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ASSOCIATED

12월호

섬유공예가 오화진 우연의 조각을 잇다가 만난 필연의 세계
작품을 만들기에 앞서 우리는 흔히 ‘밑그림’을 그린다. 그리고 점점 구체화하면서 처음에 생각한 형태를 구현하기 위해 수정하고 다듬는다. 그러나 모든 것이 계획한 대로 되지는 않는다. 오화진 작가는 ‘시간과 재료’라는 최소한의 가이드라인 안에서 그날그날 마음에 드는 비정형의 조각을 가지고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향해 나아간다. 우연의 조각이 모여 완성된 작품을 그는 ‘운명’이라고 이른다. 어떤 의자, 천 조각, 옷걸이는 그렇게 작품의 운명으로 그에 의해 세상에 나왔다.

사람과 사람 관련 이미지

사람과 사람 관련 이미지1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진행중인 전시 <공예공방> 중 오화진 작가의 작품 전경. 샹들리에 부분은 작품 <환생>(2016), 침대 부분은 작품 <베드맨>(2013, 2016)이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진행중인 전시 <공예공방 | 공예가 되기까지>(8. 31~2017. 1. 30)는 공예가 6명의 작품과 시간을 보여주는 전시다. 손으로 일일이 두드리고 주무르고 한 땀 한 땀 꿰매는 일은 사람의 일이자 시간의 일이다. 작품과 함께 전시된, 작품의 제작과정이 담긴 영상을 보고 나면 공예의 의미에 대해 한 숨 고르며 생각하게 된다. 관람 동선 상 마지막 순서에 놓인 것은 신당창작아케이드의 입주작가인 오화진 작가의 작품이다. 커다란 샹들리에의 빛은 전구를 덮은 모시로 말미암아 은은해져 있고, 그 아래 놓인 침대는 그로테스크하면서 우아하다. 정형화되지 않은 패브릭 조각을 일일이 손바느질하고 오브제로 완성해 세상에 내놓은 그는 정작 완성된 전체 설치는 전시장에서 처음 봤다며 너털웃음을 지었다.

<공예공방>전시를 인상 깊게 봤습니다. 장인에 가까운 공예가 분들과 함께 작품을 선보이고 있는데요, 전시에는 어떻게 참여하게 되셨나요?

<공예공방>을 기획하신 큐레이터는 2013년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에 제가 참여할 때 국제부에서 독일국가관을 담당하셨던 분인데, 작년 봄에 연락을 받고 참여하게 됐어요. <공예공방>은 올해 가을에 오픈했지만 기획자께서는 2년 전부터 준비를 해오고 있으셨죠. 작년에 저한테 기획안을 설명해주실 때도 이미 틀이 잘 잡혀 있었어요. 정직하게 공예의 기본에 포커스를 맞춘 전시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작품을 만드는 과정을 영상으로 제작해 전시장에 설치한 게 인상적이었어요. 모두 손바느질로 만드셨는데 작품을 가까이서 보니 섬세한 디테일에 놀랐습니다. 작품을 마치는 데 시간이 얼마나 걸렸나요?

2013년에 <울모던(Wool Modern)>이라는 전시 때문에 제작했던 <체어맨>은 만드는 데 5~6개월이 걸렸고, 이번에 다시 <베드맨>으로 발전시켜 작업하는 데에도 6개월 이상 걸린 것 같아요. 거의 1년 동안 바느질 작업을 한 것 같습니다. 계획을 세워 작업을 하면 바느질의 양이 체감되니까 지루할 텐데, 즉흥적으로 작업을 해서인지 바느질이 지루하지는 않았던 것 같아요. 이렇게 무작위적으로 작업을 하다 보면 저도 모르는 형태가 나오고 그게 신기해요.

오히려 작업이 가늠되지 않거나 예상했던 것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면 도중에 지치진 않나요?

철저하게 계획을 세우면 초조해지거나 지칠 수도 있겠지만 놀이처럼 접근해서인지 괜찮았어요. 그리고 작업을 오래 하다 보니 체력이나 정신적으로나 훈련이 된 것도 있고요. 전 작업을 할 수 있는 기간이 주어지면 그날그날 만들고 싶은 부분을 만들고, 나중에 조립하면서 기한을 맞춰요. ‘오늘 얼굴이나 만들까? 아~ 뼈 만들고 싶다’ 이런 식으로 내키는 대로 만들고 조립하다 보면 상상하지 못했던 형태가 나와서 재미있죠. 작업이 놀이가 되는 거예요. 이런 과정을 ‘짝짓기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몇 년간 계속해오고 있어요.

