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문화+서울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SOUL OF SEOUL

6월호

어린이의 권리

웹진 [비유] 53호 포스터

아빠가 “이제 계산하게 아빠 줘” 하는데도 어린이는 고개를 가로저을 뿐이었다. 아빠가 다시 “사 줄게. 아빠를 줘야 계산을 하지” 하는 걸로 봐서는 혹시 아빠가 마음이 변해 안 사줄까 봐 걱정하는 게 아닐까 싶었다. 그때 나는 오래 잊기 어려운 장면을 보았다. 앞치마를 두르고 계산대에 계시던 나이 지긋한 사장님이 어린이의 눈을 들여다보며 이렇게 말씀하셨다. “따로 계산해 드릴까요?”
김소영, 《어린이라는 세계》 중

부모의 사랑 안에서 사회화를 시작한 어린이는 가정 바깥의 세계 또한 선의로 가득할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낯선 환경과 새로운 얼굴을 궁금해하고, 자신에게도 어떤 역할이 주어지기를 바란다. 당연하게도 사회는 어린이에게 무한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아직 알지 못해 기대할 수 없었던 다정함을 경험하게 하고, 존중받는 가운데 세상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게 도와야 한다. 직접 경험한 것이 아님에도 나는 서점주가 아이에게 눈을 맞추는 저 순간을 영원히 잊지 못할 것이다. 김소영의 에세이 《어린이라는 세계》를 읽으며 깨달은 것은 어린이를 존중하는 것만이 아이를 대하는 유일하게 옳은 태도라는 것이다. 에피소드가 실린 글의 제목은 다름 아닌 〈어린이의 품격〉이다. 우리 사회는 품격 있는 어린이를 바라지만 어린이에게 기회를 제공하려고는 하지 않는다. 작가는 “정중한 대접을 받는 어린이는 점잖게 행동한다”고 말한다. 나 역시 같은 생각이다. 어린이는 누구나 어른처럼 보이고 싶어 한다. 눈살 찌푸리게 하는 어린이가 있다면 그는 실패하고 무시당하고 조롱당한 경험으로 존중받기를 포기한 존재일 것이다.

“노, 키즈 존이라고요? 아니, 왜요?”
“그게 그러니까…….”
귓속에 벌이 들어간 것처럼 말소리가 웽웽거렸다. 언니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었다. 내 몸은 점점 뻣뻣해졌다. 처음에는 무슨 말인가 싶었다. 하지만 바로 알 수 있었다. 내가 반가운 손님이 아니라는 것을. 들어오지 마시오, 라고 적힌 곳에 들어와 있다는 것을. 나는 엉거주춤 일어섰다.
이숙현, 《우리 빌라, 오 키즈 존》 중

어린이의 몸집과 목소리가 작다고 해서 그들이 느끼는 감정마저 작은 것은 아니다. 소외될 때 느끼는 당혹스러움과 비참함을 어른과 다른 방법으로 피해 갈 리 없다. 굳은살도 없고 옳고 그름을 판단할 충분한 경험이 없어서 더 크게 상처받거나, 차별을 당연한 것으로 알게 되는 더 큰 폭력의 피해자가 된다. 이숙현의 동화 《우리 빌라, 오 키즈 존》은 노 키즈 존을 마주한 심경을 어린이 화자의 시선에서 그린다. 주인공 연서는 인테리어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지켜보며 방문할 날을 기대하던 식당에서 차별을 경험한다. 노 키즈 존이라는 말을 처음 들어보았지만 설레며 찾은 공간이 자신을 밀어내고 있음을 온몸의 감각으로 알아차린다. 연서는 먹지도 못하고 쫓겨났는데 구토를 하고 그 경험을 소화하느라 앓는다. 다행히도 연서는 너무나 용감한 어린이여서 자기 역할을 찾아 실행에 옮기고, 또 너무나도 다행히 다시 상처받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배제의 경험으로 아플 수 있는 게 어린이의 실제라면 현실에 자기 힘으로 부딪혀보는 것은 동화의 힘으로나 가능한 일일 것이다. 게다가 현실을 바꾸는 것은 어린이의 역할이 아니다. 사회가 아직 인지하지 못한 어린이의 권리를 어린이의 목소리를 통해 깨달을 수는 있다. 그러나 무엇이든 가능한 세계를 안겨주지는 못할망정 음식점 입장마저 제한하는 것이 노 키즈 존이다. 이에 대해 어린이마저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면 그 현실은 부끄럽고 한심한 것일 뿐이다. 어린이에게 너그러워질 필요도 없다. 그저 편견을 거두기를, 연서의 용기에 힘입어 적어본다.

김잔디_[비유]편집자 | 사진 웹진 [비유]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