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ASSOCIATED

11월호

김영란법으로 직격탄 맞은 공연계 오페라·클래식음악, 존폐 위기에 놓였다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일명 김영란법) 시행으로 오페라·클래식·뮤지컬 등 대형 공연이 의도치 않게 직격탄을 맞았다. 기업 후원과 단체 관람권 구매가 줄어들면서 공연계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진 것. 공연계는 5만 원 이하 ‘김영란 티켓’을 내놓는 등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현 상황으로는 해답이 ‘없다’.

“김영란법으로 인한 불똥이 엉뚱한 곳으로 튄 것 같습니다. 기업들이 몸을 사리느라 움직이질 않고 있어요.”
민간 오페라단인 라벨라오페라단 이강호 단장의 말이다. 김영란법 때문에 지금 오페라계는 거의 ‘초상집’ 분위기다.
오페라와 해외 오케스트라 내한 공연 같은 대형 공연의 경우, 기업 후원과 단체 관람권 구매가 적게는 20%에서 많게는 5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수익의 상당 부분을 메워왔다. 그런데 공연 관람권이 대체로 5만 원을 훌쩍 넘는 고가이기 때문에, 초대권을 선물용으로 사용하던 기업들이 움츠리게 된 것이다.
이 때문에 당장 올가을 공연을 앞둔 몇몇 민간단체는 공연을 보류하는 등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1년 전에 후원 기업을 찾아야 하는 클래식공연 기획사들도 내년 굵직한 오케스트라 내한 공연을 성사시킬 수 있을지 불투명한 현실에서 속만 태우고 있다. 몇몇 대형 뮤지컬의 경우에는 이미 기업 티켓 구매량이 눈에 띄게 줄어든 형편이다. 안 그래도 오랜 불경기로 인해 힘들었던 공연계가 김영란법으로 일부 ‘존폐’ 위기에 놓인 것이다.

이슈&토픽 관련 이미지1 공연기획사 빈체로는 큰 손해를 예상하면서도 12월 예정한 지휘 거장 마리스 얀손스 내한 공연 티켓 가격을 파격적으로 낮췄다.

이슈&토픽 관련 이미지2 지난 10월 무대에 오른 국립오페라단 오페라 <토스카>의 한 장면.

고육책으로 5만 원 이하 ‘김영란 티켓’ 내놓아

이러한 가운데 공연계에서는 ‘고육지책’으로 5만 원 이하의 ‘김영란 티켓’을 선보이기도 했다. 클래식음악 공연기획사 빈체로는 오는 12월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리는 지휘 거장 마리스 얀손스와 독일 바이에른 방송교향악단 내한 공연의 티켓 가격을 2만5,000원으로 낮췄다. 콘서트홀 2, 3층 전체를 최하등급인 C석(2만5,000원)으로 조정한 것이다. 이는 빈체로 측이 상당한 손해를 예상하면서도, 기업 협찬·후원에 지장이 생기지않게 하기 위해 일단 선택한 방법이다.
앞서 김영란법 시행 바로 다음 날인 9월 29일 개막한 전주세계소리축제는 개막공연 티켓 값을 내리고 모든 공연비를 1만~2만 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초대권 발행과 리셉션도 모두 없앴다. 서울의 한 공연장도 김영란법 시행 직후 열린 공연에서 초대권용 좌석을 확보하기 위해 최저가인 3만~4만 원 좌석 비율을 소폭 늘렸다.
이러한 움직임을 두고 공연계에 거품이 빠지고 있다는 긍정적 시각도 있다. 하지만 공연예술 전반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더욱 크다. 또한 5만 원 이하 초대권 규정을 ‘프레스 티켓’에 일괄 적용하는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티켓가가 5만 원이 훌쩍 넘는 공연이 수두룩한데, 소극장 연극 등을 제외한 대형 공연의 경우 직접 티켓을 사서 취재해야 하는 기자도, 홍보를 해야 하는 기획사 측도 난감한 상황이다.
한 공연 전문 기자는 “프레스콜이나 리허설을 통해 보는 공연은 완성도가 떨어지고 공연의 3요소 중 하나인 관객 반응을 살필 수 없다”며 “단지 공연을 즐기러 가는 것이 아니라 취재를 하러 가는 것인데 티켓이 제공되지 않는 것은 부당한 처사”라고 밝혔다.

김영란법이 문화접대비 제도에 반하는 법 될 수도

정부는 그간 기업의 문화 소비 활성화를 적극 장려해왔다. 문화 체육관광부는 2007년부터 기업이 거래처 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접대비를 세법상 비용으로 인정해줬다. 문화접대비란 기업이 거래처 접대를 위해 공연이나 스포츠·전시회 관람 등으로 사용한 비용을 말한다. 정부는 건전한 접대 문화 조성과 문화 분야 신규 수요 창출을 위해 문화접대비 제도를 시행했다. 하지만 김영란법 시행으로 기업들의 문화접대비 지출이 대폭 줄어들게 생겼다. 한 공연 관계자는 “김영란법이 의도와는 다르게 문화접대비 제도에 반대되는 법이 돼버린 셈”이라며 “이로 인해 정부가 추구하는 문화융성은 더욱 멀어질 수도 있다”고 했다.
사실 그간 문화접대비 비중은 정말 미미한 정도로 낮은 편이었다. 지난 5년간 기업 접대비 중 문화접대비 비중은 0.1%에도 미치지 못했다. 심재철 국회부의장이 최근 국세청이 제출한 ‘법인접대비 및 문화접대비 신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5년간 법인 접대비는 45조4,357억 원인 반면 문화접대비는 277억 원에 불과했다. 그런데 이제는 이마저 불투명해진 현실이다.
일부에서는 공연계의 어려움이 김영란법 시행으로 인한 일시적 현상이며 장기적으로는 더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거라고 봤다. 하지만 지금 상황이 지속된다면 내년부터 당장 해외 스타 아티스트나 유수 오케스트라의 내한 공연은 보기 힘들어질 수 있다는 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기업 협찬이 줄어들면 관객 부담 비용이 오히려 늘어날 수 있다는 예상이다.
손수연 음악평론가는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문화계 전반에 삭풍이 몰아칠 것”이라며 “특히 오페라처럼 제작비가 많이 드는 공연예술은 저변 확대는커녕 존폐 기로에 서게 된다”고 말했다. 손 평론가는 “기업의 문화 접대에 한해 선물 상한액을 높이는 방법이나, 공연계 특수성에 맞는 시행령 개정 등이 시급히 논의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문화+서울

글 전혜원
아시아투데이 기자
사진 제공 빈체로, 국립오페라단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