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COLUMN

10월호

배리어프리 특집호 제작 일지 많은 독자·청자를 만나기 위한 석 달 과정

200호 기념으로 발행된 웹진 [연극in]의 배리어프리Barrier free, 고령자나 장애인들도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물리적·제도적 장벽을 허물자는 운동 특집호는 약 9주간의 기간을 거쳐 제작됐다. 그 과정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웹진 [연극in] 200호 제작 일정

1단계: 초기 계획 수립·음성 낭독 배우 모집

특집호에 실릴 원고 청탁서를 발송했다. 해당 원고는 “새로운 독자와의 만남을 위해, 기존 방식에 수어 통역(영상)·음성 녹음(배우 대독 음성)을 추가해 제작·발행”된다는 점을 사전에 알렸다. 이에 대한 필자들의 동의를 구하고, 또한 필자들에게 사진을 보지 않아도 장면이 이해될 수 있도록 “본문에 장면을 묘사하는 문단을 넣어주”기를 특별히 요청했다.
동시에 웹진의 공지 사항과 SNS 채널에 200호 음성 녹음 신청 안내 공고를 게재했다. 데뷔 5년 이내의 신인 배우가 모집 대상이었으며, 접수자가 예상보다 많아 기사별로 지정 성별 배우 두 사람의 음성을 넣었다. 청자들이 하나의 기사를 두 가지 톤으로 들을 수 있도록 구성했다.

2단계: 음성 낭독 녹음, 수어 영상 촬영

모니터링 회의에서는 특집호 진행 과정을 공유하고, 웹진 홈페이지의 접근성을 검토해 제작 시 유의 사항 등을 확인했다. 음성 해설은 사진 등의 소스를 음성으로 해설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이전까지 음성 ‘해설’로 사용되던 용어를 수정했다. 그리고 웹진의 홈페이지 자체가 시각장애인의 접근을 어렵게 한다는 취약점을 발견해 유튜브 채널을 활용한 영상 업로드 방식을 고려했다.
원고를 수합해 교정 작업 이후 배우들에게 전달했다. 녹음 과정에서 유의 사항을 함께 전달했는데, “문장과 문장 사이에 조금의 사이를 갖고” “마이크를 정면에 두고, 원고는 사선으로 두어” “사람 이름, 낯선 단어, 공연 제목 등이 들어갈 때는 조금 더 천천히, 또렷하게” 등의 기술적 사항과 더불어 “동료 배우를 존중” “피드백은 해당 배우가 원할 때만”과 같이 더욱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한 사항을 포함했다.
음성 녹음을 진행했다. 한 기사당 두 명의 배우가 한 팀으로 구성, 두 편의 희곡을 포함한 아홉 팀의 녹음이 총 4일간 진행됐다. 음성 녹음본을 바탕으로 수어 통역 영상을 촬영했다. 세로 화면으로 구성해 수어 통역사의 표정을 포함해 손의 움직임을 더욱 강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디자인 요소에 대한 논의의 부재와 편집 시간의 부족으로 실현하지 못했다.

3단계: 영상 편집·발행

믹싱 작업이 완료된 음성 파일과 수어 영상, 텍스트를 합쳐 영상 기사를 제작했다. 자막에 들어가야 할 정보(제목·필자·수어 통역사·음성 낭독자·원고 등)를 확인하고, 희곡의 경우 인물이 바뀌는 상황을 더욱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배역의 이름을 다른 색으로 처리했다. 영상 기사가 완성된 후, 수어 통역사의 검수를 통해 음성과 수어의 타이밍을 맞추는 작업을 거쳤다.
웹진 화면 배치 역시 쉽지 않았다. 평소 기사보다 들어가야 할 정보가 많았으며, 영상·음성·텍스트 중 무엇을 어디에 어느 크기로 배치하는지에 따라 전달되는 정보와 화면의 가독성이 크게 변화했다. 특히 웹진의 페이지는 사용자의 화면 크기에 따라 구성이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형태였기에 더욱 많은 고민이 이어졌다.
우려와 달리 5월 13일에 맞춰 영상을 포함한 모든 기사가 무사히 발행됐으나, 이후에도 수정을 계속해 발행 후에도 몇 번의 변경 과정을 거쳤다.
현재 웹진 페이지가 가지고 있는 접근성을 개선하고, 충분한 예산을 확보하고, 영상 제작 과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조정한다면 음성 낭독·수어 통역 기사가 ‘특집’이 아니라, 매호 웹진에서 만날 수 있는 당연한 콘텐츠가 되리라 생각한다. 200호의 제작 과정에는 아쉬움이 많으나, 지속 가능하고 효율 높은 방안을 찾을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희망적이었다. 더욱 다양한 콘텐츠로 더 많은 독자를 만나는 웹진을 상상해 본다.

예준미 글, 사진, 영상 뭐가 됐든 연극을 기록하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본 원고는 지면 관계상 편집됐습니다. 원문은 웹진 [연극in]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