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ASSOCIATED

3월호

남산예술센터의 일본, 중국 희곡 낭독공연과 동아시아 희곡문화적 이질과 혼종의 장
희곡 낭독공연이 대세다. 공연 전 쇼케이스 형식으로 올리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국립극단 희곡우체통처럼 신작 희곡을 대상으로 낭독회를 열기도 한다. 필자가 전문위원으로 관계하고 있는 한일연극교류협의회에서도
<현대일본희곡 낭독공연>을 2년에 한 번씩 개최한다. 2018년부터는 한중연극교류협회도 매년 <중국희곡 낭독공연>을 열고 있다.

현대일본희곡 낭독공연 무대에 오른 <그 밤과 친구들>

동아시아 희곡 낭독공연 흥행

낭독공연에 대한 관심과 인기가 대단하다. 2월 21일부터 3일간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에서 열린 <현대일본희곡 낭독공연>은 티켓 오픈 15분 만에 매진되기도 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티켓 판매율이 저조할 것이라는 우려는 기우에 불과했다. 물론 올해 <중국희곡 낭독공연>은 3월에서 9월로 연기됐다. 한일연극교류협의회와 한중연극교류협회는 낭독공연을 여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희곡집 발간도 병행한다. 《현대일본희곡집》은 곧 9집이 출판될 예정이다. <중국희곡 낭독공연>은 전통 희곡과 현대 희곡을 총서로 발행해 스무 편 가까운 희곡을 소개했다. ‘낯설기만’ 하던 동아시아 희곡이 한국 무대에 개성적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과거에는 낭독공연을 독회라고 부른 적도 있다. 말 그대로 희곡을 읽는 모임이다. 그러나 낭독공연이라고 했을 때는 의미가 달라진다. 읽는 행위에 공연성을 가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성격과 개념은 다르지만 공연 못지 않은 역동성과 경험을 안겨주기도 한다. 그래서 생긴 문제도 있다. 낭독공연과 공연의 경계가 흐려지거나 차별화되지 못하는 경우다. 심지어 최근에는 낭독공연의 형식을 빌려온 공연이 무대에 오르기도 했다. 극단 글과무대의 <테라피>라는 공연이다.

낭독공연, 동아시아 연극 교류의 마중물

동아시아 희곡을 낭독공연으로 올리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재정적 이유가 첫 번째다. 소규모 예산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작품을 소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요즘 말로 ‘가심비’를 따질 수밖에 없는 상황 탓이다. 욕심 같아선 작은 소극장이라도 빌려서 공연을 올리고 싶지만 아직은 꿈같은 이야기다.
다른 쪽에서 가치나 의미를 찾는 것도 가능하다. 연출이나 창작자들의 해석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공연보다는 희곡에 더 포인트를 맞췄으면 하는 의도를 강조하는 것이다. 처음 소개하는 것인 만큼 ‘변형’이나 재해석보다는 원작의 가치를 발견하는 쪽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자생적 민간 교류를 위한 마중물 역할에 목적을 두기도 한다. 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공공 교류이기에 가능한 생각이다. 2002년 발족한 한일연극교류협의회만 하더라도 45편의 일본 희곡을 한국어로 번역 소개했다. 반대로 같은 수의 한국 희곡을 일본어로 번역 출판했다. 그 가운데 낭독공연의 연출가가 실제로 무대화한 예가 적지 않다. 물론 협의회와 전혀 무관한 이들의 공연은 말할 것도 없다.
이제 일본에서는 공공 교류에 더는 관심을 갖지 않는다는 소문도 들려온다. 민간 교류의 생태계가 조성된 만큼 자생력에 맡겨두자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의 경우 사정이 조금 다른 것 같다. 귀동냥이나 책에서만 부분적으로 접했던 작품들이 이제 막 번역되기 시작했다. 호기심과 반응은 2000년대 초반 일본 연극에 보이던 것만큼이나 뜨겁다. 고선웅 연출의 <낙타상자>(원작 라오서)와 김광보 연출의 <물고기 인간>(작 궈스싱)이 작년 한 해 큰 관심을 받았다. 올 서울연극제에서는 사예신의 <내가 만약 진짜라면>이 김재엽 연출로 무대에 오를 예정이라고 한다. 모두 <중국희곡 낭독공연>을 통해 소개된 작품이다. 일본과 달리 중국의 경우 체제의 차이에서 생기는 문제도 있을 것이다. 섣불리 미래를 낙관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질과 혼종 속에서 움트는 새로운 상상력

짧지만 동아시아 희곡 낭독공연을 준비하고 경험하면서 느낀 것이 있다. 문화적 동질성에 대한 환상이다. 그것을 회복하고자 교류가 시작됐다. 그러나 교류를 통해 그것이 환상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됐다. 적어도 희곡에서 발견되는 정서와 극작술과 세계관의 차이는 너무나도 극명하다. 차이를 발견하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이 흘렀다. 차이를 발견하고서야 서로를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게 됐다. 문화적 이질성에 대한 확인이다.
지원금에 의존한 공공 교류의 틀에서 벗어나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속된 말로 지원사업에서 탈락하면 행사를 접어야 한다. 불안정성과 위험 부담이 너무 크다. 나라에 따라 지원금이나 예산 규모에 차이가 크다 보니 구색을 맞추는 데 에너지를 낭비한다. 물물교환식 교류를 뛰어 넘는 새로운 그림과 상상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 글에서도 ‘동아시아’라는 표현을 썼다. 어디까지나 편의적으로 쓴 개념이다. 가야트리 스피박의 말처럼 아시아는 경계나 구조를 지닌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유동적이고 생성적인 개념이다. 정치적이고 지리적으로 조건 지어진 아시아의 개념을 스스로 재규정할 필요가 있다. 이질과 혼종 속에서 새로운 상상력이 작동하기 마련이다. 동아시아 희곡 낭독공연이 문화적 이질과 혼종의 장으로 자리매김해야 하는 이유다.

글 이성곤_연극평론가.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교수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