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ASSOCIATED

10월호

침체된 미술계에 활력 불어넣은 온라인 미술 시장 코로나로 틈새시장 찾은 저가 미술품
입구에서 체온을 측정할 필요도, 출입자 명부에 이름을 적을 필요도 없다. 애당초 전시장 가는 길의 교통 체증과 주차난을 염려할 필요도 없었으며, 밤이건 새벽이건 심지어 어디에서든지 작품을 살펴볼 수 있다. 온라인 미술품 경매 얘기다.

집콕족,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한 중저가 상품으로 실내 공간 꾸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문화 시장 전반이 침체한 가운데 미술품으로는 저가(低價)에 해당하는 200만 원 이하 작품들이 온라인 경매에서 ‘나 홀로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는 수치로 확인된다. 국내 미술시장 전체 거래를 집계하는 한국미술시장정보시스템(K-Artmarket)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경매시장 규모는 49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13억 원의 60% 수준이며 2018년과 비교하면 절반으로 쪼그라들었다. 이를 온·오프라인으로 분리했을 때, 오프라인 경매 거래액은 지난해 상반기 692억 원에서 368억 원으로 324억 원어치가 증발해 버린 반면 온라인 경매는 작년 121억 원에서 123억 원으로 소폭이지만 오히려 늘었다. 미술경매회사 케이옥션의 올해 상반기 200만 원 이하 낙찰작 수는 3,118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00여 점 이상 증가했다. 서울옥션의 경우는 오프라인 경매와 고가 미술품 거래가 저조한 가운데서 200만 원 이하 작품의 온라인 경매만 코로나 타격 없이 전년 수준의 거래량을 유지했다.
코로나로 인한 소비 심리 위축에도 불구하고 그림이 팔리는 이유는 뭘까? 집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졌기 때문임을 무시할 수 없다. 전염병 확산을 우려해 ‘집콕족(族)’이 증가했고, 재택근무와 화상회의가 잦아졌다. 코로나 이후 인테리어 관련 산업이 2~4배가량 성장했듯 집을 ‘특별하게 꾸며야 할 곳’으로 여기는 수요가 늘어났다. 과하게 비싸지 않은 작품 한 점으로 집안 분위기부터 기분까지 밝아지고, 화상회의의 배경으로도 밋밋한 벽보다는 개성 있는 작품이 낫다는 생각이 ‘그림 소비’를 자극한 것이다.
코로나 시대 이후 ‘랜선 관람’과 ‘온라인 쇼핑’이 일상화됐다지만 수천만, 수억 원을 호가하는 미술품을 클릭만으로 구매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잘 알려진 작가의, 익히 아는 작품이 아닌 한 구매는 신중해지기 마련이다. 중저가 작품이라면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하다. 온라인으로 활발하게 거래되는 200만 원 이하 미술품은 주로 국내외 유명 작가의 판화나 크기 작은 소품, 중견 사진작가의 작품 등이며 아트토이와 공예품도 인기다.
1 고차분 <다른 선택>. 고 작가는 서울옥션과 지역 문화재단이 협력한 기획경매 ‘제로베이스’를 통해 시작가 0원에 작품을 선보여 인기를 끌었고 이후 전속 화랑 제의, 국내외 전시 참여 등의 기회를 얻었다.
2 케이옥션은 중저가 미술품을 중심으로 ‘위클리경매’를 매주 진행하고 있다.

온라인 미술 시장, 뉴노멀 시장의 새로운 활로 될까

낡은 벽지를 바꾸는 대신 그림을 거는 것, 즉 인테리어보다 미술품을 택하는 또 다른 이유는 ‘투자 가치’다. 작품 구입은 공산품 소비와 달리 곁에 두고 보는 동안 ‘이자’ 못지않은 정서적 만족감이 있고, 향후 가치 상승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 일반적으로 저가 미술품의 가격 상승 폭은 크지 않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여기다 밀레니얼 세대(23~38세)가 미술에 주목하면서 경매에 뛰어드는 신규 컬렉터가 늘어난 것도 눈길을 끈다. 세계 최대의 아트페어인 아트바젤과 글로벌 금융기업 UBS가 발표한 ‘2020 글로벌 아트마켓 보고서’에 따르면 고액 자산가 컬렉터 중 가장 높은 비중인 49%를 밀레니얼 세대가 차지했다. 이들의 특징은 온라인 플랫폼에 익숙하다는 것이며, 남들과 차별화된 자신만의 소비 방식을 추구하면서도 ‘재테크’를 놓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한정판 운동화를 구입했다 고가에 되파는 ‘스니커즈 리셀(resell)’ 열풍의 중심에 20대가 있다는 사실은 의미심장하다.
처음 그림을 사고자 하는 초보 컬렉터에게 온라인 거래만큼 ‘편한’ 시장도 없다. 문턱 높아 보이는 갤러리에 쭈뼛거리며 들어가 작가나 작품에 대해 더듬거리며 물어보지 않아도 된다. 가격을 공개하는 경매시장의 투명성도 신규 구매층에게는 신뢰감을 준다. 오프라인이 아닌 온라인 경매가 조용하게 진행돼 적적할 수는 있으나 뜨거운 현장 분위기에 휩쓸리지 않고 냉철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은 장점이다. 물론 디지털 이미지로 보는 작품은 실제로 대면해 감상할 때의 아우라와는 확연히 다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경매 회사들은 일주일 이상 출품작을 전시해 실물을 확인하게 한다.
이처럼 미술 소비의 변화가 감지되자 경매 회사들도 적극적으로 팔을 걷어붙였다. 케이옥션은 중저가 미술품이 주를 이루는 ‘위클리경매’를 매주 진행해 500점 내외의 미술품과 공예 및 보석 등을 선보인다. 지난해까지 두 달에 한 번씩 열던 ‘프리미엄 온라인경매’는 코로나19가 시작된 올해 초부터 월 1회로 늘렸고, 지난 6월부터는 격주로 월평균 2회씩 열고 있다. 서울옥션은 저가 작품군을 이루는 신진·유망 작가를 발굴해 시작가 ‘0원’으로 온라인 경매를 진행하는 ‘제로베이스’를 기획했다. 경매시장의 투명성을 강조하면서, 수요자의 취향이 그대로 가격에 반영되도록 했다. 극소수 작가들의 전유물 같던 경매시장에서 소외된 새로운 작가를 발굴하고자 한 의지도 반영됐다. 0원에서 시작한 작품의 평균 낙찰액은 70만~90만 원 수준이며 낙찰률은 100%를 놓친 적 없다. 처음 개최했을 당시 낙찰 총액 3,900만 원이던 것이 지난 5월에는 1억 원을 돌파했다. 작가 유명세를 따르는 게 아니라 자신의 취향대로 작품을 택하고자 하는 고객이 늘어난 것인 동시에 새로운 작가군이 경매시장에 진입했다는 뜻이다. 저변 확대를 모색하던 미술 시장이 코로나19로 인해 얻은 ‘뜻밖의 뉴노멀’이다.

글 조상인_《서울경제》 기자
사진 제공 서울옥션, 케이옥션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