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COLUMN

7월호

클래식 음악의 연주와 평가에 대해 하루키가 들은 리스트 말고…
베토벤 연주는 빌헬름 켐프, 리스트 연주는 라자르 베르만, 누구의 연주는 누구…. 같은 작곡가의 작품을 어떤 연주자가 잘 살리는지 비교하며 감상하는 것은 클래식 음악 감상의 즐거움 중 하나다. 베토벤이나 리스트처럼 작곡가가 직접 연주한 것을 들을 수 없는 경우 그 비교는 권위 있는 이들의 상상과 해석에 크게 영향 받기도 하는데, 오히려 관점을 달리해 ‘원작’에 집중해보는 것은 어떨까.

장윤선의 음악 정원으로 관련 이미지

베르만, 아라우… 누구의 연주가 제대로일까

“현존 피아니스트 가운데에서 리스트를 올바르고 아름답게 표현 해내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아요.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비교적 요즘 사람 가운데에는 베르만이 뛰어나고, 예전 사람 가운데서는 클라우디오 아라우 정도가 아닐까 해요.”
일본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 1947~)의 2013년 작품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에서, 작품의 주요 모티프이기도 한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의 <순례의 해(巡?の年)>*가 녹음된 음반을 들으며, 주인공 다자키 쓰쿠루(多崎つくる)에게 대학 친구 하이다 후미아키(灰田文昭)가 전하는 감상 중 일부다. 두 사람이 듣고 있는 음반은 1977년에 발매된 러시아 출신 피아니스트 라자르 베르만(Lazar Berman, 1930~2005)의 연주다.
소설 속 음악들만으로 음반이나 콘서트가 기획될 만큼, 하루키는 글의 재료로 음악을 적절히 활용하기로 유명하다. 그의 작품에 언급된 음악을 목록화하거나 연구 대상으로 삼는 사례도 있다. 특히 앞서 인용한 대사에서처럼 특정 ‘음반’을 제시하며 등장인물의 말을 빌려 전하는 하루키의 음반 평은, 그 어떤 전문가의 평론 이상으로 영향력을 발휘한다.
하루키의 소설이 출간되기 약 80년 전인 1934년, 일본의 1세대 서양음악 평론가 노무라 고이치(野村光一, 1895~1988)는<레코드 음악독본>이라는 저서에서 당시 베토벤의 작품을 녹음한 연주자들의 음반을 비교하는 글을 남겼다. ‘켐프의 베토벤 연주는 슈나벨의 음반이 발매되기 전까지 레코드계의 독보적 존재였다. 바우어의 베토벤도 위대하지만, 켐프에 비하면 별로이고, 그 외에는 베토벤을 제대로 연주할 수 있는 사람이 한명도 없고….’
여러 명의 연주자가 같은 작곡가의 작품을 녹음한 결과물에 대한 비교 평가라는 점에서, 하루키의 소설과 노무라의 글은 맥락은 다르지만 유사한 방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특정 작품을 어떻게 연주해야 한다는 식의 가치관이 담겨 있는 것도 공통적이다. 같은 곡을 서로 다른 연주자들이 저마다의 방식으로 연주하는 클래식 음악 연주의 특성상, 이와 같은 공개적 평론은 단지 개인의 감상을 넘어서 청취자들의 취향 형성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곤 한다.

클래식의 즐거움, 연주자 비교 감상

노무라의 글에서 거론된 피아니스트들은 독일인 빌헬름 켐프(Wilhelm Kempff, 1895~1991), 오스트리아인 아르투르 슈나벨(Artur Schnabel, 1882~1951), 영국인 해럴드 바우어(Harold Bauer, 1873~1951)로 이들은 각각 1930년을 전후해 베토벤의 작품 연주를 녹음으로 남겼다. 하루키의 소설에서 ‘예전 사람’으로 지칭되는 칠레 출신 미국인 클라우디오 아라우(Claudio Arrau, 1903~1991)가 리스트의 <순례의 해>를 녹음한 시기도 그 즈음인 1920년대 후반경이다.
100년 남짓한 레코딩 역사의 초창기를 장식한 이들은 작곡자가 곧 연주자이던 기존 관습에서 벗어나, 연주에 몰두하게 된 ‘전업 연주자’ 시대의 개척자이기도 하다. 이전 세대 음악가들과 달리, 자작곡보다는 과거의 작품을 매개 삼아 경연(競演)하며 명성을 얻게 된 것이다. 같은 곡을 연주하는 연주자를 두고 비교 평가하는 작업이 근대 지식인의 주요 관심사로 자리 잡은 것도 이때부터이고, 콩쿠르 시대가 열리면서 이러한 관행은 더욱 극대화되었다.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였던 러시아 출신의 라흐마니노프(Sergey Rachmaninoff, 1873~1943)와 프로코피예프(Sergey Prokofiev, 1891~1953)는 직접 만든 작품을 연주하고 녹음까지 남길 수 있었던 과도기의 대표적 인물들이다. 원작자의 연주만이 작품 해석의 유일한 기준이 될 수는 없겠지만, 원작자의 연주가 남아 있는지의 여부가 이후의 연주자나 감상자에게 영향을 끼치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동시대에 활동하던 전업 연주자들에 비해, 자신의 작품 연주를 음반 자료로 남긴 이들의 연주를 들으며 표현이 ‘올바르다’거나 ‘제대로 연주한다’는 식으로 잘라 평가하는 경우도 당연히 드물다.

베토벤, 리스트의 ‘원작’을 상상해볼까

만약 베토벤이 직접 연주한 소나타, 또는 리스트가 직접 연주한 ‘순례의 해’가 남아 있었다면, 이들의 작품을 연주한 후대 연주자들에 대한 평가 잣대도 달라졌을까. 녹음을 남길 수 없던 시대에 만들어진 작품일수록 더 많은 해석과 상상이 덧붙여질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연주를 비교 평가하는 것은 감상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즐거움이기도 하다. 그러나 음악 작품을 고전의 원문에 비유한다면, 연주는 2차 문헌에 해당한다. 녹음과 편집을 거쳐 음반으로 만들어진 자료는 3차 문헌쯤 될 것이다. 원작이 있기에 해석도 가능함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이야기다.
베토벤 시대의 음악 청취 행태를 연구한 미국인 음악학자 본스(Mark Evan Bonds, 1954~)는 “과거의 연주 복원은 실현 가능하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하면서도, 예전 청중이 향유하던 청취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익숙하게 듣던 음악이라도 새로운 의식을 갖고 들어볼 것”을 강조한다. 때로는 연주에 대한 자의적 비교나 평가를 잠시 내려놓고, 1차 문헌으로서의 원작에 주목하려는 시도가 필요할 듯하다. 관점의 작은 변화가 전혀 다른 차원의 음악 감상을 가능하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문화+서울

* 한국어판 제목은 ‘…순례를 떠난 해’로 번역되었지만, 원작 소설의 제목(色彩を持た ない多崎つくると、彼の巡?の年)은 리스트의 피아노곡 의 일본어 제목 ‘순례의 해(巡?の年)’에서 유래한다.

글 장윤선
대학과 대학원에서 음악사를 전공하고 ‘근대 일본의 서양음악 수용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라디오 프로듀서로 일하고 있다.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