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FOCUS

12월호

배우 성수연
그럼에도, 연극을 하다

성수연은 본인을 배우이자 창작자라고 소개했다.
어릴 적에는 책만 보면 물 마시듯 허겁지겁 읽기 바빴고, 록 음악을 좋아해 고등학교 밴드부를 찾았지만 밴드부는 없어서 대신 연극부에 들어갔다. 2008년 데뷔 후 꾸준히 활동하며 코로나 창궐 이후에도 다행히 예정된 공연을 해온 그에게 코로나와 함께한 2021년에 대해 물었다.

성수연은 중앙대학교 연극학과를 졸업했다. 연극 <한꺼번에 두 주인을>(2012) <몇 가지 방식의 대화들>(2014) <비포 애프터>(2015) <액트리스 원: 국민 로봇배우 1호>(2019) <로드킬 인 더 씨어터>(2021) 등에 참여했으며, 제8 회 대한민국연극대상 신인연기상(2015), 제52회 동아연극상 유인촌신인 연기자상(2016), 제55회 백상예술대상 젊은연극상(2019)을 수상했다.

Q 코로나와 함께한 2021년을 어떻게 지내셨나요?

A 연습이나 공연할 때 해야 될 것들이 확연하게 달라졌어요. 예를 들면 어떤 팀에서는 모두의 동의하에 일주일에 한 번씩 무조건 PCR 검사를 받고, 그 결과를 공유했어요. 연습실 안에서 확진자 혹은 격리 대상자가 생겼을 때의 대응 매뉴얼을 만들 기도 했어요. 일이 닥쳤을 때 우왕좌왕하지 않기 위해서 연출부가 여러 경우의 수를 미리 생각해 대응 방안을 마련했죠. 그리고 연습 과정에서 마스크 벗는 시기를 최대한 늦추는 거죠. 본공연에서는 마스크를 벗잖아요. 상대 배우가 정말 낯설었어요. 상대 배우의 마스크 벗은 모습을 직접 본 일이 적으니까 어머, 저 사람이 저렇게 생겼었지, 싶더라고요. 안전에 민감하고 꼼꼼하게 대비한 팀에서는 연습 중간에 마스크를 벗은 적이 정말 한 번도 없었고, 밥도 거리를 두고 따로 먹었어요. 저 자신에 대해서도 낯설게 느낀 경험이 있어요. 마스크를 쓰고 연기하니까 얼굴 근육을 과하게 사용하거나 혹은 무의식적으로 힘을 빼고 있던 거죠. 리허설하다가 대사가 없는 신에서 제가 입을 벌리고 있더라고요, 마스크 속에서.

Q 현재 웹진 [연극in]에서 동료 배우를 만나 여러 주제로 대화를 나누고 계십니다. 꼭 웹진에서가 아니더라도 코로나를 주제로 어떤 이야기를 주고받으시나요?

A 관객님들이 극장에 공연을 보러 오는 것에 대해 이전보다 훨씬 무게감 있게 생각하게 됐어요. 사람이 밀집한 공간이니 정말로 어찌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관객은 극장에 오지 않는 선택지를 고르기 쉬울 수 있잖아요. 집 밖 공간에서 어딘가로 이동할 때 느껴야 하는 불안감과 긴장감, 감염될지도 모른다는 위험을 감수하고 사람 이 모이는 극장으로 오시잖아요. 그것이 정말 감사한 일 아닌가, 저는 생각해요. 아니, 감사하다는 말은 이상한 것 같아요. 우리를, 창작자를 도와주러 방문하기보다는 연극을 보러 오는 거잖아요. 이런 상황에서도 극장을 찾아주시는 관객님들 덕분에 연극이 무엇인지를 다시 생각해요. ‘현장에서 빚어지는 예술’이라며 글자로만 생각한 것에 가치가 분명히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저도 연극이 대면예술이어야 하는 이유를 찾고 싶었거든요. 그런데 이유를 찾아내서 말로 정리할 필요가 있나 싶을 정도로 그냥, 그가 치를 느끼는 것 같아요. 이런 상황에서도 누군가 극장에 방문하고 우리가 공연하는 일, 그게 신기해요. 소위 말하는 연극의 3요소 중 하나가 관객이잖아요. 연극의 전제인데, 전제가 될 수밖에 없는 그 개념의 가치와 무게를 요즘 몸으로 느끼고 있어요.

