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COLUMN

11월호

시대의 변화와 함께한 한국의 교육제도 우리나라 교육의 변천사
한국의 교육제도는 시대 변화에 맞춰 계속 바뀌어왔습니다. 학제(學制)의 기원은 갑오개혁 이듬해에 발표한 고종의 교육조서(敎育詔書)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인 1911년에는 일제가 식민통치를 위해 조선교육령을 만들었습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1949년 교육법이 제정돼 미국의 단선형 학제 중 가장 널리 활용되던 6(초등학교)·3(중학교)·3(고등학교)·4(대학교) 학제를 도입했고, 이것이 오늘날의 교육제도로 완성됐습니다. 초등학교 6년을 의무교육으로 했다가 2002년부터는 중학교 신입생부터 무상 의무교육을 시작해 2004년에는 중학교 전 학년을 대상으로 의무교육을 실시했습니다.

메모리 인 서울 관련 이미지 <사진 1> 중학교 배정을 위한 추첨 모습.

‘뺑뺑이’ 무시험 추첨제

중·고등학교를 시험 없이 추첨으로 배정받아 입학한 세대를 ‘뺑뺑이 세대’라고 합니다. 정부는 1968년 7월 15일 중학교 입학시험 폐지를 발표했습니다. 이듬해 2월 5일 서울에서 처음으로 중학교 배정을 위한 추첨이 실시됐고, 1971년부터는 전국으로 확대됐습니다. 이어 1974년에는 고등학교 입시도 폐지됐죠.
요즘은 컴퓨터로 학교를 자동 배정하지만 당시 무시험 추첨은 <사진 1>에서처럼 물레 모양의 8각형 추첨기를 돌리면 중학교 고유번호가 적힌 은행알이 튀어나오는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 그래서 ‘뺑뺑이’라는 별명이 붙은 겁니다. 각 학군별로 지급된 추첨기 안에는 관내 중학교 고유번호가 쓰인 추첨알 2,000여 개가 들어 있었습니다. 지원 학생이 통을 돌려 추첨알이 나오는 데 걸리는 시간은 50초에서 1분가량이었다고 합니다. 무시험 추첨에 대해 어린이들을 입시지옥에서 해방시켰다는 긍정적인 여론이 많았지만, 자녀가 원치 않는 학교에 배정된 학부모들의 항의도 많았다고 합니다.
지방 학생들이 무시험 진학을 노리고 서울로 대거 전입하여 파동이 일기도 했습니다. 당시 한 신문에 난 기사를 보면 서울시교육감이 2,400명이 넘는 지방 전입 희망자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공식 발표하며 파동이 과열됐고, 서울시교육위원회는 이들을 지방으로 되돌려 보냈다고 합니다. 이런 파동이 일자 부모가 직장을 옮겨 서울로 온 200여 명의 학생들은 서울시교육위원회의 전입 사무 중지로 개학 후에도 학교에 갈 수 없었습니다. 이에 대한 여론이 빗발치자 잠정적으로 가족 전체가 이사 온 학생에 한해 전입 업무를 재개했다고 합니다.

메모리 인 서울 관련 이미지 <사진 2> 1950년대 말 남학생들의 재봉 실습 장면

정식으로 제정된 제1차 교과과정

1955년 8월 문교부(현 교육부)령으로 초·중·고교 및 사범학교 교과과정이 정식으로 제정, 공포됐습니다. 당시 신문에 따르면 1953년 3월부터 시작된 이 교과과정 제정 사업은 2년간 500여 명의 인원이 참여해 완성했습니다. 이 신문에는 “이것은 우리나라 교육을 가일층 전진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고 쓰여 있습니다.
‘제1차 교과과정’으로 구분되는 이 과정은 산업 발전을 위해 실업교육을 강화한 것이 특징입니다. 중학교 교과과정에는 남녀 구분 없이 가사, 재봉, 수예 등을 포함한 실업가정 과목을 필수 또는 선택으로 이수토록 했습니다. <사진 2>는 1950년대 말 서울의 한 중학교에서 남학생들이 재봉 실습을 하고 있는 장면입니다. 앳된 얼굴의 학생들 이 진지한 표정으로 재봉질을 하는 모습이 귀여워 보입니다.
하지만 문교 당국의 계획과 달리 학교 현장에서는 실업교육 강화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았나 봅니다. 경비 부족 등으로 시설 확충이 빠르게 진행되지 않았으며 실업학교에서도 간판만 내걸고 실제로는 인문계학교와 별로 다르지 않은 교육과정을 유지했다고 합니다.

사진 김천길_ 전 AP통신 기자. 1950년부터 38년 동안 서울지국 사진기자로 일하며 격동기 한국 근현대사를 생생하게 기록했다.
글 김구철_ 문화일보 문화부 기자. 대중문화팀장으로 영화를 담당하고 있다.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