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문화+서울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SOUL OF SEOUL

4월호

거리를 거닐며 도시의 철학자를 만나다

거리를 걷다 보면 묵언 수행하듯 한자리를 지키고 있는 ‘철학자’들이 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3가역 12번 출구를 나오면 보이는 거인이 그런 경우다.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로부터 형벌을 받은 아틀라스다. 지구본을 든 채 하늘을 향한 그의 탄탄한 몸에서 역경에 굴복하는 나약함은 찾아볼 수 없다. 광화문의 <해머링 맨>은 망치질로 분주하다. 경제 발전에 대한 증언과 어려운 환경에서도 제 몫을 다하려는 노동자들의 굳센 의지를 웅변한다. 청계천 삼일교 주변의 커다란 흰색 고래는 머리와 꼬리가 물살에 씻긴 듯 윤기가 난다. 반면 몸통은 앙상한 뼈로 되어 있다. 환경 보존에 관한 인간의 관심을 촉구하며 푸른 바닷속 자유로운 고래처럼 사람들의 자유와 희망을 응원하는 듯하다.

문화예술진흥법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에 설치하도록 한 공공미술 작품에 대한 나만의 감상기다. 설치 장소도, 바라보는 방향도 제각각이지만, 공공미술은 단순한 장식물이 아닌 도시의 역사와 사람들의 삶을 담고 있는 ‘역사의 기록자’다.

미술관이나 박물관을 돈을 들여가며 찾지 않더라도 이런 ‘거리의 친구들’을 통해 일상을 풍요롭게 할 수 있다. 하지만 공공미술을 즐기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나와는 상관없는 장식품인 양 그냥 지나치기가 일쑤다.

필자는 이런 현실이 안타까워 ‘거리 미술관’이라는 이름 아래 도심 속 공공미술 작품을 소개하는 글을 쓴 적이 있다. 숨겨진 보석 같은 작품을 널리 알려 작가에게는 창작 의욕을 북돋고, 시민에게는 문화예술의 향기를 전하고 싶었다.

‘말 없는 존재’와의 대화에 특별한 방법은 없다. 작품 앞에 서서 외관을 본 뒤, 작품 주변을 돌면서 작가의 창작 의도, 작품의 재질이나 제작 기법 등 나만의 감상 포인트를 천천히 살펴본다. 기획 의도 등을 담은 작품 안내판은 감상 후에 본다. 미리 보면 작가의 의도에 얽매이며 자유로운 감상에 제약이 생길 것을 우려해서다.

상상의 나래를 펴는 즐거움을 안긴 작품들 가운데 조각가 채미지의 <아름다운 꿈꾸는 사람>이라는 작품이 있다.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 2번 출구를 나오면 시야에 들어오는 쌈지마당에 있다. 노랑과 빨강 등 밝은 색감의 풍선이 마치 하늘로 올라가는 듯한 모습을 한 작품이다. 풍선을 붙잡고 하늘로 날아가려는 흰색 옷차림의 소녀도 보인다.

취업준비생이든, 정년퇴직을 앞둔 가장이든 각자의 처지에 따라 감상 포인트는 다를 수 있다. 풍선을 잡은 소녀를 중심으로 감상에 빠질 수도 있고, 소녀를 희망의 나라로 데려다 줄 풍선에 눈길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작가는 이 작품에 대해 “사람들이 저마다 가진 소원이나 꿈의 모양을 다양한 색채로 표현했다”면서, “저마다 즐거운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인천 서구 가정동의 한 상가 건물 입구에 있는 <꿈꾸는 앨리스a Dreaming Alice>도 그의 작품이다. 영국 작가 루이스 캐럴의 아동소설인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토대로 만든 영화에 나오는 “모든 모험은 첫걸음이 필요하다”라는 대사에 영감을 받아 작품을 만들었다고 한다.

풍선을 잡고 하늘로 날아갈 채비를 끝낸 듯한 서울의 꿈꾸는 소녀와 달리, 인천의 앨리스는 머리를 풍선 더미에 파묻은 채 줄무늬 스타킹을 신은 두 다리만 하늘로 내보이고 있다. 지하 세계로 빨려 들어가기 직전인 엘리스의 두 다리에 주목한다. 아무리 좋은 작품을 만들어도 몰라주는 시민들에게 “이렇게 해도 보지 않을 건가요”라며 투정을 부리는 것 같다.

광화문 네거리의 포시즌스 호텔 서울에는 영겁을 담은 조각 작품이 있다. 호텔 주차장 입구에 있는 조각가 최병훈의 <일필휘지In One Stroke>라는 작품이다. 인도네시아 채석장에서 가져온 무게 3톤의 현무암을 깎고 다듬었다고 하는데, 돌이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광택이 난다.

작가는 “수억 년의 세월을 품은 현무암의 영원성에 힘차게 한번 휘두르는 붓놀림이라는 순간적인 예술성을 담아내고자 했다”고 말한다. 코끼리 상아처럼 한쪽으로 굽은 검은색 현무암이 자연 그대로인 거친 갈색 현무암 위에 우주의 조화를 상징하듯, 하나는 하늘을 향하고 다른 하나는 아래를 향한 모습이다.

청와대 본관 접견실과 로비의 가구도 만든 바 있는 그의 조각은 사람들이 감상하지 않을 때는 앉아서 쉴 수 있는 가구인 ‘아트 퍼니처Art Furniture’다. 최근 카타르국립박물관 내 중앙 광장에도 그의 작품 10점이 관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소설가이든 조각가이든 창작 활동을 하는 사람은 영혼이 자유롭고 상상력이 풍부한 사람들이다. 반면 대부분의 사람은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사회가 만든 규율이나 관습에 얽매여 이러한 상상력을 펼치기가 쉽지 않다. 주말을 앞둔 금요일 저녁이면 술집을 찾고, 일요일 저녁이면 다음날 출근 생각에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허다하다.

거리를 거닐다 공공미술 작품이 보이면 잠시 걸음을 멈추고 눈길을 건네보자. 일상의 고단함을 털어버리고 삶을 풍요롭게 할 ‘나만의 거리 미술관’을 만들어보자. 걸으며 건강도 챙기고 일거양득 아닌가.

박현갑 서울신문 논설위원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