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ASSOCIATED

7월호

아파트먼트 프란츠클래식 음악에 가까워지는 실용적이고 흥미로운 방법
출판사 ‘프란츠’에서 기획한 ‘아파트먼트 프란츠’는 완전히 오픈된 공간도, 완전히 닫혀 있는 공간도 아니다. 입장 인원이 한정돼 있는 데다 행사가 있을 때만 외부에 공개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 한 가지는 확실하다. 그곳을 다녀간 사람이라면 누구든 그 공간이 선사한 따뜻하고 고풍스러운 여운을 기억할 것임을.
관련이미지

출판사 사무실 겸 모임 공간으로 사용되는 아파트먼트 프란츠의 내부 공간

책을 읽고 나서도 내용이 너무 좋아서 같은 감정을 느낀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은 마음에 들뜨거나, 저자의 머릿속이 궁금해져 저자를 만나지 않고는 못 배길 정도가 됐다면, 당신은 그 책과 사랑에 빠진 것이다. 음악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미 죽은 지 오래된 음악가는 지금 어떻게 만나볼 수 있을까? 일단은 가지고 있는 기기를 통해 음악을 열심히 들어보고, 시중에 나와 있는 관련 책을 찾아 읽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멈추지 않는 이들은 그의 음악을 나만큼 좋아하는 사람들과 직접 만나서 이야기를 나누고 그 음악가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서 그의 흔적과 발자취를 배워간다.
출판사 프란츠의 김동연 대표는 바이올린을 전공한 사람이다. 바이올린을 가르치는 일을 지금까지도 이어가는 그녀는 자신이 바이올린을 시작했을 때 사용한 교본이 지금까지도 교재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에 답답함을 느꼈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맞는 방식과 곡들로 이루어진 클래식 음악 책이 필요했다. 그녀가 ‘프란츠’라는 이름의 출판사를 차리기 전에도 몇 권의 바이올린 교본을 낸 까닭이다.
그녀는 작곡가 ‘프란츠 슈베르트’의 이름을 따서 출판사 ‘프란츠’를 만들었다. “왜 슈베르트냐”라는 물음에, 김동연 대표는 슈베르트 말고도 위대한 작곡가는 많지만, 그의 음악은 지금 들어도 충분히 ‘세련되다’는 점에 매력을 느꼈다고 답했다. 2017년 봄에 첫 책이 나왔고, 같은 해 여름 발간한 클래식 음악 관련 철학 책 《음악 혐오》는 독자들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았다. 최근에는 《스타인웨이 만들기》라는, 명품 수제 브랜드 피아노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한 책을 출간했다. ‘음악’에 대한 책이라면 무릇 책 디자인 또한 아름다워야 한다는 대표의 신념처럼, 프란츠의 책은 한권 한권이 시각적 만족감을 준다. 주로 클래식 음악을 좋아하거나, 기본적으로 음악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꾸준하게 출판사 프란츠의 책을 찾고 있다.
그 이름에 ‘아파트먼트’를 붙인 ‘아파트먼트 프란츠’가 작년 10월 문을 열었다. 김 대표는 음악과 관련된 책들을 출간하면서, 이 책이 독자의 손에 간 ‘다음’이 궁금했다고 이 공간을 기획한 이유를 밝혔다. 책을 출간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음악을 틀고 감상하면서, 함께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고.

관련이미지

출판사 프란츠에서 출간한 책이 진열돼 있는 입구

같은 책을 읽은 이후, 같은 음악을 들은 이후를 공유하는 시간

군더더기 없이 널찍하고 쾌적한 아파트먼트 프란츠는, 김동연 대표의 취향이 묻어 있는 곳이다. 큼지막한 액자로 걸려 있는 슈베르트의 아르페지오네 소나타 악보, 평소에 영감을 받는 디자이너의 친필 편지가 눈에 띈다. 이 공간이 사무실로도 쓰인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더더욱 ‘취향의 공간’이 곧 ‘삶’이자 ‘작업 공간’임을 여실히 느낄 수 있다. 이곳을 찾게 되는 누구에게든, 일상에서 벗어나 ‘환기’가 되는 공간이길 바랐다는 기획자의 의도가 묻어 있기도 한 셈이다. 이곳은 크게 두 공간으로 나누어져 있다. 분리된 안쪽 공간인 사무실 겸 모임 장소, 그리고 간단한 대화를 나누거나 다과를 할 수 있는 라운지가 그것이다. 분리돼 있는 안쪽 공간엔 테이블이 놓여 있고, 한쪽 벽면에 그동안 ‘프란츠’에서 출간된 책 몇 권이 전시돼 있다. 검은색 피아노, 기타, 바이올린 악보집과 보면대, 그리고 이제는 아예 유물이 돼버린, 직접 사용했다던 구식 TV 2대가 눈길을 끈다.
이 공간에서 한 달에 한 번씩 진행되는 ‘감상 프로그램’에서는 하나의 곡을 회마다 다른 아티스트의 연주로 1년 동안 듣는다. 올해 함께 듣는 곡은 바흐의 골드베르크 연주곡이다. 같은 곡이라도 연주자의 연주 스타일에 따라 40분이 걸리기도 하고, 1시간을 훌쩍 넘기기도 한다. 사전 신청으로 참석한 사람들은 둥그렇게 모여 앉아 한 곡을 집중해서 감상한 다음, 그 곡에 대한 감상을 30분 정도 나눈다.
요즘같이 음악을 쉽게 켜고 끄기 좋은 시대에 꽤 오랜 시간 동안 하나의 곡을 집중해서 듣는다는 경험 자체가 꽤나 신선하고 독특하다. 또한 휘발성 강한 감정을 즉각적으로 주고받는 것에서 오는 기쁨 또한 크다.
이 공간에선 감상 프로그램 외에도 프란츠에서 출간한 책의 번역가와 함께 북 토크를 진행하기도 했고, 클래식 전문가와 함께 슈베르트에 대한 강연을 듣는 자리도 마련했다. 김 대표는 프란츠에서 펴내는 ‘책’을 매개체로 해, 클래식 음악을 경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방식을 고민하고 있다. 많은 프로그램을 열거나 많은 사람이 찾지 않아도, 눈이 반짝반짝한 소수의 사람들과 완성도 있는 시간을 보낼 계획을 구상하고 있다.
물론 클래식에 대한 프로그램이 많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음악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찾아오는 편이지만 막상 이 공간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은 그렇게 어렵거나 까다롭지 않다. 김 대표는 자신만의 ‘취향’을 찾는 이들을 위해, 클래식 음악은 그 시대만이 가지고 있는 ‘작풍(作風)’이 있는데 그것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을 덧붙였다. 그러기 위해서 내가 어떤 부분에서 ‘좋다’고 느끼는지 파악하고, 그 느낌을 조금 더 구체화해서 표현해 보면 좋다고 말했다. 클래식 음악에 대한 ‘지식’이 쌓여갈수록, 음악을 듣는 ‘재미’가 생길 것이다.

글·사진 전은정_객원 기자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