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FOCUS

11월호

2017세계도시문화포럼 서울총회 세계도시 문화정책의 현재와 미래
그동안 세계의 문화정책 논의는 서구 중심의 정치·사회 구조에 바탕을 둔 문화정책 사례들을 중심으로 이야기되어온 측면이 크다. 11월 1일부터 3일까지 아시아 최초로 서울에서 열리는 2017 세계도시문화포럼 서울총회(World Cities Culture Summit Seoul 2017)는 서울에서 출발하여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도시들의 맥락을 아우르는 문화정책 의제들을 심층적으로 논의한다.

테마 토크 관련 이미지1 2016 세계도시문화포럼 모스크바총회에서 ‘비전 2030, 문화시민도시 서울’에 대해 발표했다.

세계는 대한민국 서울을 주목하고 있다. 2016년 가을부터 2017년 봄까지 서울의 광장을 비롯, 전국 곳곳에서 평화롭고 축제 같은 분위기로 펼쳐진 촛불혁명은 세계가 한국의 시민과 문화를 다시 한 번 주목하는 계기가 되었다. 서울의 광장은 민주주의를 향한 시민들의 문화적 움직임과 예술가들의 예술행동이 만나 문화정책의 공공성과 예술의 공공성을 되돌아보게 하였다.

창조도시를 넘어서: 문화시민도시에서의 문화와 민주주의

2017 세계도시문화포럼 서울총회의 주제는 ‘창조도시를 넘어서: 문화시민도시에서의 문화와 민주주의’(Beyond the Creative City: New Civic Agendas for Citizens and by Citizens)이다. 서울은 문화를 통한 도시 발전을 추구하던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포용적이며 지속 가능한 성장과 시민의 행복, 시민과 풀뿌리 민주주의의 역할에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약 3년간 시민 참여 방식을 통해 완성한 중장기 문화플랜 ‘비전 2030, 문화시민도시 서울’을 2016년 미래6월에 발표하였다. 비전 2030 문화계획이 발표된 지 1주년을 막 지난 시점에 개최되는 이번 서울총회는 기존의 창조도시나 문화도시 만들기 중심으로 논의되던 세계도시들의 문화정책 의제를 시민이 주인공이 되는 문화정책으로 전환한 서울의 사례를 공유하고, 세계도시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보는 자리이다.
세계도시문화포럼(World Cities Culture Forum, 이하 WCCF)은 세계 주요도시들의 문화정책 정보 공유와 교류를 목적으로 2012년에 공식 발족한 도시 간 정책 네트워크이다. 회원도시는 세계경제에서 뚜렷한 위상을 가지며 국제적인 문화정책 의제를 제시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갖춘 도시들로 2017년 현재 뉴욕, 도쿄, 런던, 모스크바, 상하이, 암스테르담, 파리 등 35개 도시가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세계도시문화리포트>(World Cities Culture Report, WCCR) 등 정책보고서 발간과 공동연구, 각 도시의 통계 데이터 및 정보 교환 등을 통해 국제적인 문화정책 정보 플랫폼으로 기능하고 있다.
매년 각 도시를 순회하며 개최되는 정기총회(Summit)는 올해 6회째로, 회원도시 간의 밀도 있는 문화정책 정보 공유와 교류를 목적으로 매년 11월 초에 3일간 개최된다. 각 도시의 문화담당 부시장, 국장급 관료 및 산하 문화기관 전문가 등 각 도시별 2명씩 초청된 대표단이 참여하여 집중적으로 진행되는 정기총회는 매년 문화정책 주요 이슈를 선정하여 정책 세미나, 분과토의, 사례공유 워크숍 등을 통해 심화한 후, 마지막 날 일반인도 참여하는 공개 정책 세미나에서 종합발표 시간을 가진다.
서울은 2013년부터 WCCF 정회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서울시 문화본부와 서울문화재단이 회원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3년부터 매년 정기총회에 참여하여 서울의 문화정책 사례를 발표하고, 정책보고서 발간 및 공동 연구에 참여해온 서울은 정기총회를 개최하고자 2016년 유치 신청을 했고, 2017년 11월 아시아 최초로 제6차 WCCF 정기총회를 개최하게 되었다. 최근 북핵과 미사일 발사로 인해 고조된 한반도의 긴장감도 세계도시들의 서울에 대한 관심을 축소시키기는 어려웠던 것 같다. 올해 열리는 제6차 정기총회에는 작년 모스크바총회보다 7개 도시가 늘어나 25개 국 총 30개 도시가 참여한다.

