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FOCUS

10월호

‘서울생활 예술선언’을 발표하다 세계시민이 생활예술로 함께하길
지난 9월 21일, 전 세계 29개 국 63명의 생활예술인으로 구성된 특별한 오케스트라가 서울 시민청에서 첫선을 보였다. 공연의 주인공은 9월 열린 ‘제4회 서울국제생활예술오케스트라축제’를 기념해 창단된 ‘서울국제생활예술오케스트라’(Seoul International Community Orchestra, 이하 SICO)이다. 전 세계에 흩어져 각자의 자리에서 살아가는 생활예술인들이 한자리에 모이기란 쉽지 않을 터. 시간과 공간이라는 물리적 한계가 있었음에도 단원들은 금세 눈을 맞추고 음악이라는 언어로 소통하며 인상 깊은 하모니를 이뤄냈다. 시민 관객과 연주자 모두에게 감동적인 무대. UN오케스트라 지휘자이자 클라리넷 연주자인 앙투안 마르기예(Antoine Marguier)가 지휘를 맡은 이 공연에서 시민 관객들은 일상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생활예술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었다.

SICO 공연과 함께 ‘서울생활예술선언’ 발표도 이어졌다. 이날의 하이라이트이자, 세계시민이 생활예술가로 함께하길 염원하는 마음과 실천 의지를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SICO 단원 중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유럽·중남미·아프리카 등 세계의 대륙별 대표 10명이 발표자로 나서 세계시민을 하나로 묶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이들과 손을 맞잡고 지지와 지원을 약속하기도 했다. 세계시민이 연대해 삶을 풍요롭게 하는 생활예술을 펼치자는 ‘서울생활예술선언’. 이날은 생활예술의 건강한 미래를 위해 터를 다지고 씨를 뿌린 역사적인 날로 기억될 것이다.

테마 토크 관련 이미지1 ‘서울국제생활예술오케스트라’ (SICO)의 연주 모습.
2 손을 맞잡은 박원순 서울시장과 SICO 단원들.

선언의 주체는 생활예술인

‘서울생활예술선언’의 취지는 지난 9월 16일부터 24일까지 세종문화회관과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열린 ‘제4회 서울국제생활예술오케스트라축제’가 지나온 여정을 짚어보면 알 수 있다. 2014년부터 시작된 ‘생활예술오케스트라축제’는 국내 420여 개 단체가 참여하며 생활예술 오케스트라의 양적·질적 성장을 이끌어냈다. 그리고 올해 31개 국 70개 단체 4,400여 명의 생활예술인이 참여하는 국제적 축제인 ‘서울국제생활예술오케스트라축제’로 격상됐다. 바쁜 일상을 살아가면서 음악으로 생활예술을 즐기는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국제적인 축제를 만들고, 또 발전시키는 놀랍고 반가운 일이 2우리 앞에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서울국제생활예술오케스트라축제’가 확대·성장한 성과를 생활예술 전 영역으로 확산시키려면 무엇이 필요한가에 대한 고민을 함께 가져왔다. 그리고 해법으로 생활예술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만들고, 그 안에서 생활예술의 비전과 역할을 발전시키자는 주장이 나왔다. 우리 주위의 생활예술 활동 환경에서도 이 선언의 취지를 엿볼 수 있다. 사실 생활예술이란 더 이상 새로운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만 해도 오케스트라를 포함한 다양한 생활예술 활동이 개인 또는 커뮤니티 중심으로 이미 왕성하게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쉬운 예로 인터넷 기반 생활예술 커뮤니티 활동을 보면, 2016년 말 기준 생활예술과 모든 장르를 포함한 인터넷 커뮤니티는 총 2,000만여 개이며, 그중 생활예술 장르는 7%인 145만여 개로 감을 잡을 수 없을 만큼 많은 숫자이다. 그러나 꾸준히 유지되고 활동하는 커뮤니티는 많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인적·공간 지원에 해당하는 생활예술 기반 구축, 생활예술축제 등으로 대표되는 연결, 즉 ‘네트워크’가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생활예술인에게 활동의 안정성을 확보해줌과 동시에 활동 반경을 넓힐 수 있는 기회와 장을 마련해주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전 세계 생활예술인이 연대해 교류할 수 있는 환경 마련의 필요성을 공감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쏘아올린 첫 신호탄이 바로 ‘서울생활예술선언’이다. 이는 서울이 추구하는 생활예술의 비전과 방향성이라 할 수 있다. 세계시민이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생활예술의 가치를 공유하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생활예술 활동을 이끌어내자는 취지를 담고 있다. 선언문은 전문가들이 뚝딱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SICO 단원들의 선발 과정 속에서 그들의 활동 경험과 의견을 수렴해 만들어졌다. 선언의 주체이자 주인공이 생활예술인이기 때문이다.

