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문화+서울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테마토크

10월호

47

예인 김성녀,
민중의 마당을
품다

국극 배우 박옥진의 딸로 태어나 다섯 살 때부터 무대에 선 배우이자 국악인 김성녀. [문화+서울]은 2011년 신년호를 통해 ‘연극이 곧 인생’인 대배우 김성녀를 만나 배우로 살아온 연극사를 들어봤다. 모진 세월 속에서 배척받던 마당놀이를 30년간 이어온 주역, 그의 마지막 무대는 시원섭섭하고도 깊은 여운을 남겼다.

“사실 30년 동안 같은 주역 배우, 같은 스태프들이 모여서 같은 작품을 했다는 건 기네스북에 오를 일이에요. 한 작품이 오래 가는 경우는 있어도 배우들은 바뀌잖아요? 그런데 윤문식, 김종엽 씨와 저는 마당놀이에 청춘을 다 바쳤어요. 하지만 아직 섭섭함은 느껴지지 않아요. 항상 최선을 다했고, 관객들이 ‘야, 저 사람들 아직도 건재하구나!’ 할 때 물러나고 싶었어요. 나중에 어떤 감정이 들진 모르겠지만 지금은 아주 담담하고, 사명을 완수했다는 자부심이랄까 그런 게 더 커요.”

그녀가 앞서 말했듯 마당놀이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연극계에서는 연극이 아니라고, 국악계에서는 국악이 아니라고 일종의 배척을 받았더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극인이자 국악인 김성녀는 마당놀이판을 꿋꿋이 지켰다. 그녀가 생각하는 마당놀이의 매력이 무엇이기에, 그 괄시 속에서도 마당놀이에 청춘을 다 바쳤을까?

“기존 우리나라의 연극계는 서양 연극 틀을 그대로 가져와서 무대에 올렸어요. 그러니까 플롯 중심의 문학성이 앞서는 연극, 논리성이 앞서는 연극을 주로 했죠. 그런데 마당놀이는 그야말로 놀이가 먼저예요. 몇 발자국 다가가서 ‘흥보 집 왔다’, 그러면 온 거예요. 논리적이지는 않지만 시공간을 초월한 것, 그게 바로 우리의 놀이예요. 서양의 잣대로 보면 논리적이지 못하지만 우리 잣대로 보면 우리 극의 특징이지요. (…) 또 국악계에서는 우리가 무대 위에서 하는 소리가 오리지널 소리가 아니라며 인정을 안 했죠. 그건 맞는 소리예요. 우리는 국악을 한 게 아니라 한국적인 놀이를 하는 데 있어 우리 소리와 몸짓을 차용한 것이니까요. 어쨌거나 어느 쪽에서든 마당놀이를 하나의 예술 장르로 인정해주지 않았던 거죠. (…) 지금 생각에는, 우리는 배척받는 마당놀이를 했지만 결국 정통 연극인들까지 인정할 수밖에 없는 행보를 걸은 것 같아요.

마당놀이는 서양 연극처럼 배우들이 거룩하게 핀 조명 받으면서 나오는 게 아니라, 그냥 까놓고 툭 나와서 ‘함께 노십쇼’ 하니까 배우들이 신비하게 안 보이잖아요? 그러니까 예술로 안 보였던 거죠. 하지만 마당놀이 같은 서사적인 극 전개가 연극사로 보자면 가장 진보적인 형태예요. 그리고 지금은 우리 마당놀이가 30년을 거치면서 하나의 고전이 됐어요. 그런 와중에 한국인의 연극적인 기호도 찾았고, 또 서양 연극과 대조되는 우리 연극의 특징도 찾을 수 있었죠. 외로웠지만 의미 있는 걸음이었어요.”

2011년 1월호(vol.47)
마당놀이 30주년 고별 무대에 선 배우 김성녀
고나리(시인·기자·편집인) | 사진 박정훈·김진선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