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ASSOCIATED

10월호

뮤지컬 <베르테르>와 <시데레우스> 친근하고 감각적인 창작 뮤지컬의 세계로
국내 창작 뮤지컬은 2000년대 이후 꾸준히 성장해 왔다. 창작 뮤지컬에 대해 깊은 애정을 갖고 있는 관객 덕분이다. 전염병 확산이란 극한 상황에서도 이들의 관심은 쉽게 식지 않는다. 특히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베르테르>, 재연 무대를 올리는 <시데레우스>엔 관객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두 작품 모두 친숙한 캐릭터를 내세우면서도 참신한 시각으로 재해석해 호평받고 있다. 그와 동시에 아름다운 음악, 감각적인 무대 구성을 결합해 창작 뮤지컬의 새로운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다.

※해당 공연 일정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변경 또는 취소될 수 있습니다.

뮤지컬 <베르테르> 공연 장면

깊어지는 가을, 지독한 사랑에 빠지다 <베르테르> | 8. 28~11. 1 | 광림아트센터 BBCH홀

매년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는 가을이 찾아오면 <베르테르>가 무대에 오른다. 한 사람을 강렬하게 갈망하는 베르테르와 함께 지독한 사랑의 열병을 앓고 나면, 한층 더 성숙해진 기분이 든다.
이 작품은 국내에서 창작 뮤지컬 제작이 거의 이뤄지지 않던 2000년에 만들어졌다. 당시 해외 라이선스 공연을 주로 보던 관객들은 <베르테르>를 통해 창작 뮤지컬의 매력을 알게 됐다. 창작 뮤지컬 최초로 작품 동호회가 만들어졌을 정도다.
원작은 학창 시절 한 번쯤 읽어봤을 법한 독일 작가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다. 순수한 청년 베르테르가 인형극을 하고 있던 여성 롯데의 싱그러움에 매료되며 이야기가 시작된다. 베르테르는 롯데를 만나 주체하기 힘들 만큼 폭발적인 사랑의 감정에 휩싸인다. 하지만 곧 롯데에게 약혼자 알베르트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절망한다. 어떤 계산도 없이 사랑에 온전히 집중하고 모든 것을 쏟아내는 베르테르. 이 모습은 아슬아슬하고 불완전해 보여도 깊은 연민과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이번 공연에선 5인 5색의 베르테르를 만날 수 있다. 2002년부터 이 작품을 맡아온 간판 배우 엄기준의 농익은 베르테르, 카이의 세련된 베르테르, 유연석의 순박한 베르테르, 규현의 애절한 베르테르를 감상할 수 있다. 지난 4월 tvN 오디션 프로그램 <더블 캐스팅>의 우승자가 된 나현우도 베르테르 역으로 처음 뮤지컬 주연을 맡았다. 오랜 시간 앙상블로 연기해 온 나현우의 목소리를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조광화 연출은 5인의 베르테르 각각의 개성을 최대한 살리며 캐릭터를 입체적으로 그려낸다.
<베르테르>의 짙은 감성은 서정적인 음악과 만나 더욱 애절하게 다가온다. 바이올린, 첼로, 비올라 등 현악기 중심의 오케스트라 연주는 때론 가을 바람처럼, 때론 격정적인 파도처럼 울려 퍼진다. 공연이 끝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도 베르테르의 절절한 노래와 아름다운 선율이 귓가에 계속 맴돌것이다.

뮤지컬 <시데레우스>의 공연 장면

별이 쏟아지는 밤, 광활한 우주에 빠지다 <시데레우스> | 8. 12~10. 25 | 대학로 아트원씨어터 1관

별이 가득한 우주 속에 있는 것만 같다. 뮤지컬 <시데레우스>는 관객에게 신비롭고 환상적인 경험을 선사한다.
이 작품은 2017년 아르코-한예종 뮤지컬 창작 아카데미 독회에서 처음 공개됐다. 이후 충무아트센터의 스토리 작가 데뷔 프로그램 ‘블랙앤블루’를 통해 개발됐다. 2년 동안의 준비 기간을 거쳐 지난해 초연을 올렸다.
<시데레우스>엔 우리가 많이 들어본 실존 인물들이 등장한다. 바로 이탈리아 천문학자이자 물리학자인 갈릴레오 갈릴레이, 독일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다. 작품은 이들의 이야기에 상상력을 가미해 만들어졌다.
이야기는 갈릴레오의 딸이자 수녀인 마리아가 편지를 모두 불태워 달라는 아버지의 부탁을 받으면서 시작된다. 편지는 모두 케플러로부터 온 것이다.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는 ‘천동설’에 대한 믿음이 확고하던 17세기, 갈릴레오와 케플러는 편지를 주고받으며 태양을 중심으로 지구가 돈다는 ‘지동설’에 가까이 다가가게 된다. 하지만 시대의 견고한 벽에 부딪히며 이들의 고민도 깊어진다.
그동안 공연에선 잘 다루지 않던 별, 우주, 과학을 소재로 삼았지만 내용은 어렵지 않다. 작품은 전문적인 용어와 이론을 설명하려 하지 않고, 아름다운 별을 바라보며 심취하는 두 사람의 모습을 그리는 데 집중한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진실을 마주하고 사람들에게 이를 알리려 하는 이들의 용기와 의지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관객에게도 큰 울림을 준다. 그렇다고 해서 극 중 대화가 무겁게 느껴지지도 않는다. 두 사람의 유쾌하면서도 열정적인 대화를 듣고 있으면, 자연스럽게 함께 미소 짓게 된다.
갈릴레오 역은 박민성·임병근·이창용 배우가 연기하고, 케플러 역은 정욱진·기세중·정휘 배우가 맡았다. 마리아는 임찬민·홍지희 배우가 연기한다. 뮤지컬 <김종욱 찾기>, 연극 <환상동화> 등을 올린 김동연 연출이 초연에 이어 재연 무대도 맡았다.
이 작품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것은 무대세트다. 반구형 무대는 우주를 고스란히 옮겨 담은 것 같다. 무대 스크린엔 갈릴레오와 케플러의 눈에 비친 반짝이는 별들이 펼쳐진다. 객석까지 쏟아지는 별빛 조명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마치 우주 한가운데에 있는 것 같은 낭만적인 기분을 만끽할 수 있다.

글 김희경_《한국경제신문》 기자
사진 제공 CJ ENM, 주식회사 랑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