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문화+서울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테마토크

7월호

나다운, 나를 넘어서는
개성 넘치는 거문고 솔리스트 삼인방, ‘쓰리고’

차세대 거문고 솔리스트이자 개성 넘치는 창작자로서 거문고의 르네상스를 선도하고 있는 박다울·심은용·황진아가 한 무대에 오른다. 프로젝트 팀 ‘쓰리고’로 2021 여우樂 페스티벌(이하 여우락)에서 <고고고>라는 음악회를 준비하느라 여념이 없는 이들을 만났다.

프로젝트팀쓰리고. 왼쪽부터 황진아·박다울·심은용

개성 넘치는 음악 색깔을 지닌 세 명의 거문고 연주자 박다울·심은용·황진아가 의기투합한 프로젝트 팀 쓰리고는 2021 여우락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박우재가 직접 기획한 ‘디렉터스픽’의 세 팀 중 하나다. 거문고를 전공한 선배이자 동료로서 페스티벌 디렉터가 선택한 아티스트들의 조합이라 더욱 기대가 되는 이들은 루프스테이션1루프스테이션(Loop Station): 일정한 구간을 반복 재생하는 곡 구성 방식과 함께 그러한 악기를뜻한다.을 사용해 음악을 만드는 공통점을 가진다. 쓰리고의 무대 <고고고>는 젊고 신선하며 감각적인 거문고 솔리스트의 삼색 매력이 어떻게 시너지 효과를 가지며 거문고 사운드의 새로운 확장을 이루는지 기대하게 한다.

Q 세 분은 각자 솔리스트로 활동하고 서로 다른 밴드 출신이거나 현재도 앙상블 팀에 소속돼 활동하는데요. 어떻게 한 팀으로 이번 여우락에 참가하게 됐나요?
쓰리고

2021 여우락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박우재 선배가 셋이서 함께 여우락 페스티벌에 공연을 만들어보라고 제안하셨어요. 거문고 솔리스트들이 최근 많이 생기고 국악계에서 거문고가 예전보다 주목받고 있는데요, 박우재 선배 역시 거문고 연주자이기 때문에 이 기회를 살려 개성이 강한 솔리스트들이 모이면 더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한 것 같아요.

Q 팀명 ‘쓰리고’는 어떤 뜻이고, 음악회 이름이 <고고고>인데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요?
쓰리고

거문고란 악기는 현금玄琴의 순우리말로 ‘거문’은 검다는 뜻이고 ‘고’는 금, 국악에 쓰이는 현악기를 총칭하는 말입니다. 우리 셋이 거문고 연주자니까 세 개의 거문고라는 의미로 ‘쓰리고’라고 팀명을 지었고요. 공연 이름도 결국 거문고 세 개가 있다는 의미에서 ‘고고고’로 지었습니다. ‘고’라는 글자에 좋은 뜻이 많습니다. 높을 고도 있고, 살필 고도 있고요. 영어로 가자라는 ‘go’도 있네요.

Q 이번 음악회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나요?
쓰리고

이번 공연에서는 모두 8곡을 무대에 올리는데요. 각자의 대표곡을 한 곡씩 연주하고요, 다섯 곡은 3중주로 연주합니다. 이 중 세 곡은 각자의 기존 곡을 한 곡씩 셋이 같이 연주할 예정이고, 나머지 두 곡은 이번 무대를 위해 새롭게 만들었습니다.

Q 원래 한 팀이 아니었고 각자 활동 배경이나 색깔이 다른, 개성 넘치는 솔리스트들이 한자리에 모여 음악회를 준비하려니 어려운 점도 많을 텐데요.
쓰리고

어려운 점보다 좋은 점이 훨씬 더 많습니다. 무엇보다 기존 곡을 가지고 오더라도 원작자의 의도에서 미처 파악하지 못한 곡의 잠재성이 다른 두 연주자의 색깔과 즉흥성에 힘입어 발전되고 확장돼요. 곡이 더 풍성해지는 느낌이 듭니다. 또 같은 거문고 연주자로서 저에게 없는 다른 두 연주자의 장점을 옆에서 보고 배우며 새로운 자극을 받고 자신을 다시 객관적으로 돌아보는 성찰의 시간도 갖게 돼 좋습니다.

