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ASSOCIATED

10월호

AI는 거대한 폭풍을 일으킬 수 있을까 ‘AI 장편소설’이 던진 물음표

《지금부터의 세계》는 ‘국내 최초의 AI가 쓴 장편소설’을 표방하며 화려하게 등장했다.
예고 보도자료만으로도 출판계의 이목을 끌었고, 8월 25일 출간에 맞춰 열린 기자간담회는 문전성시를 이뤘다.
세간의 관심은 소설의 줄거리나 메시지가 아니었다. 진짜 AI가 쓴 것이 맞느냐. 기자들의 질문도 그 진위에 집중됐다.

1 소설 《지금부터의 세계》 표지
2 출간 당일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여러 질문이 쏟아졌다.

장편소설을 작성한 AI 비람풍과 소설감독 김태연

결론부터 말하자면 ‘물음표’다. 《지금부터의 세계》의 추천사를 쓴 소설가 이문열이 이 소설을 “누구도 가보지 않은 길을 먼저 가본 사람만이 창작할 수 있는 작품”이라고 치켜세우면서도 “무수한 물음표를 던지는 우리 시대의 문제작”이라고 한 까닭이 있었다. 기자간담회 자리에 나온 ‘소설감독’ 김태연과 출판사 파람북 정해종 대표의 설명을 2시간 넘게 들은 뒤 의문점은 도리어 더 커졌다.
2016년 AI ‘알파고’가 이세돌과 세기의 바둑 대결을 펼친 이후 인공지능의 능력이 어디까지 미칠지를 놓고 대중의 관심이 크다. 기술 발달 수준이 과연 어디까지 도달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면서 동시에 과학 기술이 절대 침범하지 못할 인간의 ‘위대함’이 무엇인가에 대한 관심이다. 인간으로선 ‘마지막 보루’를 확인하고 싶은 바람일 수도 있다. 지금까지 음악·미술·문학 등 예술의 영역은 AI와 경쟁이 되지 않았다. 소설의 경우 2016년 일본에서 AI가 쓴 SF 단편소설이 호시 신이치 문학상의 1차 예심을 통과한 적이 있고, 국내에선 2018년 ‘KT 인공지 능소설공모전’이 개최되기도 했지만 작품성을 논할 수준은 아니었다. 더욱이 장편소설은 AI의 도전 자체가 어려운 분야였다.
출판사가 밝힌 《지금부터의 세계》의 작가는 AI ‘비람풍’이다. 산스크 리트어에서 유래한 말로 우주 성립의 최초와 최후에 분다는 거대한 폭풍을 뜻한다. 문학사에 거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불러일으킨다는 의미에서 지은 이름이다. 소설을 기획하고 풀어낸 김태연 작가에게는 ‘소설감독’이라는 새로운 호칭을 붙였다. “주제와 소재, 배경과 캐릭터를 선정하고 스토리보드를 담당하는, 영화에서의 감독과 비슷한 역할”이라고 했다.
김태연 소설감독은 출간 경력이 있는 소설가다. 1987년 월간 《문학정신》으로 등단해 《폐쇄병동》 《그림 같은 시절》 《기형도를 잃고 나는 쓰네》 등의 장편소설을 냈다. 연세대에서 신소재공학을 전공한 과학도로, 1989년부터 5년가량 한국개발연구원에서 전문위원을 지낸 경력이 있다. 2014년 8월 세계수학자대회에 참가해 세계적인 수학자들과 토론하는 과정에서 ‘AI 소설’의 영감을 얻었다고 했다. 《지금부터의 세계》는 그 후 7년 동안 작업해 내놓은 결과물이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지금부터의 세계》의 실제 집필은 소설 쓰기를 학습한 AI가 했다. AI의 문장력은 교정을 거의 보지 않아도 될 수준이라 말한다. 하지만 아직 AI 혼자 완전한 창작은 불가능하고 사람의 개입이 필요했다. 사람이 인물과 사건, 시간과 공간 등 기본 구성과 이야기의 콘셉트를 짜줘야 한다. 예를 들어 “용감한 공주가 사악한 왕자에게 사로잡힌 아름다운 용을 구출하러 가는 이야기를 써줘”라고 요청 하고 도입 부분을 써주면 AI는 그에 맞춰 세부 이야기를 풀어낸다. 이른바 ‘대필 작가’의 역할을 AI가 하는 것이다.

예술 관점에서 논의는 필요하다

그는 말했다. “가령 간호사인 철이가 한겨울에 강릉 경포대에서 변호사인 미애를 만난다는 단막극을 가정해 보자. 러프한 구상 자체는 어렵지 않다. 하지만 여기서 간호학적 혹은 의학적 디테일, 강릉 경포대의 묘사와 법률적 지식, 그리고 날씨나 기타 여러 세부 사항의 상호 연관성을 구현하려면 상당한 자료 조사가 필요하다. 이런 자료를 찾아 내고 주어진 한국어 스타일에 녹여내는 작업을 AI가 한다. AI가 복잡한 소설을 구상할 능력 자체는 아직 없지만, 그런 복잡성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세부 작업의 번거로움을 혁신적으로 줄여줄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해낸 AI의 개발은 그가 2015년 출범시킨 인공지능 스타트업 ‘다품다’와 이무기(가명) 교수가 운영하는 자연어 처리 스타트업 ‘나매쓰’(가명)가 함께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보안을 이유로 실제 이름을 밝히지 않는데다 활용한 기술과 개발 비용 등도 공개할 수 없다고 하는 바람에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됐다. AI로 500쪽 넘는 장편소설을 써낸 엄청난 기술을 개발하고도 이를 비밀에 부쳐야 하는 ‘나매쓰’의 입장이 도무지 이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김태연 소설감독의 말이 모두 사실이라 해도 《지금부터의 세계》를 둘러싼 논란거리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그는 “이제 ‘소설 쓰기’의 시대가 아닌 ‘소설 연출’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며 “소설가는 주제 설정과 구상처럼 좀 더 차원 높은 일을 하고, 단순 작업에 해당하는 실제 글쓰기는 AI에게 시키는 것”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창의성을 기대할 수 없는 AI에게 ‘창작자’ ‘작가’란 명칭을 붙일 수 있는 걸까. 소설 창작에서 차원 높은 일과 단순 작업을 구분하는 기준은 뭘까. 설사 작품 구 상까지 가능한 AI가 등장한다 해도 인간의 통찰과 각성이 배제된 소설이 문학으로서 가치가 있을까. 혼란과 고민이 깊어진다.

이지영 《중앙일보》 기자 | 사진 제공 파람북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