언급하신 ‘짝짓기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우리가 아이디어를 얻을 때 여행을 가거나 인터넷 검색을 하는 등 외부에서 찾잖아요. 저는 가능하면 제 안에서 영감을 얻고 싶어요. 진짜 제 안에서요. 그래서 시작하게 된 프로젝트예요. 세 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 프로젝트는 종이를 무작위로 잔뜩 자른 후 그 중에서 끌리는 것 하나를 골라 그 형태가 무엇으로 보이는지 느껴지는대로 즉흥적으로 드로잉을 하는 거예요. 같은 도형이더라도 사과로도 보이고, 아기 얼굴로도 보이고, 그날그날 기분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하는 거죠. 조금 전까지만 해도 그냥 종이였던 게 영감을 주는 도형이 되는 거예요. 도형이랑 저랑 짝짓기를 해서 도형의 운명을 만들어간달까요. 저는 사람에게 운명이 있듯이 작품에도 운명이 있다고 생각해요. ‘짝짓기 프로젝트’는 이 모든 것을 운명에 맡긴 채 따라가보는 과정을 이야기하는 것이죠.
두 번째 프로젝트는 오브제의 운명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보는 프로젝트예요. 기존의 오브제와 제가 짝짓기를 해서 새로운 오브제를 탄생시키고 그것의 운명을 상상해가며 글을 지어요. 신당에 처음 들어왔을 때 당장 앉을 의자가 없어서 플라스틱 의자 2개를 샀는데 그중 하나는 섬유와 솜을 이용해 변형해서 작품으로 만들었어요. 수많은 플라스틱 의자가 있지만, 이 의자는 공장에서 태어났을 때부터 미술관을 돌아다닐 운명이었던 거예요.

그리고 프로젝트3에서는 이미 완성된 작품의 외적인 형태를 바꿔서 운명을 바꿔준다. 외적인 형태가 변화됨에 따라 벌어지는 작품의 운명을 추적해보고 여기에 환생개념까지 포함시켜 운명을 바라보는 프로젝트를 진행한 것이다. 즉 2013년의 <체어맨>이 2016년 <베드맨>이 된 것이 이와 같은 맥락에서였다. <공예공방> 전시장 한쪽 벽에는 오화진 작가가 쓴, 베드맨에 대한 짧은 소설 한 편이 A4용지 5페이지 분량으로 전시돼 있다. 푹신하고 편한 침대가 아닌 ‘자각몽’을 꾸게 하는 침대에 관한 이야기다. 오 작가는 ‘계획하지 않고 작업하는 것’에 대해 “놀이를 하듯 그들이 지닌 운명에 맡겨두면 작업이 고돼도 지루하지 않다”고 말했다. 우연을 따라가는 듯 보이지만 결국 우리가 맞이하는 결과, 완성된 모습은 이미 정해진 운명에 의한 것이라는 이야기가 흥미롭게 들렸다.

“문화라는 게 쌓이고 쌓여서 만들어 지는 거니까 키워드들이 쌓이면 제 개인의 문화에 대해 한 문장을 만들 수 있겠죠.”

사람과 사람 관련 이미지2 <마블러스 맨> (41×55×140 cm polyester(polar fleece), filling, lighting, stool, etc needlework, stuffing 2014).
3 <Bright man> (42×40×200cm polyester(polar fleece), filling, lighting, etc needlework, stuffing 2014).
4 <좋은포수> (65×120×195cm polyester(polar fleece), filling, antique furniture, etc needlework, stuffing 2014).

‘그런데 그날그날 기분에 따라 즉흥적으로 한 작업인데도 일관성이 느껴지네요.

아무리 무작위적인 창작을 하더라도 반복적으로 나오는 게 있잖아요. 저는 바로 그게 그 사람의 감수성이고 본성인 것 같아요. 그게 누적되면서 ‘개인의 문화’가 꾸려진다고 생각하고요. 본능적이고 즉흥적인 작업이 저의 본성을 아는 데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사람과 사람 관련 이미지5 상상마당에서 열린 <오화진 개인전: Desire> (2008) 전경.
6 <엄마와 아이> (100×180×200cm wool, nylon-wool blend, filling, aluminum chair, candlestick, etc needlework, stuffing 2013).

이를테면 특유의 그로테스크한 분위기 같은 것 말이죠(웃음). 이런 표현은 어떤 영향 때문인지 궁금했어요.

많은 분이 이런 기괴한 표현에 대해 무엇이 영향을 주었는지 추적하고 싶어하시는 것 같더라고요(웃음). 개인적인 환경이나 트라우마에서 찾기도 하시는데, 사실 저는 꽤 평범하게 자랐어요. 외부 요인 때문이 아니라 저는 그냥 이렇게 기괴한 감수성을 타고난 것 같아요.