Q 세 명의 공통점은 거문고 솔리스트로서 루프스테이션(이하 루프)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번 음악회에도 루프가 사용되나요?
쓰리고

루프는 일정 구간의 소리를 반복 재생해 시간차를 두고 쌓아나가는 기법입니다. 한 명의 연주자가 즉석에서 여러 패턴을 기계에 녹음하고 재생해 여러 명이 연주하듯 보입니다. 선율이 쌓이는 거죠. 이번에도 곡에 따라, 특히 솔로곡에서 루프를 사용합니다. 삼중주를 할때는 루프가 하던 역할을 세 사람이 단순하게 나눠 반복하지는 않으려 해요. 루프가 내던 소리가 다른 거문고 연주자의 손에 맡겨질 때 훨씬 더 확장된 소리가 구현되는 것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Q 거문고 연주자로서 루프를 사용한다는 점 외에 세 분의 음악에 공통점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쓰리고

거문고 특성상 록 성향이 내재합니다. 거문고가 술대로 치는 악기다 보니 타악적 특성이 강하고 리듬적 성향이 강하게 드러나거든요. 그게 록 특성과 연계되는 느낌이 있습니다.

Q 세 분은 거문고 연주자이면서도 창작자로서 위상을 다져나가고 있어 더욱 주목받습니다. 창작자로서 어떤 음악을 만들고 싶은가요?
심은용

제 안에 내재된 창작 의지는 대학 시절부터 연극이나 영상·무용 등 다른 예술 분야의 아티스트들과 협업하며 표출된 것 같아요. 무엇을 하든 제 음악, 제 거문고가 승부수를 띄울 수 있는 판과 활동을 찾아 오늘까지 왔습니다. 제가 무엇을 하든 분명한 점은 ‘내’게 의미가있고, ‘내’가 재미있고, ‘내’가 하고 싶은 음악과 활동을 해왔다는 것입니다. 솔로 앨범을 내면서 나 자신에 대해 확실하게 알게 된 점은 ‘아, 나는 다른 누군가의 시선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구나’입니다. 제가 듣고 싶은 음악, 제가 듣기에 좋은 음악을 만들고자 하는 욕구가 있습니다. 나 역시 듣는 청중, 대중의 한 사람 아닌가 하는 생각이 있고요, 아무튼 나 자신의 온전한 감정과 전하고 싶은 ‘내’ 소리에 집중하는 편입니다. 또 저는 거문고라는 악기의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봅니다. 어디서든 이러한 거문고의 매력을 잘 표현할 수 있는 거문고 연주자들의 역할이 중요한 시기라고 보는데 저도 그 일원으로서 거문고의 매력과 제 역할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활동을 하고 싶어요.

황진아

다소 추상적이고 담론에 속하는 얘기가 될 수 있겠지만, 저는 창작자로서 궁극적으로 영매 혹은 무당 같은 존재가 되고 싶어요. 제안의 것을 드러내고 저를 보이는 것보다 듣는 이가 제 음악을 통해 그 음악 너머 다른 세계를 만나기를 바라요. 청중이 제 음악을 들을 때 처음에는 황진아가 보이겠죠. 이후에는 제 음악이 통로가 돼 듣는 이의 기억이나 어떤 풍경 혹은 장소 등 다른 세계와 만날 수 있으면 좋겠어요. 그런 의미에서 제 음악이 일종의 ‘통로’가 되기를 바랍니다.
또 제가 음악을 창작하는 중요한 방법이자 태도는 직관입니다. 장르를 나누고 음악을 말로 전달할 때, 혹은 청중이 음악을 접할 때 우리는 작곡가의 의도가 무엇인지, 사용된 음악적 주제나 요소 등이 무엇인지 자꾸 언어로 사고하고 설명하지만 그런 필터 없이 그냥 직관적으로 듣는 이에게 제 음악이 다가가길 바랍니다. 그래서 저는 제 곡에 대한 설명, 특히 음악적 요소에 대해 자세하게 쓰지 않고 작품에 영감을 준 상황이나 배경 등을 간단하게 설명하는 데 그칩니다. 청중이 직관적으로 제 음악을 받아들이길 바라기 때문이죠.

