혹한 비판의 칼날을 들이대지 말아달라는 것이다. 진보언론에 대한 촛불의 문제의식은 노무현정부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노 전 대통령이 자살에 이르는데 진보언론의 거친 공격도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진보언론과 관련해 몇 가지 사건이 있었다. 대통령이 밥을 ‘퍼서’ 먹었다고 묘사했다며, 대통령 부인을 ‘여사’라고 부르지 않고 ‘씨’라고 표기했다며, 문재인 대통령 지지자를 ‘문빠’라고 부르며 비아냥거렸다며, 촛불은 진보언론을 맹비난했다. 이에 대한 옳고 그름을 논하는 논쟁이 치열하게 벌어졌는데 여기에서는 시시비비를 가리기보다 이를 하나의 현상으로 보려 한다. 그리고 이 현상이 말하는 바를 읽어 보려고 한다.

고재열의 썰 관련 이미지

촛불 1교시, 광화문정치

촛불 시민과 진보언론의 갈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촛불 1교시인 ‘광화문정치’를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에 100만 명의 촛불 시민이 운집한 것은 ‘여의도정치’라는 간접민주정 치에 대한 부도 선언이었다. 분노한 국민들은 촛불을 들고 변형된 형식의 직접민주정치를 구현했다. 당시 촛불은 투표만큼 강력한 정치적 위력을 보여주었다.
정치에서 중요한 것은 구도다. 그리고 구도의 핵심은 대립이다. 촛불 정국은 광화문정치(촛불)와 여의도정치의 대립이었다. 단순히 정당과 정당의 대립이 아니었다. 광화문정치와 여의도정치의 대립은 직 접민주정치와 간접민주정치의 대립이었다. 국민과 박근혜 대통령의 대립은 촛불 민심과 정치인의 정치와의 대립으로 바뀌었다.
광화문정치는 여의도정치를 압도했다. 결정은 국민이 하고 정치인들은 국민의 명령을 따르기만 하면 된다는 것이 촛불의 명령이었다. 여기서 조금이라도 이탈하면 바로 뭇매를 맞았다. 국민의당이 탄핵 표결을 지연시켰다가 맹폭당한 것이 대표적이다. 의원 한 명당 수천건의 문자를 받을 만큼 비난이 빗발쳤다.
광화문정치가 여의도정치를 압도하는 결정적 장면은 200여만 명의 촛불이 운집한 12월 3일 6차 촛불집회다. 박근혜 대통령이 3차 담화에서 조건부 퇴진을 내걸자 새누리당 비박계가 흔들렸고, 국민의당 은 탄핵 표결을 지연시켰다. 탄핵이 부결되고 정계 개편과 개헌이 부상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왔다. 그런데 광화문정치가 분노를 드러내자 여의도정치는 바로 엎드렸다.
탄핵 표결 후 촛불은 잦아들었다. 하지만 위세는 그대로였다. 촛불은 촛불 혁명을 완성할 사람으로 문재인 후보를 낙점했다. 그리고 위협적인 도전자가 나타날 때마다 결집해서 그를 지켜주었다. 반기문, 황교안, 안철수, 홍준표 등이 작은 바람을 일으켰지만 이내 수그러들었다. 개헌 카드도, 제3지대라는 환상도 먹히지 않았다. 어떤 변수가 생겨도 결론은 ‘문재인 결집’이었다.
그렇게 문재인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고 촛불 1교시가 마무리되었다. 이 1교시를 보면 2교시의 이상 과열 현상을 이해할 수 있다. 국민은 단순히 문재인을 좋아한 것이 아니라 촛불 혁명을 완수할 인물로 문재인을 필요로 했다. 그 필요성은 당선이 된 후에도 이어진다.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으로 인해 무너진 상식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지지자에서 지탱자로

‘국민 계엄’이 연장된 이유 중의 하나는 여소야대 정국이라는 것도 영향이 크다. 촛불은 문재인 대통령을 거대 야권이 흔들 것이라고 걱정한다. 이런 상황에서 진보언론까지 공세를 취할 경우 문재인정부가 제대로 자리를 잡지 못하고 개혁을 추진할 동력을 잃게 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그래서 스스로를 ‘지지자’에서 ‘지탱자’로 역할을 바꾸었다.
촛불이 대의민주주의를 불신하고 언론의 역할을 인정하지 않는 모습이 일종의 강박처럼 보일 수 있다. 제도에 대한 촛불 시민의 불신은 상당하다. 실제로 그런 사례가 발견된 경우가 없는데, 투표용지의 후보별 기표란이 붙어 있었다는 사람이 부지기수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믿지 못해서 사전투표를 하지 않았다는 사람도 많다.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으로 인한 트라우마다.
하지만 촛불은 명예롭게 혁명을 완결지었다. 국정조사에서 특검까지, 탄핵 표결에서 탄핵 인용까지, 박근혜 전 대통령 수사에서 구속 영장 청구까지 법과 제도적 절차에 따라 평화적으로 진행되었다. 인수위도 없이 급하게 개혁과제를 수행 중인 문재인정부가 안착하게 되면 2교시의 과열 양상도 진정될 것이다. 그때가 되면 언론의 역할도 인정해줄 것으로 믿는다.

글 고재열_ 시사IN 편집기획팀장
사진 제공 한겨레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