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COLUMN

4월호

서울, 가장 화려한 회색 도시

서울은 회색 도시이며 당최 여유라곤 찾아볼 수 없다는 말을 모두가 심심찮게 하고, 듣는다. 실제로 틀린 말은 아니다. 처음 서울에 왔을 때 지하철 인파 속에서 미안하다는 말도 없이 떠밀리던 기억부터 시작해, 자고 일어나면 바뀌어 있는 동네 가게들, 기회가 많은 만큼 그 기회를 잡기 위해 분투해야 하는 순간들, 누군가 집에 가지 못한 채 만들어내는 황홀한 야경이 순식간에 떠오르는 걸 보면 말이다. 나는 그런 도시를 다시 떠나는 대신 어떻게든 자리 잡아 서울을 기반으로 8년째 일하고 있다. 나름 ‘Based in SEOUL’인 것이다. 첫 회사에 들어간 이후 디자이너 소개 글에서 처음 본 단어였는데, 뭣도 모르면서 이 말이 몹시 멋지다고 생각했다.

그런 내 눈에 들어온 『서울의 워커홀릭들』2024(홍정미 외, 읻다)이라는 제목은 그냥 지나치기가 어려웠다. 책의 뒷면에는 이런 소개 글이 적혀 있다. “다르게 일하고, 새롭게 만나고, 가치 있게 버는 사람들의 이야기”, “확고한 취향과 신념으로 브랜드 성공을 이끈 워커홀릭들의 일, 사람, 돈에 대한 솔직한 문답”. 책에 실린 열두 이름은 이미 애용하는 브랜드의 대표거나 궁금했던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잘 모르는 사람도 같이 소개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해 당장 읽고 싶어졌다.

책을 처음 펼칠 땐 딱 두 가지 생각이었다. ‘소위 성공한 브랜드의 대표는 돈을 어떻게 다룰까?’ 하는 세속적 궁금증과 ‘좋아하는 브랜드의 이야기를 차분히 정리하며 들을 수 있는 기회’라는 기쁨. 당연히 읽는 순서도 돈, 일, 사람 순이었다. 그러나 세 번째 저자의 글까지 읽고 나니 돈은 맨 나중에 읽어도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내 생각은 맞았다. 돈‘만’을 앞세워 일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일과 사람을 챙겼더니 돈이 따라온 경우가 더 많았다. 이들은 양말, 와인, 안경, 방송, 화장품, 음식, 수건, 리추얼 등을 만들었는데, 다양한 품목만큼이나 이들의 일은 딱 잘라 한마디로 설명하기가 어려웠다. 혹여 설명할 수 있더라도 그렇게 간단히 설명하고 싶지는 않았다. 이들의 일은 당사자의 긴 설명이 필요했고, 그 설명 속에서 나는 이들의 공통점을 몇 가지 찾을 수 있었다. 가령 이런 것이다. 생필품을, 자신을 맘껏 드러내는 취향의 물건으로 만들었다는 것(아이헤이트먼데이 대표 홍정미, TWB 대표 김기범), 내 사람에게는 항상 즐거운 근무 환경을 만들어주자고 다짐하고 노력한다는 것(윤YUN 디렉터 윤지윤, 녁 대표 박정묵), 상호 존중의 중요성을 알고 있다는 것(프리랜서 아나운서 김호수, 플레이크 대표 최기웅), 과거의 실패를 인정하고 현재의 위치에서 새로운 미래를 쌓아가는 것(부포컴퍼니 대표 필립포), 모두가 ‘이제 좀 편해지겠네’라고 말하던 순간에 자신의 신념을 따라 회사를 떠난 것(리틀샤이닝모먼트 대표 이종화, 밑미 대표 손하빈), 회사를 꼭 떠나지 않고도 자신과 자기 일을 지킬 줄 아는 것(설화수 브랜드마케터 오하나, 기업 콘텐츠전략팀장 이형기, 분더샵 헤드 바이어 이연수). 이 외에도 이들은 위기를 기회로 바꾸었고 어떤 상황에서든 배웠으며, 기꺼이 스스로 변화하기를 시도했다.

성공을 위한 단 하나의 정답보다는 삶의 레퍼런스를 모으는 시대다. 이런 시대에 이 책은 훌륭한 레퍼런스 모음이다. 열두 명의 이야기는 일, 사람, 돈에 대한 분량의 편차도 꽤 있는 편인데, 평소의 나라면 분량을 정확히 맞추는 걸 선호했겠으나 이번만큼은 이 약간의 들쑥날쑥함이 훨씬 좋았다.

이 브랜드는, 이 사람은 이런 걸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걸 직관적으로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매끄럽게 쓰인 브랜딩 이야기 또한 그것대로 귀하지만, 이미 이들은 매끄러운 브랜딩을 너무나 잘하고 있으니까. 그 뒤에 있는 인간미 가득한 이야기를 듣고 싶었다. 몇몇 저자들의 글 말미에는 짧은 인터뷰가 딸려 있는데, 책을 읽는 내게 던져봐도 충분히 좋을 질문이었다. 너에게 일과 사람과 돈은 무엇이냐고. 어떤 답은 나도 모르게 술술 나와서 깜짝 놀랐고, 어떤 질문은 한 번도 생각해본 적 없어서 답을 하는 데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열두 명의 공통점을 발견하고, 내게 질문할 수 있던 것엔 이 책의 만듦새가 크게 한몫했다고 생각한다. 책은 한 페이지를 위에서 아래로 끝까지 읽는 구성이 아닌 책 전체를 3단으로 나눈 구성이었는데, 이 과감한 구성 덕에 한 사람의 이야기를 세 번씩 읽는 느낌이라 짧은 글임에도 깊게 알게 된 감상이다. 정말이지 이 3단 구성을 제안한 디자이너도 꽤 워커홀릭 아닐지 추측해본다. 워커홀릭은 워커홀릭이 하는 말들을 잘 전하고 싶었을 테니까. 이야기를 잘 전하기 위한 고민의 흔적이 역력한 책 디자인이었다.

일은 원래 재미없는 것이고, 일에서 자아를 찾을 필요도 없다. 일과 나를 완벽하게 분리해서 생계 수단으로만 여겨도 된다고 생각한다. 다만 지난 8년간 일하는 내 모습을 관찰한 결과, 나라는 사람은 일을 좋아하고 잘 해내고 싶어 한다. 매일 9시간씩 꼬박꼬박 나의 하루를 헐어가고 가족보다 많은 시간을 함께하는, 그래서 어느 시절의 나를 설명할 수 있는 큰 키워드인 일을 기왕이면 사랑해보고 싶은 사람이다. 그래서 이 책이 반가웠고, 다음 시리즈를 기다리는 사람이 되었다.

서울은 앞으로도 영영 회색도시일 테다. 그러나 이제는 안다. 단순한 회색이 아니라는 걸. 서울의 회색은 다채로운 색이 겹치고 겹쳐 만들어진 색이다. 서울의 곳곳에서 지금, 이 순간에도 멋지고 건강하고 씩씩한 브랜드들이 우리네 삶에 새로운 색을 하나라도 더 보태고자 애쓰고 있다. 나는 여러 색깔이 섞이고 섞인 회색의 삶을 기쁘게 받아들이기로 했다. 이 회색 도시를 베이스 삼아 일할 앞으로의 수많은 워커홀릭이 기대되는 이유다.

손정승 『아무튼, 드럼』 저자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