박다울

익숙하지만 새로운 음악을 만들고 싶습니다. 그게 사실 어려운 일이지만요. 또 음악을 만들 때 머릿속에서 특정한 규범에 얽매이는, 일종의 검열을 거치지 않으려 합니다. 그보다는 최대한 직관적으로 제 안에서 우러나오는 사운드를 만들고자 합니다. 제 안에서 그간 배운 것들로부터 해방돼 제 경험을 직접 그대로 녹여내고 싶어요. 제 삶과 제 음악의 결에 간극 없는 일치를 만들어 제 음악을 들을 때 누구나 ‘박다울 음악’임을 알게 하는 것이 최종 목표입니다. 음악을 쓸 때는 이렇듯 직관에 충실하고요, 음악을 무대에서 전달할 때는 음악을 어떻게 상징화할지에 대해 전략적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다소 음악 외적 측면에 대한 얘기이기도 한데요. 사실 음악 내적으로 거문고가 한계 짓는 창작의 요소가 이미 개발되고 충분히 실험됐는데 제가 새롭게 한다 한들 얼마나 새로울 게 있겠는가 하는 생각과 함께, 반대로 대중에게 거문고 음악은 우리 내부에서 아무리 익숙한 것을 보여줘도 새롭지 않을까 하는 두 가지 생각이 공존합니다. 결국은 청중에게 음악을 어떻게 전달하고 보여주느냐가 핵심인 것 같아요. 그래서 외형적 측면, 예를 들어 의상이나 퍼포먼스 같은 이미지나 글로 풀어내는 전달 방식 등에서 저만의 색깔을 보여주려고 합니다.

이소영 음악평론가 | 사진제공 국립극장

2021 여우락 페스티벌 쇼케이스. 음악그룹 나무가 공연하고 있다.

2021 여우락 페스티벌의 새로운 변신

올해로 12회를 맞이하는 ‘2021 여우락2’은 ‘우리 음악 실험의 장’으로 자리매김하며 공연예술계, 특히 국악을 토대로 만드는 음악이 두각을 드러내는 페스티벌이다. 올해는 기존 예술감독과 음악감독으로 이원화된 체계를 벗어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1인 체제를 도입해서 눈길을 끈다. 올해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아티스트 박우재가 맡는다. 박우재는 독창적인 거문고 연주 방식과 음악으로 주목받으며 음악·무용·미디어아트 등 폭넓은 장르를 오가며 개성 넘치는 예술 세계를 구축한 아티스트다.
여우락은 7월 2일부터 24일까지 23일간 총 4개의 콘셉트, 13개의 공연으로 구성됐다. 4개의 콘셉트 중 첫 번째, ‘디렉터스 픽Director’s Pick’은 박우재 디렉터가 직접 기획한 세 개의 공연으로 구성된다. 박우재가 소속된 그룹 무토MUTO와 입과손스튜디오가 함께하는 개막작 <두개의 눈>과 거문고 솔리스트 3인방, 쓰리고의 <고고고>와 음악그룹 나무의 <물을 찾아서-Remastered>다. 두 번째 콘셉트인 ‘여우락 컬래버’에서는 아티스트들의 신선한 협업과 예상 밖 장르 간의 예술 조합이 이루어진다. 신박서클과 재즈피아니스트 윤석철이 만난 <불안한 신세계>, 월드뮤직그룹 공명과 일렉트로닉 록밴드 이디오테잎이 만나는 <공TAPE-Antinode>(폐막 공연), 지난해 비대면 공연으로 진행하며 아쉬움을 남긴 황해도 대동굿 만신 이해경과 사진작가 김영호의 <접신과 흡혼>, 그리고 정가의 명인 강권순과 대중음악계의 거장 베이시스트 송홍섭, 전자음악·재즈로 전통음악을 재창조한 신노이가 함께하는 <나와 일로一路>가 무대에 오른다.
세 번째 콘셉트인 ‘여우락 초이스’ 에서는 독자적 음악 세계로 주목받는 아티스트들의 무대가 구성되는데 추다혜차지스와 가야금 연주자 박순아, 종묘제례악을 일렉트로닉 사운드로 재해석한 그룹 해파리HAEPAARY의 공연이 펼쳐진다. 네 번째 콘셉트, ‘디렉터스 랩Director’s Lab’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박우재의 실험 정신이 돋보이는 프로그램으로 각 공연별로 32명의 한정된 인원만 누릴 수 있는 2021 여우락의 은밀하고 야심만만한 기획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주관 국립극장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