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COLUMN

6월호

윤종찬 감독의 <소름> 낡은,도시,이야기

도시가 낡았다. 안락하고 안전해야 할 보금자리로서의 가정이 안전하지 못하다. 생활 속에서 아버지는 사라졌고, 엄마의 자궁은 더는 안전한 안식처가 아니다. 삶이 생존이 되는 순간, 낡은 도시는 그렇게 공포와 마주하게 된다. 21세기를 시작하면서, 더 나은 미래가 없다는 디스토피아의 정서는 낡은 도시의 풍경을 주목하기 시작했다. 도시는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묶이는 곳이 아니라, 개인이라는 객체로 분화되는 곳이 됐다.

낡은, 도시

곧 허물어질 것 같은 낡은 아파트에 용현(김명민)이 이사를 온다. 30년 전 그곳은 끔찍한 살인사건이 벌어진 곳이다. 불길한 징조가 유령처럼 떠다니는 이곳에서 용현은 선영(장진영)을 만난다. 묘한 이끌림에 불륜을 이어가던 두 사람, 어느 날 선영은 자신을 구타하는 남편을 죽였다고 말한다. 시체를 묻고 돌아온 후, 두 사람 사이에는 기묘한 균열이 일어난다.
21세기를 떠올리며 상상하던 주체적 여성상과 독립이라는 이상적인 그림과 달리, 20세기 교육을 받고 20세기 정서를 느끼며 자라난 현실의 여성들은 여전히 남성 중심의 경제·사회적 풍경 안에서 생존의 공포를 느끼며 살아간다. 윤종찬 감독의 <소름>은 낡은 도시, 오래된 아파트를 둘러싼 삶, 그리고 모성으로서 여성이 지닌 근원적 공포를 그려낸다.
<소름>은 2001년 개봉 30년 전, 즉 1970년대 가부장 사회에서 한발도 나아가지 않은 2000년대를 공포의 형식을 빌려 말한다. 낡은 건물, 낡은 기억은 오랜 모성의 기억과 맞닿아 있다. 30년 전 살해당한 여성의 한은 낡은 아파트를 자궁 삼아 저주처럼 자란다. 가부장의 감옥 안에서 폭행 당하는 여성과 버려진 아이는 악몽을 통해 자신을 재현한다. 그렇게 아이는 한 맺힌 원혼이 돼 집 안에 갇힌다. 가장 연약한 자의 죽음을 포용하지 못하고, 방치하는 세상 속에서 <소름>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자장가 소리는 한으로 남아 잔인하면서도 슬픈 정서를 남긴다.

도시, 이야기

벽 하나를 사이에 두고, 가장 가까이 살고 있지만 단단하게 구별된 사각 큐브 속, 사람들의 이야기는 늘 비밀 속에 묻혀 있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공간, 그리고 그 사이를 떠도는 여러 사람의 인생이 켜켜이 쌓인 낡은 아파트는 그 비밀 때문에 은밀하고 두려운 공간이 된다. <소름>은 칼날처럼 에는 잔인한 공포를 주지는 않지만, 이상하게 처연하고 쓸쓸한 정서를 전한다.
곧 무너져 버릴 것 같지만, 타인을 저주하는 마음으로 삶을 이어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우리 사회의 작은 축소판 같기도 하다. 버려진 아이, 방치된 여성의 죽음은 사회에 어떤 흔적도 남기지 않는다. 그래서 죽은 아이는 자기가 사라진 공간에 지문처럼 한이라는 흔적을 남긴다. 눅진거리며 서늘한 서사 속에서 공간에 유령처럼 남은 분열된 가족의 이야기는 비릿하고 슬픈 비극적 정서를 만든다. 악령으로 남은 가족의 비극이 직조하는 서늘한 정서는 마음에 알알이 소름을 돋게 만든다.
우리에게 낡은 도시는 미세하게 균열이 난 파편화된 개체의 도시다. 멀리 떨어져서 보면 하나의 그림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사이가 미세하게 균열이 나 있는 퍼즐판 같다. 같은 하늘 아래 숨 쉬고 있고, 손바닥을 들여다보듯 잘 안다고 믿지만 사실 우리는 모두 다른 길 위에서 각자 다른 시간을 살아가고 있다.
봉합되지 않은 과거와 생존의 공포 속에서 낡은 도시 속 사람들의 미래는 여전히 낡은 채로 방치됐다. <소름>이 만들어지고 20년 뒤, 우리의 도시는 팬데믹과 황사, 분노와 불안 사이에서 더 낡고 무서운 곳이 됐다. 도시는 우리를 고아처럼 홀로 던져두었고, 생존해야 한다는 절박함 그 자체가 오롯한 공포인 시대를 살고 있으니 이 영화, 참 예언 같기도 하다.

<소름>(2001)

감독 윤종찬

출연 김명민(용현 역), 장진영(선영 역),기주봉(이작가 역), 조안(은수 역)

최재훈 영화감독이 만들어낸 영상 언어를 지면 위에 또박또박 풀어내는 일이 가장 행복한 영화평론가.
현재 서울문화재단에서 근무하며 각종 매체에 영화평론과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