테마 토크 관련 이미지1, 2 SICO 단원들의 선언문 낭독.

선언의 구체적 실천 방안

선언문에는 생활예술 정의라는 기본적인 개념을 비롯해 생활예술인과 전문예술인과의 동반 성장, 초연결 사회에 걸맞은 생활예술 기반 조성, 교류·협력을 통한 세계시민의 연대 등 건강한 생활예술 환경을 만드는 데 필요한 사항을 담았다. 선언을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2020년까지 생활예술 세계축전 개최, 국제적 협력을 도모하는 생활예술 협력기구 추진, 생활예술 헌장의 제정, 세 가지다.
실천 방안을 하나씩 살펴보면 이렇다. 첫째, ‘생활예술 세계축전’은 생활예술인들이 자생적·자발적 의지로 추진하는 축제다. 지금부터 3년을 준비해 2020년 서울에서 첫 막을 올리고, 이를 트리엔날레(Triennale: 3년마다 열리는 국제전) 형식으로 꾸준히 발전시킬 계획이다. 기간은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이다. 각기 고유한 특성을 지닌 다양한 예술장르 프로그램을 한꺼번에 펼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둘째, ‘세계도시 생활예술 협력기구’는 생활예술의 활성화를 위해 세계 여러 도시의 교류·협력을 담당하는 조직이다. 이는 시민의 자발적 연대만이 아니라 세계 도시와 지방정부의 협력하에서 생활예술 정책을 확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추진된다. 오는 11월, 아시아 최초로 서울에서 열리는 세계도시문화포럼(WCCF)에서 이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다. 셋째, ‘생활예술 헌장’은 생활예술 역량 강화를 위해 폭넓게 공감할 수 있는 기준이다. 서로 다른 배경의 각 분야 생활예술인들이 모여 생활예술 활동을 검토하고 보편적인 가이드라인을 만들어내자는 최초의 시도이기도 하다. 여기에는 이제껏 생활예술 활동에서 거론되지 않은 새로운 가능성의 영역을 찾는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완성까지 약 3년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헌장 제정은 전문가가 일방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이 아닌 세계의 대륙별 생활예술인들이 주도하며 충분한 논의 절차를 거쳐 세계시민들이 공감하는 예술을 통한 삶의 방식을 제안할 것이다.
‘서울생활예술선언’의 실천 방안에 대한 구체적 양상은 현재 서울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생활예술 사업으로 이미 가시화되고 있다. 세계 어디에서도 보지 못한 세계시민 오케스트라, SICO만 봐도 그렇다. 생활예술은 서울시민뿐만 아니라 세계시민들도 자발적으로 참여할 만큼 높은 공감대를 얻고 있다. 이렇듯 서울은 이제 생활예술의 가치와 가능성을 확산시키는 기본적인 역할에 충실함과 동시에, 전 세계 생활예술의 중심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실천 과제들을 추진하겠다는 소신과 뚝심을 가지고 한 걸음씩 나아가야 한다. 세계적인 생활예술 도시, 생활예술 시대를 열어나갈 ‘서울’을 만들기 위해 함께 역량과 지혜를 모아야 한다.

테마 토크 관련 이미지3 서울생활예술선언문.

글 박승현_ 서울문화재단 생활문화지원단 단장
사진 서울문화재단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