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COLUMN

1월호

이창재 감독의 <길 위에서>화두(話頭), 그 실마리를 풀다
화두. 다큐멘터리 영화 <길 위에서>를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꼭 필요한 단어라, 이 글을 시작하는 첫 단어로 사용하고 싶었다. 사전적인 의미로는 이야기의 첫머리, 불교 용어로는 참선 수행을 위한 실마리를 이르는 말이다. 즉 화두란 참선 수행자가 궁극적으로 그 해답을 찾고 싶어 하는 근본적인 문제인 셈이다. <길 위에서>의 이창재 감독이 이 다큐멘터리를 통해서 꺼낸 ‘화두’는 비구니가 된 그들의 ‘화두’, 그 실마리를 찾는 과정이다.

‘무엇을 보고 싶은가’를 묻다

이창재 감독은 <길 위에서>의 촬영을 위해 비구니 수행도량인 백흥암에서 300여 일을 보냈다. 여성 무속인의 삶을 그려낸 다큐멘터리 <사이에서> 이후 7년, 치열하게 정진하는 비구니 스님의 삶에 카메라를 들이댄다. 금기를 깨고 금기의 공간에 들어선 카메라는 내밀하게 비구니들의 일상으로 파고들지만, 비구니들의 삶은 우리가 기대하는 것처럼 더 드라마틱한 과거, 고뇌를 품은 비장한 삶과 거리가 멀다. 그리고 결이 다른 이야기들을 하나로 묶어낸 다큐멘터리는 촬영 자체를 수행의 과정에 녹여낸다. 떠들지 않는 감독의 묵묵한 접근법은 문 없는 방안에 갇혀 오직 기도에만 정진하는 무언수행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
경북 영천시 팔공산 자락의 백흥암은 1년에 딱 두 번, 부처님 오신 날과 백중날에만 일반인에게 개방된다. <길 위에서>를 통해 백흥암 내부가 영상으로 공개된 것은 정확하게 14년 만이며, 비구니들의 수행 과정을 담아낸 것은 최초라고 한다. 이창재 감독은 출가를 결심하고 비구니가 되어 ‘도’를 깨달아가는 수행의 과정을 묵묵하게 바라본다. 감정의 개입 없이, 그의 카메라는 새벽 3시를 울리는 목탁 소리와 함께 깨어나고 저녁 9시까지 이어지는 예불과 명상에 참여한다.
그렇다고 그 속에 오롯한 수행의 과정만 있는 것은 아니다. 행자스님들의 깨알 수다와 장난, 윷놀이 장면도 맑게 담아낸다. 또한 해외 유학 후 교수 임용을 앞두고 불현듯 출가한 상욱 스님, 어릴 때 절에 버려져 동진 출가한 선우 스님, 그 어떤 종교도 ‘나’를 찾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지 않는데 불교만이 ‘나’를 고민하게 해 출가했다는 사차원 민재 스님, 37년이나 수행에 정진했으면서 ‘밥값’에 대해 고민하고 ‘밥값’을 해야 한다고 다짐하면서 울컥하는 영운 스님 등 다양한 비구니들의 모습을 담는다.

경계에 대한 예의

카메라는 멀찍이 풍경 속에 물러나 있다가 내밀한 고백 속으로 깊이 파고든다. 하지만 사적인 호기심을 충족할 만한 이야기를 캐내는 법은 없다. 관객들은 어쩌면 비구니가 될 수밖에 없었던 그들의 기구한 사연을 더 궁금해하겠지만 <길 위에서>가 보여주는 것은 수행의 과정이며, 그 수행의 과정에 참여한 비구니라는 ‘사람’이다.
<길 위에서>에 상욱 스님이 정말 비구니로서의 삶을 살아낼 수 있을지 노스님과 면접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 절에도 시시비비가 있고, 미운 사람도 있다. 속세와 완전히 인연을 끊고 수행만 할 수 있는 안온한 삶만이 존재하는 초월의 공간이 아니라 삶에 밀착된 또 다른 삶의 터전임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길 위에서>에 나오는 스님들의 삶은 엄격한 규율 속에 갇혀 있지만, 사찰은 그들을 과거의 틀에 가둬두진 않는다.
한층 젊어진 스님들은 휴대폰을 소유하며 기념촬영도 하고 만행을 떠나 만난 사람들과 대화도 나누면서 외딴곳에 존재하는 종교가 아니라 사람들의 삶 속으로 자연스럽게 파고드는 불교의 현재를 보여준다. 여기에 동정 어린 시선이나 비판적인 시선, 혹은 꾸미려는 감독의 시선이 머물지 않기에 관객들은 비구니들의 삶을 그저 보여주는 대로 묵도하게 된다. 평생을 해도 도달할 수 없는 수행의 어려움이 밥값의 어려움이라는, 그리고 내가 과연 밥값을 하며 살고 있는가 하는 고민은 비록 비구니가 아니라도 지금, 삶을 고민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던질 수 있는 질문이기도 하다.
금기된 곳에 들이댄 카메라 속에 금기된 일은 담기지 않았다. 사람들의 호기심을 만족시켜줄 만한 장면도, 그들이 비구니가 된 이유도 밝혀지지 않는다. 그저 사람들을 사색하게 만들지만, 맑고 가볍게 툭툭 털어낼 수도 있다. 그들의 삶은 우리보다 무겁지 않고, 우리의 삶이 그들보다 가볍다고 느껴지지도 않는다. 감독은 줄곧 그들과 우리 사이에 선을 그으며, 그 경계가 예의라고 말한다. 속세의 사람들이, 속세를 떠나 살기로 한 그들에게 지켜야 할 예의는 같은 길 위에 서는 것이 아니라 경계를 지켜 삶의 영역을 분리해주는 것이다. 그들의 삶이 우리와 다르지 않아 보인다고, 그들의 삶이 우리와 같다고 생각해서는 안 될 일이다.

글 최재훈__영화감독이 만들어낸 영상 언어를 지면 위에 또박또박 풀어내는 일이 가장 행복한 영화평론가. 현재 서울문화재단에서 근무하며 각종 매체에 영화평론과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