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COLUMN

9월호

도시계획에 따라 생겼다 사라진 서울의 고가도로 공중을 시원하게 가로지르던
청계고가도로
서울 고가도로가 연이어 철거되고 있습니다. 차보다는 사람을 우선하고, 쾌적한 주거권과 생활환경을 시민들에게 돌려주기 위해서입니다. 서울에 처음 만들어진 고가도로는 1968년 개통된 아현고가도로입니다. 당시 서울시는 교통난 해결을 위해 신촌고개에서 서소문육교에 이르는 길이 940m, 폭 16m의 이 고가도로를 개설했습니다. 이 고가도로는 개설된 지 45년 만인 지난해 2월 철거돼 역사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들고, 도시경관과 지역 발전 저해 요인으로 지적돼온 것이 철거 이유였습니다. 서울시 관계자는 “과거 교통정책이 성장과 건설 위주였다면 이젠 ‘사람’이 우선인 도로환경으로 변화되고 있다”고 철거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이후 약수고가도로와 서대문고가도로도 철거됐고, 이전에 철거된 떡전고가도로, 청계고가도로 등 총 17개의 고가도로가 서울에서 사라졌습니다. 예전에는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시설이 생활환경이 변화하며 불필요한 흉물이 돼 철거되고 있지만 왠지 추억의 한 귀퉁이가 지워지는 허전한 마음이 듭니다.

<사진1> 1969년 청계고가도로 전경.<사진1> 1969년 청계고가도로 전경.

서울 개발시대의 상징이던 청계고가도로

어린 시절 시원하게 뚫린 청계고가도로 위를 달리며 환호성을 지른 기억이 납니다. 이 고가도로는 1967년 착공돼 1971년 8월 15일 완공됐습니다. 이 도로는 서울 중구 충무로에서 동대문구 용두동을 동서로 잇는 폭 16m, 길이 5.65km의 4차선 도로로, 기점 부근에서 갈라져 남산순환도로(현 소파길~소월길), 남산1호터널 등과 연결됐는데 이 구간을 ‘3·1고가도로’로 불렀습니다. 청계고가도로 기점 부근에 당시 우리나라 최고층 빌딩인 3·1빌딩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도로는 서울시의 청계천 복원사업에 따라 2003년 10월 철거됐습니다.
아버지가 운전하는 차를 타고 가며 고가도로 옆으로 다닥다닥 붙은 건물 창문들과 옥상이 보이는 광경을 신기하게 바라봤던 기억이 납니다. 공중에 떠 있는 도로를 달리다보면 마치 비행기를 탄 것 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사진1>은 1969년 청계고가도로의 전경입니다. 당시에는 시원하게 뚫린 길에 차량 통행이 뜸했습니다. 도로 주변에 낮은 건물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모습이 이채롭습니다.
하지만 시원하게 뚫린 이 고가도로도 차량 통행이 늘어나며 만성 교통체증에 시달렸습니다. 1977년 한 신문에 난 “시내 중심부와 동부 및 북부를 연결, 들고나는 장거리 주행 차량들이 이용하기 알맞게 설치된 고속화도로 이면서도 아침, 저녁은 물론 낮 시간에도 한산한 적이 없어 ‘시원하게’ 달리기가 힘들다. 한정된 노폭에 광교 쪽과 퇴계로 남산 쪽을 왕래하는 차들이 한꺼번에 몰리기 때문이데 자칫 조그만 사고라도 나면 30분에서 1시간씩 차들이 꼼짝도 못하게 길이 막혀버린다”는 기사가 당시 상황을 잘 설명해줍니다.
청계고가도로 아래쪽 청계천 복개도로는 사람과 자동차로 붐볐습니다. 당시 상공업의 중심 지역인 청계천 주변에는 의류 공장이 늘어서 있었습니다.

<사진2> 1970년대 청계천 거리 모습.<사진2> 1970년대 청계천 거리 모습.

이제 사라져 마음에 묻힌 길

<사진2>는 1970년 활력이 넘치던 청계천 거리 풍경입니다. 물건을 운반하는 자전거가 바쁘게 움직이고, 사람들의 발걸음도 부산해 보입니다. 서울 종로구와 중구를 가로질러 왕십리까지 이어지던 청계천은 수백 년간 도심 하천 기능을 하다 1958년 복개공사로 자취를 감췄습니다. 1960년 4월 1단계 공사가 완료됐고, 청계천은 지하에 하천을 덮어둔 채 도로로 모습이 변했습니다.
그 후 청계고가도로 철거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청계천 복원사업이 시작돼 2005년 10월 1일 하천이 다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청계천이 복원된 후 지난 10년 동안 수많은 시민이 이곳을 찾았습니다. 하천 옆으로 난 길을 걸다보면 수백 년 전 이 길을 걸었을 사람들의 모습이 떠오릅니다. 맑은 물이 흐르던 개천이 오염되고, 도로로 덮였다가 다시 모습을 드러내 펌프로 물을 끌어올려 흘려보내게 된 그 긴 세월 동안 많은 사람이 이곳에서 추억을 쌓았을 겁니다.
도시는 그렇게 변해갑니다. 사람이 늘어나고, 차량도 많아지며 이곳 저 곳 헐리고 새로 짓기를 반복합니다. 그러면서 많은 추억이 사라져 마음속에 묻힙니다. 오랜 시간이 흐른 후에도 그런 추억의 조각들을 맞춰볼 수 있는 흔적이라도 남아 있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의 개발은 그런 방향으로 진행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사람들의 편의를 위해 꼭 필요한 시설을 새로 만들고, 또 기존의 건물과 도로를 없애더라도 최소한의 흔적은 남겨뒀으면 합니다. 문화+서울

사진 김천길
전 AP통신 기자. 1950년부터 38년 동안 서울지국 사진기자로 일하며 격동기 한국 근현대사를 생생하게 기록했다.
글 김구철
문화일보 문화부 기자. 대중문화팀장으로 영화를 담당하고 있다.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