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COLUMN

11월호

이경자의 서울 반세기, 공간을 더듬다 241990년대의 시작, 수유동 530번지의 시간

수유동 530-1번지에 지어진 현대빌라

차를 타고 미아리고개를 넘어 그리 가파르지 않은 비탈길을 내려가다 보면 곧장 가거나 오른쪽으로 돌라는 표시의 차선을 보게 된다. 나는 오래도록 오른쪽으로 돌아 정거장에 멈춰 승객을 내리고 태운 뒤 다시 곧장, 혹은 왼쪽으로, 그리고 몇 미터 못 가 곧장, 또는 오른쪽으로 가라고 하는 신호등의 빛을 보았다. 길음사거리라고 불러야 하나? 오른쪽 모퉁이에 역사 깊은 미아리텍사스가 퇴락해 가는 모습 그대로인 곳으로부터 곧장 올라가게 된 길, 삼양로라고 하는 길은 우이동 종점까지 거의 굴곡을 이루며 일직선으로 뻗어 있다. 한참이나 곧장 가게 된 길엔 물론 중간중간에 오른쪽, 왼쪽으로 나가는 길이 있다. 삼양동과 미아동 등등. 골짜기와 산 사이를 지나고 너른 곳이나 야트막한 산기슭에 집들이 지어지고 마을이 생기던 세월이, 이를테면 서울의 성장과 팽창이란 도시화의 모습이다. 무수한 슬픔과 고통과 희망과 절망을 살아낸 가난한 사람들의 시간. 또한 토지 소유자나 개발업자들의 치부(致富)도 함께였다. 그런 개발의 시간에 산이 깎이고 개울이 덮여 숲이 사라지고 개울물이 말랐다. 산과 골, 그런 곳을 집으로 삼아 살아가던 무수한 생명의 터전을 사람들이 ‘개발’한 땅. 개발의 시간을 지나 재개발된 곳. 나는 이런 곳에서 ‘인간 중심 개발’이 살해한 생명의 시간과 공간을 느낀다. 아득한 옛날엔 사람들이 다니지 않았을 것이지만 궁궐의 빨래를 했다는 ‘빨래골’엔 너른 바위가 있고 물이 흐른다. 궁궐의 빨래를 하려면 움직이는 사람이 많았을 터. 빨래골에 갈 때마다 너른 바위가 빨래판같이 보이고 물줄기가 시원하고 물이 많은 곳에 서서 궁인들의 갇힌 삶을 상상하곤 한다. 그런 신분 사회에 태어나지 않은 것만 해도 다행스럽다. 사람 사는 세상이라 여전히 다양한 모순과 갈등이 풀죽처럼 끓지만 적어도 그런 것을 유교 가부장 이념으로 눌러서 미덕으로 치장하는 때는 아니니까, 언뜻 복 받은 느낌이다! 이곳에서 한두 개의 산을 넘으면 화계사가 있다. 조선 중종(1522년) 때 창건된 절이다. 화계사 길을 지나면 가오리(加五里). 가오리를 지나면 장미원이다. 장미원 다음은 4.19사거리. 왼쪽으로 돌면 국립4.19민주묘지. 그 위쪽 끝까지 올라가면 아카데미하우스가 있다.
나는 버스를 타고 이곳을 지나가며, 나로선 알지 못하는 수많은 이농민(離農民)이 도시빈민(都市貧民)이 돼 살아가는 삶의 고단함과 절박함을 느끼곤 한다. 빈민은 좌절도 하지만 그 밑바닥의 생명력은 절박해서 힘차기도 하다.
내가 주로 타고 다니던 버스는 지금의 104번으로 번호가 바뀐 127번이었다. 127번은 국립4.19민주묘지를 지나고 나서 종점에 이르렀다. 지루한 길을 거의 직선으로 달려와 4.19사거리에서 왼쪽으로 돌아 종점으로 오는 건데 여기서 내리면 집이 가까웠다. 하지만 나는 대개 이 버스를 이용하지 않고, 우이동에 종점을 둔 지금의 109번인 8번 버스를 즐겨 탔다. 시내로 나갔다가 돌아오는 길. 장미원 정류장에서 내려 신호등 앞에 섰다가 넓지 않은 길을 건너면 장미원 시장으로 들어서게 된다. 시장에서 누군지는 몰라도 서로 얼굴이 익은 사람들이 꾸려가는 생선 가게, 채소 가게, 정육점, 빵 가게와 떡집, 순대 가게와 건어물집, 기름집 등등에서 이것저것 사면 손가락이 모자라게 비닐봉지를 무겁게 들고 삐뚤빼뚤 이어진 골목길을 걸어 집으로 간다. 자그마한 가게가 수도 없이 업종이 바뀌고 간판이 달라지는 것을 지켜보고, 그러나 바뀌지 않는 공중목욕탕을 지나 달걀과 쌀을 파는 가게를 들러 걷다 보면 아주 커다란 공터가 나왔다. 야트막한 언덕길. 넓고 넓은 공터. 골프 연습장이었다는데 비어 있었다. 골프라면 사진으로만 보았고 흥미를 느끼지 못하니 별 느낌이 없었다. 그러나 그곳은 나이와 상관없이 여자의 몸을 한 사람들은 지나다니기 위험한 곳이었다. 어두워지면 더 그랬다. 기억하기도 싫은 험한 일을 남자사람으로부터 당하고도 말하지 못했다. 이런 공포와 관련한 ‘피해자’라는 이름은 요즘에야 언급되는 것. 수십 년 전엔 불치병처럼 감추고 감춰야 했다. 그래야 살아남을 수 있었다. 그 공터가 노태우 정권 시절 집이 부족하다고 해서 갑자기 평수 좁은 다세대주택 단지로 바뀌었다. 어쨌든 공포의 골프 연습장이 사라져 밤에도 맘 편하게 다닐 수 있게 됐다.
1980년대 중반, 수유동 530-1번지에 현대건설에서 석재를 소비하기 위해(그랬다는 설이 있는) 단단한 우리나라 쑥돌을 벽에 붙인 빌라를 지었다. 그 당시엔 강남의 올림픽선수촌아파트보다 분양가가 높았다. 넓은 단지에 3층으로 지은 빌라는 4개 동으로 나뉘어 있었고 전부 66가구가 입주해 살았다. 이 빌라 단지 위로는 그냥 숲과 산이었다. 넓은 숲은 사람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줬다. 생긴 대로 있는 숲은, 긴장과 억압을 씻어주는 ‘위로’의 터였다. 한창 자라나는 아이들은 그곳에서 다양한 풀과 꽃과 곤충을 만났고, 어른들은 좁은 산길을 오르내리며 피로를 풀고 새 힘을 얻었다.
그리고 세월이 흘렀다. 살고 있는 집으로 돈을 번다는 생각을 못 하거나 그런 것은 옳지 않다고 여기는, 자본주의 탐욕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사람들이 그곳에 남아 있다.
나는 가끔 아직도 현대빌라에 남아 있는 친구를 만나러 그곳에 간다. 살고 있는 집으로 돈을 버는 미친바람이 사람들의 마음을 쑥 더미로 만드는 때, 그 바람의 끝자락에도 서지 못하는 사람들의 열패감, 혹은 자부심.
문득, 정치란 옳은 것을 지켜내는 ‘힘’이어야 한다는 생각이 스친다.
글·사진 이경자_서울문화재단 이사장, 소설가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