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ASSOCIATED

7월호

책 <그녀 이름은>과 <여신을 찾아서>지금, 여기의 페미니즘을 말하다
최근 페미니즘은 ‘가장 핫한 아이템’이 됐다. 그동안 어처구니없게도 ‘커밍아웃’의 범주에 속할 만큼 따가운 시선을 받았지만, 미투 운동이 확산되면서 반전을 맞았다. 가수 겸 배우 수지를 비롯해 AOA의 설현, 에이핑크의 손나은 등이 페미니즘을 지지했으며, 여성단체 활동가들이 여성의 가슴을 음란물로 규정해 일방적으로 게시물을 삭제한 페이스북코리아에 대한 반발의 의미로 상의 탈의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출판업계에서도 페미니즘 관련 도서의 판매량이 2018년 1월부터 5월 말까지 전년 동기 대비 121.5%가량 급증하는 등 화두가 됐다. 이런 열풍 속에 올해 출간된 페미니즘 관련 도서 2권을 선택해 소개한다. <그녀 이름은>과 <여신을 찾아서>다.

그녀이름은

또 다른 ‘김지영’들<그녀 이름은> 조남주 지음, 다산책방

지난해 <82년생 김지영>으로 베스트셀러 작가에 이름을 올린 조남주의 신작이다. 조 작가가 2016년 12월부터 1년간 60여 명의 여성을 인터뷰해 <경향신문>에 연재한 르포 기사 중 28편을 묶어 소설집으로 출간했다. <그녀 이름은>에는 <82년생 김지영>에 나온 수많은 김지영이 각기 다른 모습과 사연으로 우리 사회의 여성 문제를 이야기한다. 조 작가 특유의 건조하고 간결한 문체는 여성이기 때문에 겪어야 했던 가슴 아픈 사연들을 오히려 더욱 쓰라리게 전달하는 훌륭한 도구다. 특별한 관계가 되고 싶다는 상사의 요구를 거절해 회사에서 ‘왕따’가 된 여성, 여전히 외로운 투쟁을 벌이고 있는 KTX 여승무원들 등의 이야기가 담겼다. 우리 주변에서 계속해서 벌어지고 있으며 이미 수없이 들어왔지만 ‘가슴이 딱딱해지지 않아’ 여전히 이들의 아픔에 공감할 수밖에 없는 이야기들이 건조한 문체를 통해 더욱 절절하게 전달된다.
현실적인 이슈뿐만 아니라 걸그룹을 좋아하는 주경의 이야기를 그린 <그녀에게>에서는 남성 중심 사회가 요구하는 여성상을 꼬집는다. 주경은 걸그룹 멤버 ‘원’을 좋아하는데, 입을 가리지 않고 웃고, 예능 프로그램에서 남자 출연자 중 이상형을 꼽아달라는 질문에 “없다”라고 단호하게 대답하는 등 걸크러시 면모가 마음에 들었기 때문이다. <그녀에게>의 하이라이트는 컴백 방송에 출연한 원에게 사회자가 “애교 한 번 가야죠”라고 하자 이를 보던 주경이 눈을 감고 “애교 하지 마, 애교 따위 엿이나 먹으라지”라며 강요된 여성성인 애교에 원이 응할까봐 몸서리를 치는 장면이다. 여성에게, 특히 걸그룹에게 필수인 애교가 그저 학습된 여성성이기에 이를 거절하는 의지를 보여준다.
<그녀 이름은>의 에필로그, <78년생 J>의 마지막 문장이 인상 깊다. “책임지는 어른이 되고 싶다.” 수많은 김지영의 삶을 옮기면서 그들의 문제를 해결해주지 못해 가슴 아파하는, 작가의 진심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여신을 찾아서

페미니스트의 여신 답사기<여신을 찾아서> 김신명숙 지음, 판미동

이 책은 1997년에 발간된 한국 최초의 페미니즘 잡지 <이프>의 편집인이었으며, <나쁜 여자가 성공한다>, <미스코리아 대회를 폭파하라!> 등을 펴내며 한국 페미니즘을 주도한 김신명숙이 썼다. 10년간의 그리스 크레타섬 여신(女神) 순례를 비롯해 제주도, 지리산, 경주 등을 돌며 국내외 다양한 여신 문화를 담아낸 ‘여신 답사기’다. ‘여신’이라고 하면 흔히 아름다움이 강조되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여자’ 신을 떠올리지만, 그가 재발견한 한국의 여신은 ‘남신’과 동등한 권력을 가진 당당한 주체들이다.
특히 그는 우리 역사 중 선덕·진덕·진성여왕 등 여왕이 3명이나 있었던 신라사에 주목하며, 수수께끼 같은 역사가 많은 신라사를 여성과 여신의 시각으로 바라보면 의문점이 상당 부분 풀린다고 주장한다. 3명의 여왕, 첨성대와 포석정의 정체, 금관과 금허리띠의 상징 등 신라사에는 유난히 수수께끼가 많다. 왕의 무덤에서는 금동관이 나온 반면 왕비의 무덤에서는 화려하기 그지없는 금관이 나온 점, 화랑 이전의 원화(화랑의 전신으로 귀족 출신의 여성 2명을 뽑아 단체의 우두머리로 삼고 300여 명의 젊은이를 거느리게 한 제도) 등이 지금도 논쟁거리로 남은 것은 신라의 역사를 남성 중심적으로만 조명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외에도 마고할미, 설뭉대할망, 바리데기 등 강렬한 한국 여신의 전통을 탐구하며, 영화 <아바타>와 소설 <다빈치 코드> 등 대중문화가 불러낸 여신 신앙, ‘풍요의 여신 가믄장아기’, ‘살림정신을 구현한 만덕’, ‘화가 천경자의 수호신 뱀’ 등 흥미롭고 매력적인 이야기들이 판타지처럼 펼쳐진다.

글 연승 서울경제신문 기자
사진 제공 다산책방, 판미동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