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COLUMN

8월호

유지영 감독의 <수성못>오리면 어때, 날지 않아도 괜찮아
피가 무서운 드라큘라, 채식을 좋아하는 좀비, 거짓말 못하는 양치기 소년, 알프스를 떠나고 싶은 하이디, 늑대가 좋은 빨간 모자, 새엄마보다 안 예쁜 백설공주, 뽀뽀가 싫은 개구리 왕자, 완전한 물고기가 되고 싶은 인어공주.
괴짜 같아 보이겠지만, 살짝 삐딱하고 많이 모자란 우리 모습은 동화 속 주인공과 다르다.
어쩌면 찬란한 해피엔딩과 아주 먼 삶을 살고 있는 우리 인생은 요술할머니도 없고, 평생 왕자도 나타나지 않는 신데렐라이거나 그냥 태생이 못생긴 오리에 가까운 것은 아닐까 의심하게 된다.

바다도 호수도 아닌, 그곳

별로 가진 것 없는 가정에서 태어난 희정(이세영)은 수성못에서 오리배 매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서울 소재 대학 편입을 준비하는 학생이다. 편입이 지긋지긋한 대구에서 탈출하는 유일한 방법이라 생각하며 노력한다. 그러다 잠시 잠든 사이 수성못에서 한 남자가 실종되고, 경찰은 사건을 조사한다. 자신이 오리배를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는 사실을 들킬까 봐 늦은 밤 슬며시 구명조끼를 못에 버리는데, 그 장면을 카메라로 찍은 영목(김현준)은 희정을 경찰에 신고하겠다고 협박하면서 자신과의 만남을 강요한다.
유지영 감독의 <수성못>은 바다도 호수도 아닌 대구의 ‘못’을 배경으로 우리들의 못난 청춘(시절)을 바라보는 영화다. 영화는 어떻게든 살아가려는 희정과 어떤 방법으로든 죽어보려는 영목을 나란히 배치하면서 그 어떤 것도 뜻대로 되지 않는 우리 삶이 정답지가 없는 시험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꿈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희정은 매일 1분 1초도 허투루 쓰지 않는다. 그래서 꿈도 희망도 없이 하루하루 시간만 흘려보내는 동생 희준(남태부)을 한심하게 생각한다. 희정은 뒷장에 자욱이 남을 만큼 매일매일 꾹꾹 눌러쓰는 삶이 가치가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래서 부모에게 손을 벌리지 않고 아르바이트를 하며 자기 삶을 책임지려 한다. 열심히 세상 속에 뒤섞이고 싶지만, 오히려 늘 혼자다. 영목은 자살을 시도한 이력이 있어 자살방지센터에서 사회봉사를 하지만, 다시 한번 자살하고 싶어 한다. 그는 늘 세상에 무심한 듯하지만,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간다.
특이한 것은 영목이 자살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혼자 조용히 사라질 수도 있는데, 그는 늘 사람들을 모아 함께한다. 아주 잠깐이지만 죽기 위해 모인 사람들은 서로의 고민을 이야기하면서 생기가 돌고 반짝거린다. 삶이 무의미하게 느껴져 늘 죽고 싶었지만 같은 처지의 사람들과 나누는 이야기를 통해 위안을 얻는 것처럼 보인다. 영목은 자살이 자신의 삶을 선택하는 유일한 방법이라 말하지만, 이미 그는 많은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또 하루를 애써 함께 살아가고 싶었던 건지도 모르겠다.

날지 못해도 괜찮아

우리는 안데르센의 동화 <미운오리 새끼>의 해피엔딩을 너무 잘 알고 있다. 그리고 현재 처지에 비관하지 말고 최선을 다해 살아가면 언젠가 멋지게 날아오를 수 있다는, 뻔하지만 아름다운 결말을 믿고 싶어 한다. 사실 언젠가는 나도 멋지게 날아오를 백조일 거라 꿈꿔보고, 못난 현재의 나를 다독이고 싶다. 뭉툭한 내 날개도 언젠가는 활짝 펴지는 날이 올 거라 믿는다.
그런데 <수성못> 속 청춘들은 못난이들이지만 처음부터 백조가 아니다. 심지어 호수보다 작은 ‘못’ 위, 진짜 오리도 아닌 오리배 같은 처지다. 유유히 호수 위를 유영하기 위해 오리는 물 아래에서 쉴 새 없이 물장구를 친다는 교훈을 대입하기도 애매하게 모형 오리는 애초에 다리조차 없다. 게다가 오리배는 사람을 태우지 않으면 움직일 수 없다. 두 사람이 부지런히 발을 저어줘야 휘청휘청 겨우 움직인다. 그리고 땀을 흘리며 노력해 봐야 못 안을 빙글빙글 돌 뿐이다.
마지막 장면, 희준은 도를 권하는 여자를 따라간다. 삶이 무료해 그토록 죽고 싶어 하던 희준 역시 누군가와 이야기하며 함께하고 싶었던 것 같다. 감독은 혼자 타면 균형이 맞지 않는 오리배가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두 사람이 함께여야 한다는 것을 조용히 읊조린다. 불완전하지만 누군가와 동행하는 삶을 살아가자고 말한다.
희정은 그토록 열심히 살았지만 결국 부지런한 물질을 멈추고 제자리에 섰다. 영목과 희준은 달리지 않았으니 넘어지지도 않았다. 감독은 청춘들의 꿈이 하늘 위가 아닌 바닥에 있어 그 위를 밟고 지나가야 하는 현실을 외면하지도 동정하지도 않는다. 단단하지 않아도, 너덜너덜해진 마음으로 살아도 괜찮다고 툭 치는데, 그게 또 위로가 된다.

<수성못>(2017)
감독 유지영
출연 이세영(오희정 역), 김현준(차영목 역), 남태부(오희준 역), 강신일(박씨 역)
글 최재훈_영화감독이 만들어낸 영상 언어를 지면 위에 또박또박 풀어내는 일이 가장 행복한 영화평론가. 현재 서울문화재단에서 근무하며 각종 매체에 영화평론과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