2017 WCCF 서울총회 일차별 프로그램 들여다보기

2017 WCCF 서울총회의 프로그램은 기존 정기총회의 구조는 유지하되 2017년 총회 주제와 분과토의 세부 내용의 맥락을 살려 장소를 선정했다. 세계도시 대표단들이 좀 더 입체적으로 서울의 문화정책을 경험하고 논의를 심화해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테마 토크 관련 이미지

첫째 날, 세계도시가 직면한 공통된 현실에 대한 문화정책적 대안을 함께 고민하다

첫째 날 DDP에서 진행되는 개회식에서는 ‘시민이 주인인 문화도시’를 주제로 황석영 작가가 기조강연을 한다. 올해의 기조강연은 매년 총회 주제와 관련해 예술적 영감을 줄 수 있는 삶과 작품세계를 펼쳐온 예술인이 해왔던 전통을 따라 <강남몽>, <장길산>, <삼포 가는 길>, <객지>,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수인> 등 수많은 작품을 통해 민중적 차원에서의 현실 파악과 우리 사회와 역사에 대한 통찰을 보여준 황석영 작가가 맡았다.
첫날 오후의 WCCF 워크숍에서는 세계도시가 지속적으로 고민하는 두 가지 주제와 관련하여 세계 각 도시의 사례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논의한다.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문화와 창조산업’을 주제로 한 <워크숍 1>은 영국 런던에서 환경친화적 문화운동을 주도하고 있는 ‘줄리의 자전거’(Julie’s Bicycle)의 루시 라탐(Lucy Latham)이 진행한다. 문화공간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액션플랜을 추진하고 있는 암스테르담, 공공미술을 통해 물 문제 인식을 제고한 LA의 사례 등을 다룰 예정이다. ‘세계도시들의 도전과제에 대응한 문화공간 만들기’를 주제로 한 <워크숍 2>는 캐나다 아트스케이프 토론토(Artscape Toronto)의 CEO인 팀 존스(Tim Jones)가 진행한다. 창조산업을 지원하는 시드니의 공간혁신전략, 문화소외지역에 일상 속에서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문화시설을 조성한 비엔나의 사례 등이 다루어진다.

