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ASSOCIATED

12월호

음악 전문 서점 ‘라이너 노트’ 책으로 만나는 음악, 함께 듣는 공간
최근 2~3년 사이 서울을 비롯한 지역 곳곳에 작은 서점이 여럿 생겨났다. 마치 약속이라도 한 듯 앞서거니 뒤서거니 서점들이 문을 여는 것이 유행처럼 보이기도 한다. 유행하는 것이 서점이라면, ‘책’을 공통분모로 하는 공간이라면 환영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이들은 저마다 조금씩 다른 개성과 방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봄에는 음악 서점이 생겼다. 5월에 연남동의 호젓한 골목에 간판을 내건 곳의 이름은 ‘라이너 노트’다.

음악을 책으로 알릴 수 있다면

‘라이너 노트(liner note)’는 음악이나 뮤지션에 대한 해설을 뜻하는 말로 보통 레코드 재킷이나 속지에 적혀 있는 글을 일컫는다. ‘음악에 대해 글로 풀어낸 가이드’라는 뜻에서 음악 서점과도 제법 잘 어울리는 이름이다. 이 공간을 운영하는 곳은 기획사 ‘페이지터너’.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와 공연 기획?마케팅을 하는 곳으로 피아니스트 임인건, 베이시스트 이원술, 뉴에이지 피아니트스 성현 등이 소속돼 있다. 지난해 봄에 페이지터너가 연남동의 한 주택에 둥지를 틀면서 건물 한 켠의 창고로 쓰이던 공간을 직접 리모델링해 서점을 열었다.
“원래는 건물의 주차장 자리였는데 1년 동안 지켜보니 창고로 쓰기에는 아깝더라고요. 아티스트를 관리하는 입장에서 이들이 설 수 있는 무대가 많지 않다 보니 우리가 이곳을 ‘마이크로시어터’로 만들면 좋겠다고 생각했죠. 앨범이 나오면 팝업스토어로 활용할 수도 있고요. 그러다 대표님과 저 둘 다 책을 좋아하니, 음악을 알릴 수 있는 매개체가 공연이나 음반 외에 글, 책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서점을 열게 됐어요.”
페이지터너의 박미리새 이사는 패션 홍보마케팅 분야에서 10년 정도 일하다가 음악 신(scene)으로 넘어왔다. 원래 음악을 두루 좋아했기에 음악 제작과 유통을 배워가면서 좋은 음악에 좋은 옷을 입히는 지금의 일은 또 다른 즐거움을 준다고. 이에 더해 “책을 읽고 내용에 깊이 들어가 음악을 듣다 보면 귀가 더 열리는 느낌”이라며 글이 음악의 좋은 매개가 될 수 있다고 이야기했다.
라이너 노트의 공간은 넓지 않다. 한쪽 벽면과 서점 중앙의 테이블은 책의 자리, 공간 안쪽은 피아노 등 악기의 자리다. 구분 지을 것 없이 그 자체로 ‘음악의 자리’인 서점은 일주일에 한 번 공연장이 된다. 수용할 수 있는 관객은 15명, 많아야 18명 정도. 무대와 객석의 구분이 거의 없는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연주를 들을 기회는 흔치 않다. 아티스트의 호흡과 표정을 느낄 수 있는 이 공연의 이름은 ‘손 내밀면 닿을 듯한’이다.

공간, 공감 관련 이미지라이너 노트의 내부. 책방은 종종 공연장 등 다른 공간으로 변신하기도 한다.

음악을 만지고 책을 듣는 공간

‘음악 서점’이라고 하면 고개를 갸웃할 사람도 있겠지만 음악 책은 그 종류와 양이 무척 방대하다. 음악 장르의 다양성×책 종류의 다양성을 헤아리거나 수많은 아티스트의 전기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떠올리면 조금 짐작이 갈 수 있을 것이다. 라이너 노트는 작은 규모 안에서 음악의 즐거움을 접할 수 있는 책을 장르 구분없이 가능하면 골고루 소개하려고 한다. 아티스트의 전기와 음악 장르의 역사를 다룬 책,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에세이, 이론서와 에세이의 중간 정도에 있는 인문서도 있다. 몇몇 책에는 서점의 운영진이 직접 추천 글을 써 만든 띠지가 예쁘게 둘러 있다.
“손님이 오시면 음악을 좋아하는 분인지 여쭤보고 평전이나 에세이 종류를 권해드리곤 해요. 무라카미 하루키의 책이 잘 나가는 편이죠. <의미가 없다면 스윙은 없다> 같은 책은 클래식과 대중음악을 고루 다루면서 어렵지 않게 잘 읽히는 책이라 권해드리기도 하고요. 띠지를 입힌 책은 거의 다 나가는 것 같아요(웃음).”
사실 서점으로 문을 열었지만 본디 역할이 무엇이든 공간을 하나 마련한다는 것은 제법 큰 의미가 될 수 있다. 이 한적한 골목까지 사람들이 찾아오게 하는 좋은 ‘구실’이 되기 때문이다. 아는 뮤지션들은 이곳에 들러 연습하다 가는 등 이 공간을 통해 음악을 매개로 한 만남이 전보다 더 자주 이루어진다고 박미리새 이사는 전했다.
책 저자의 강연도 종종 열린다. 지난 10월에는 <한국재즈 100년사>를 낸 저자 박성건 평론가의 강연이 진행됐는데, 강연 중간 중간에 저자가 직접 골라온 재즈 앨범들을 함께 들을 때엔 공연과는 다른 묘한 감동이 있었다고. 관객이 함께 LP를 직접 만져보고 음반과 음악의 질감을 공유하며 이야기 나누는 것은 흔한 경험이 아니다. 요즘은 많은 이가 스마트폰 등 혼자 들을 수 있는 작은 매체를 통해 음악을 듣는다. 특정 ‘음반’을 ‘함께’ 듣는 일은 생각보다 귀한 일이 된 것이다.
사람들이 책을 읽지 않는다는데, 책이 중심이나 주변이 되는 공간은 왜 이렇게 많이 생기는 것일까. 어쩌면 그 공간에서 책이 읽히거나 팔리는 것 외에 다양한 일이 일어나기를 바라기 때문은 아닐까. 라이너 노트 역시 그곳에서 음악과 책에 관한 크고 작은 일이 다양하게 시도될 수 있기에 운영진도 서점을 아끼는 이의 행복도 조금 더 충만해질 수 있으리라 짐작해본다. ‘이 공간에서 꼭 해보고 싶은 일’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박미리새 이사는 두 가지를 이야기했다.
“‘서점을 빌려드립니다’라는, 공간을 개방하는 이벤트를 해보고 싶어요. 책을 좋아해서 작은 모임을 여는 분이 많을 텐데 그런 분들께 라이너 노트의 공간을 빌려드리는 것이죠. 다른 하나는 한국 1세대 재즈 뮤지션인 박성연 선생님과 ‘야누스’에 대한 전시예요. 야누스는 선생님께서 1978년부터 2013년까지 운영한 재즈클럽인데, 거의 매달 열린 정기연주회 자료를 다 모아두셨더라고요. 그 자료를 저희가 보관하고 있어요. 선생님과 야누스는 한국 재즈의 역사 자체이기 때문에 기회가 닿는다면 이곳에서 소개하고 싶습니다.”문화+서울

글 이아림
사진 제공 라이너 노트
www.linernote.co.kr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