오화진 작가의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붉은 색은 흡사 피를 연상시키며 미장센이 뛰어난 공포영화의 한 장면을 떠올리게 한다. 그의 작품에서는 재료 역시 흥미로운데, 그로테스크한 인상을 주는 작품들이 따뜻하고 포근한 울 소재를 이용해 제작된다는 점은 다소 아이러니하게 느껴진다. 이런 경향은 오 작가의 초기작에서도 엿보인다. 금속으로 보이는 차갑고 번쩍이며 날카로운 느낌의 작품은 사실 대부분 인조가죽으로 만든 것이다. 이는 당시 그가 견지한 ‘주제’와도 관련 있는 지점이다. 오 작가는 활동 시기별로 집중했던 주제가 비교적 뚜렷하게 나뉘는데, 활동 초기 그 주제는 ‘우상 타파’였다.

작품은 기괴한데 사용하시는 재료는 순하디 순한 느낌이에요.

‘우상 타파(Iconoclasm)’는 집착하지 않는 정신상태를 추구하는 제 모토를 주제 삼아 풀어나간 작업이예요. 여기서 우상은 집착하는 정신상태를 뜻해요. 우상 타파는 집착에서 한발 떨어져 보자는 뜻을 품고 있어요. 결국 우상은 곧 허상이니까 스티로폼 같은 가벼운 재료를 사용하고 겉은 과시적인 이미지로 광채 나는 단단한 물질처럼 보이게 했는데, 알고보면 이것도 부드러운 인조가죽이예요. 이런 소재의 특성이 우상 타파라는 주제와 잘 맞았죠. 당시 많이 쓴 검정색 역시 과시적인 느낌과 모든 것을 흡수한다는 색의 특성이 우상과 어울리는 것 같아 선택했어요.

그다음 시기의 주제는 ‘욕망(Desire)’이었다고 하셨죠?

이 시기부터 ‘개인의 문화’ 구축에 대한 생각을 갖고 있었어요. 문화라는 것을 ‘정신의 소산’으로 보고 이 정신을 파악하기 위해선 욕망부터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국가나 민족에게 문화가 있듯이 단위를 축소해 개인에게도 문화가 있다고 가정해본 것이죠. 제 개인의 문화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제가 바라보는 욕망을 다뤄본 것이에요. 그리고 표현하는 행위 자체가 제 욕망 자체다보니 다양한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했어요. 그리고 2009년쯤 ‘운명’이라는 주제로 넘어온 것 같아요. 이때부터 무작위적인 운명에 맡긴 채 작업을 시작한 거죠. 그러면서 ‘짝짓기 프로젝트’로 자연스럽게 발전됐습니다.

사람과 사람 관련 이미지7 <짝짓기프로젝트 The Mating Project 01_What’s the figure?> (35×35cm 종이 위에 과슈, 펜 등 2012~2013).
8 <1300g> (70×110×250cm TV, styrofoam, artificial leather, feathers, spangles, PVC film, etc 2002).

신당창작아케이드 입주작가로 6년째 계시는데, 이곳의 분위기도 작품에 영향을 적지 않게 미칠 것 같습니다.

주변에 오브제가 넘쳐나는 환경이 시각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생각하고요, 심리적인 안정감과 소속감이 작업을 하는 데 도움 되는 것 같습니다. 다른 레지던시와는 달리 신당 창작아케이드의 작가들은 공모에 재지원이 가능한데 이렇게 작가들이 오래 머무를 수 있게 하는 건 이곳의 대표적인 장점이라고 생각해요. 작업 주변 환경도 편하고,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도 꽤있습니다. 그리고 운영진 분들이 인간적인 배려도 많이 해주세요. 다 사람이 하는 일이라 그런지 이런 데서 심리적인 안정감이 생기는 것 같아요.

작가님은 스스로를 ‘공예가’로 규정하시나요?

저는 공예가 ‘개인의 문화’ 위에서 파생되길 바랍니다. 개인의 문화 구축을 위해 다양한 작업을 하다 보니 주변에서 제가 ‘공예가인가’ 하는 의구심을 갖는 것 같습니다. 현재로서는 공예가라고 자신 있게 말하기엔 제 작업의 수준이나 양이 아직 부족해요. 그렇지만 후에 스스로 자부심 있게 ‘공예가’라고 말할 수 있도록 그 수준과 작업량을 늘려 나갈 계획입니다.

다음 활동 계획이 궁금합니다.

이제 개인의 문화 안에서 키워드를 하나씩 잡아보려고 해요. 제가 갖고 있는 본성의 키워드를 테마별로 발표해볼까 생각중이에요. 지금은 문화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해요. 핵심을 찾아가는 과정이죠.문화+서울

글 이아림
사진 최영진
작품 사진 제공 오화진ohhwajin.com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