Q 최근 온라인 공연이 많이 생기고 있는데 관객 입장에서 어떻게 보고 계실까요?

A 저도 몇 차례 봤는데요. 연극을 영상으로 본다는 차원이 아니라 새로운 장르 같아요. 영화나 영상물도 아니고 연극도 아닌 그것이 결합한 새로운 장르 같고, 연극과는 완전히 다르다고 생각해요. 어떻게 얼마나 담아내고 편집하느냐, 그건 기술 문제잖아요. 기술과 함께 가야만 하는 장르로 보여요. 코로나가 사라지더라도 장르는 장르로서 즐기는 문화가 앞으로 계속 이어질 수도 있겠죠. 개인적 경험으로는 외국 공연이나 직접 가서 보기 어려운 공연을 질 높은 영상으로 볼 수 있어 좋은 점도 있고요. 그렇지만 그 경험은 대면 극장에서 무언가를 감각한 경험과 같다고 할 수는 없어요.

Q 지금 시기에 연기하고 싶은 대상이 있을까요?

A 어쩌다 보니 최근에 비非인간 존재를 연기할 일이 많았어요. 코로 나 이슈와도 연관해 환경을 많이 언급하잖아요. 환경문제를 피부로 느끼면서 인간이 이제까지 무슨 짓을 한 거지, 이런 생각을 하게 됐어요. 그래서 인간이 아닌 존재에 대해 생각하고 싶어요. 우 리는 동물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식물이 어떤 감각을 느끼는지 알 길이 없잖아요. 인간 입장에서 그것을 고민하고 연기할 수밖에 없는데 그것이 얼마만큼 옳은가, 그리고 얼마만큼 유효한가, 그렇다고 계속하지 않을 것인가. 이런 질문을 갖고 있어요. 사실은 인간 이 인간 아닌 존재에 이입해서 연기할 자격이 있나 싶을 때도 있어요. 그럼에도 여러 방식으로 비인간을 계속 연기하고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인간이 인간성 이외의 다른 것을 어디까지 연기할 수 있을까, 관심이 생겼어요. 이런 생각을 하다 보면 인간에 대해 다시 무언가를 감각하게 되기도 하고요.

Q 지금 시기에 연기하고 싶은 대상이 있을까요?

A 어쩌다 보니 최근에 비非인간 존재를 연기할 일이 많았어요. 코로 나 이슈와도 연관해 환경을 많이 언급하잖아요. 환경문제를 피부로 느끼면서 인간이 이제까지 무슨 짓을 한 거지, 이런 생각을 하게 됐어요. 그래서 인간이 아닌 존재에 대해 생각하고 싶어요. 우 리는 동물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식물이 어떤 감각을 느끼는지 알 길이 없잖아요. 인간 입장에서 그것을 고민하고 연기할 수밖에 없는데 그것이 얼마만큼 옳은가, 그리고 얼마만큼 유효한가, 그렇다고 계속하지 않을 것인가. 이런 질문을 갖고 있어요. 사실은 인간 이 인간 아닌 존재에 이입해서 연기할 자격이 있나 싶을 때도 있어요. 그럼에도 여러 방식으로 비인간을 계속 연기하고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인간이 인간성 이외의 다른 것을 어디까지 연기할 수 있을까, 관심이 생겼어요. 이런 생각을 하다 보면 인간에 대해 다시 무언가를 감각하게 되기도 하고요.

Q 지금은 어떤 연극을 연습하고 있나요?

A 지금은 <로테르담>을 연습하고 있고요. 2019년 12월에 한 공연인 데 이번 12월에 재공연해요. 시기를 보니 딱 코로나 발생 직전에 올라간 공연이었네요. 그때는 아무도 마스크를 쓰지 않았고 객석 은 빽빽했죠. 그랬는데 지금 저희는 연습 중에 마스크를 쓰고, 아 마 객석도 거리두기로 운영하겠죠. 이전과 지금이 어떻게 다른지 알 수 있는 공연이 되겠네요.
아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건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여러모로 깨닫는 시기를 보내고 있어요. 그래서 그냥 모두 건강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면 더 바랄 게 없을 것 같습니다. 건강 조심해, 흔한 말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니더라고요.

장영수 객원 기자 | 사진 공간느루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