둘째 날, 2017 총회 주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하다

둘째 날에는 2017년 총회 주제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정책 세미나와 분과토의가 종일 진행된다. 오전에 돈화문국악당에서 진행되는 정책 세미나는 ‘시민들의 문화생활 속에서 발견한 문화시민도시의 새로운 의제들’을 주제로 진행되며 WCCF 사무국장인 폴 오웬(Paul Owens)이 좌장을 맡는다. 서울연구원의 변미리 박사는 서울시민문화향유실태조사 및 연령대·가구특성별 서울시민 그룹을 대상으로 실시한 FGI 결과를 종합하여 시민들의 문화생활 현실에 대해 논의한다. 경제적 자본뿐만 아니라 사회적 유대와 사회적 자본이 도시생활의 질을 결정짓는 주요한 요소가 된 현재, 시민의 행복 관점에서 시민의 문화생활의 의미를 도시정책 입안자가 다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중국 청두시 부시장인 장젱홍(Zhang Zhenghong), 로마시 부시장인 루카 베르가모(Luca Bergamo), 뉴욕시 문화국장 톰 핀클펄(Tom Finkelpearl) 등이 발제자로 참여하여 각 도시별 시민들의 문화향유 현황과 문화정책을 발표한다. 이를 통해 서울 및 세계도시에서 시민들이 문화에 참여하는 경향은 어떠한지, 각 도시들은 시민들의 일상 속 문화 참여를 어떻게 이해하고 지원하는지 등을 비교해보고 도시의 문화정책 입안자들이 정책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짚어보는 시간을 갖는다.
오후에 진행되는 분과토의는 세부 주제별 세 군데의 장소에서 진행된다. ‘문화와 정치, 광장에서 만나다’를 주제로 한 <분과토의 1>은 지속적인 사회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예술과 예술가의 역할에 대해 집중 토론하는 시간으로, LA의 문화부장인 다니엘 브라질(Danielle Brazell)이 좌장을 맡는다. 광장민주주의와 시민문화를 함께 논의하는 <분과토의 1>은 최근 에버트 인권상 수상자로 선정된 촛불집회 참여 시민들과 예술인들의 광장극장 ‘블랙텐트’의 주요 무대였던 광화문광장이 한눈에 조망되는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로비에서 진행된다. 광장극장 ‘블랙텐트’의 극장장인 이해성 극단 고래 대표가 발제자로 참여한다. 예술가들이 도시의 광장을 시민 참여와 정치적 참여의 장소로 활용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시민 문화의 격동의 순간들은 도시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등을 토론하는 <분과토의 1>에는 대만문화재단 부대표인 앤 양(Ann Yang), 폴란드 바르샤바 문화국장인 토마스 툰-야노프스키(Tomasz Thun-Janowski), 벨기에 브뤼셀시 문화기획관인 드니 로랑(Denis Laurent) 등이 패널로 참여한다.
‘표현하는 일상–삶 속의 문화는 사람들을 행복하게 할 수 있는가’를 주제로 한 <분과토의 2>에서는 문화는 진정으로 시민들을 더욱 행복하게 하는지, 도시정부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를 집중 토론하며 샌프란시스코의 문화국장인 톰 드 캐니(Tom de Caigny)가 좌장을 맡는다. 문화민주주의와 생활문화를 함께 논의하는 <분과토의 2>는 300여 개의 악기상이 밀집한 세계 최대 악기상가로 ‘반려악기 캠페인’을 통해 민간 주도의 생활문화운동을 펼치고 있는 낙원상가에서 진행된다. 세계도시에서 일상의 문화와 생활예술의 역할은 무엇인지, 일상의 문화에 중점을 두면 시민 참여와 행복이 어떻게 확대될 수 있을지 등을 토론하며, 스톡홀름시 문화부국장인 패트릭 릴예그렌(Patrik Liljegren), 홍콩 아트카운슬의 예술개발국장인 퀴니 라우(Queenie Lau), 서울문화재단 생활문화지원단장인 박승현 등이 패널로 참여한다.
‘미래로의 귀환: 작은 규모의 창조적 생산이 세계도시들에서 생존할 수 있는가’라는 주제의 <분과토의 3>에서는 문화와 창조기업이 세계도시의 발전에 좀 더 인간 중심적인 모델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집중 토론하며 영국 브리스톨 워터쉐드의 디렉터인 클레어 레딩턴(Claire Reddington)이 좌장을 맡는다. 미래도시의 문화예술에 대해 논의하는 <분과토의 3>은 한국의 1세대 장인과 예술가, 기술인, 도심제조업과 메이커문화가 공존하는 세운상가의 세운베이스먼트에서 진행된다. 새로운 창의적인 기술과 도구로부터 얻는 혜택을 모든 공동체 구성원에게 보장하기 위해 세계도시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지, 과거의 인적 자산과 물리적 자산을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문화예술과 창조산업은 업무, 생활, 생산의 새로운 방식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등을 토론한다. 중국 선전대 문화산업연구원 디렉터인 웬 웬(Wen Wen), 타이페이시의 문화창조개발국 부부장인 지앙 멩 치앙(Jiang Meng Chiang) 등이 패널로 참여한다.

테마 토크 관련 이미지2 2014 세계도시문화포럼 암스테르담총회.
3 2015 세계도시문화포럼 런던총회.

셋째 날, 미래의 문화를 위한 세계도시의 역할과 향후 협력을 약속하다

셋째 날 오전에 진행되는 ‘세계도시의 문화는 이 시대에 필요한 글로벌 시민정신을 촉발할 수 있는가’라는 주제의 공개 정책 세미나는 3일간의 총회 중 유일하게 일반인에게 공개되며 온라인에서도 생중계된다. 런던 문화부시장이자 WCCF 의장인 저스틴 사이먼스(Justine Simons)가 좌장을 맡는 공개 정책 세미나에서는 이창현 서울문화재단 문화정책위원장이 ‘문화와 민주주의’를 주제로 3일간의 논의를 종합하여 발표하며, 리스본시 문화국장인 마누엘 베가(Manuel Veiga), 모스크바시 문화개발부국장인 블라디미르 필리포브(Vladimir Filippov) 등이 패널로 참여한다. 문화정책이 경제적 성과보다 사람과 사람의 행복을 우선시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문화 중심의 시민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있어 도시정부의 역할은 무엇인지, 새로운 글로벌 시민 정신을 증진시키기 위해 세계도시가 어떻게 협력할 수 있는지 등을 일반 시민과 함께 토론하며 3일간의 세미나를 마무리한다.
셋째 날 오후에 있을 폐회식에서는 총회에 참여한 세계도시들의 목소리를 모아 공동 선언문 ‘세계도시문화포럼 서울선언’을 발표한다. 세미나와 토론에 주로 집중했던 이전까지의 정기총회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이번 서울총회에서는 WCCF 회원도시 간의 약속 및 서울총회에서 다루어진 의제를 반영하여 미래의 문화를 위한 세계도시의 역할과 향후 공동 협력 사항을 공식화하고 세계의 다른 도시와도 공유할 예정이다.

글 남미진_ 서울문화재단 정책연구팀 팀장
사진 서울문화재단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