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FOCUS

12월호

우리는 즐길 것이다 늘 그랬듯이

고등학교 교사와 서울문화재단 시민기자에게 코로나가 여전한 2021년에 어떻게 문화를 즐겼느냐고 물었다. 한 사람은 현장의 제맛을 확인했고, 한 사람은 온라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엿봤다고 했다. ‘우리’는 각자의 방식대로 문화를 즐기고 있다.

2020 권리장전 페스티벌 포스터

The show must go on!_문화 향유자의 생각
김규완_고등학교 교사의 2021년 공연 생각

전 세계를 공포와 혼란에 몰아넣은 코로나 사태가 2년 가까이 이어지면서, 많은 사람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고립돼 지쳐가는 요즘이다. 2021년 객석에서 바라본 공연예술계 풍경과 관련된 몇 가지 생각을 적어본다.
우선 떠오르는 가장 큰 변화는 거리두기와 집합금지 명령 상황에서 늘어난 온라인 공연의 확대이다. 팬데믹 와중에 많은 사람이 모이지 않고 각자의 가정에서 평소 보고 싶던 공연을 즐길 수 있게 됐는데, 이는 낯설고 새로운 경험이었다. 공연을 준비하는 입장에 서는 오랫동안 공들인 공연을 사장하지 않고 온라인으로나마 관객에게 선보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을 텐데, 몇 작품을 보려고 시도한 관객 입장에서는, 공연은 역시 현장에 서봐야 한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한 시간이었다.
아울러 어수선한 와중에 사라진 몇몇 행사와 축제가 떠오른다. 그중 2016년부터 5년간 이어지던 소극장 축제 ‘권리장전’이 사라진 것이 개인적으로 가장 아쉽다. 우리가 살아가는 공동체의 다양한 사회적 문제와 주제를 여러 극단의 공연을 통해 생각할 좋은 기회였고, 특히 공연예술계가 젊은 세대에게 말을 걸고 생각을 나누고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흔하지 않은 장이었는데 말이다. 자세한 연극계 사정은 잘 모르지만 올해에는 열리지 않아서 섭섭한 마음이 컸다. 재정이 문제라면 뭔가 공공의 도움을 얻어서라도 내년에는 다시 살아나면 좋겠다.
단 몇 초면 2시간 분량의 영화 한 편을 내려받을 수 있는 이 편리한 디지털 세상에서 공연예술은 갈수록 더 아날로그적이고 원시적 장르가 돼가는 듯하다. 하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시대가 어떻게 바뀌더라도 마지막까지 살아남을 수 있는 분야가 공연예술이라고 생각한다. 코로나 백신을 맞고 시련으로 단련된 공연예술계가 내년에는 더 크게 도약하길 기원한다.
The show must go on!

아르코미술관 전시 <횡단하는 물질의 세계> 중 수지 이바라, 미셸 콥스의 ‘Water Rhythms; Listening to Climate Change’. 녹음된 물소리가 작품임을 알고는 조금 당황했다.

대안에서 발견한 새로운 가능성
조수빈_서울문화재단 시민기자의 2021년 전시 생각

때는 2020년 3월, 교환학생 신분으로 베를린에 있었다. 복잡한 행정 절차와 방 정리로 폭풍 같은 일주일을 보낸 후 한껏 기대에 부푼 채 슈프레섬의 북쪽을 일컫는 ‘박물관섬Museumsinsel’으로 향한 날이다. 예고도 없이 모든 박물관의 문이 닫혀 있었다.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갑작스러운 폐쇄 명령이 내려온 것이다.
그동안 예술계는 어떤 변화를 겪었을까? 지난 2년을 반추하는 마음으로 돌아보면 씁쓸하지만, 마냥 안 좋은 일만 있지는 않았다. 적응하기 위해서 시작된, 지금껏 가능했지만 실행하지 않던 일들은 생활 양상을 바꾸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대표적으로 온라인 환경을 활용한 다양한 시도가 있다. 이제 온라인 공간은 질병을 피하기 위한 대안적 공간을 넘어 적극적인 실험 공간이 됐다.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온라인에만 존재하는 예술 작품도 등장했고, 아예 인스타그램 계정에 갤러리를 만든 사례도 있다. 그만큼 예술 의 가능성은 더욱 무궁무진해졌다.
관객 입장에서 솔직히 털어놓자면, 초기의 이런 시도는 어딘가 어설펐다. 처음 경험한 온라인 전시는 발을 들이지 못하는 전시장에 대한 향수를 일으킬 뿐이었다. 모두에게 다급하게 떠맡겨진 변화이니 어쩔 수 없었지만, 한편으로 아쉬운 감정도 있었다. 그러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환경에 대한 고찰은 온라인만의 장점을 살린 예술 경험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온라인 공간에서 내게 배송된 작품을 ‘언박싱’하는 일은 지금껏 직접 작품을 관람하러 ‘방문’하기만 했던 경험을 흔들어놓았다. 또한 이런 시도는 미술관에는 실체가 있는 조형예술만 전시돼야 한다는 편견을 전복할 더욱 강력한 계기가 됐다.
위드 코로나 시대인 지금, 돌아보면 지난 2년은 장벽에 가로막힌 듯한 나날이었다. 하지만 고개를 들어 장벽 너머를 바라볼 수 있게 만든 것 역시 이때의 시련이 아닐까 싶다. 비온 뒤 땅이 굳어지듯, 예술계의 변화가 관객과 예술가 모두에게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고대한다.

글·사진김규완, 조수빈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