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문화+서울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SOUL OF SEOUL

3월호

진심 가득한 바다에 숨은 작은 거짓 애나의 세계, 감정의 경제

“요즘 사람들은 모든 사생활을 온라인에서 살아.” 뉴욕 사교계에서 사기 행각을 벌이다 체포된 애나 소로킨의 실화를 극화한 넷플릭스 시리즈 <애나 만들기>의 대사다. 그는 아버지가 독일의 재벌이며 수백억의 신탁자금이 있다고 거짓말을 하며 상속녀 흉내를 냈다. 어떻게 수백억 자산가 흉내를 낼 수 있었을까?

미국의 유명 인사와 어울린 애나 소로킨이 실제 가진 자산은 거의 없었다. 그런 그의 이야기가 넷플릭스 시리즈 <애나 만들기>로 만들어졌다. 돈이 없는데 어떻게 호텔에 머물며 명품을 착용했을까. 그에게 깜빡 속아 넘어간 주변인이 바보라서? 그녀의 연기가 훌륭해서? 그렇다기엔 미국 은행권과 부동산, 대형 로펌까지 속아 넘어간 것이 납득되지 않는다.애나 소로킨이 기소된 것은 상속녀 행세를 했기 때문이 아니라 은행에 가짜 서류를 제출해 거액의 대출을 받고, 고급 호텔에 숙박비를 체납했기 때문이다. 넷플릭스가 애나 소로킨에게 32만 달러를 주고 극화를 허락받아 만든 드라마가 바로 <애나 만들기>이다. 구치소에 수감된 애나를 기자가 취재하는 드라마 플롯에서 기자들이 가장 자주 하는 말이 “인스타그램에 있어”이다. 애나의 모든 발자취는 그녀와 친구들 인스타그램에 남아 있다. 유명한 것으로 유명한 사람이 바로 애나다. 애나는 아는 사람의 이름을 팔아 돈을 지불하지 않고 전용기를 빌렸으며 호텔에 장기 투숙하며 요트 여행을 즐기고 고급 레스토랑에 출입했다. 애나는 범죄자이면서도 스스로 콘텐츠가 됐고 소재를 팔았다(범죄자가 범죄 사실로부터 이익을 취하지 못하도록 하는 뉴욕주법에 의해 소로킨은 넷플릭스로부터 받은 돈으로 피해 은행 등에 벌금을 정산했다). 애나의 친구이던 레이첼 윌리엄스는 자신의 피해 사례를 써서 《내 친구 애나: 가짜 상속녀의 진짜 이야기》를 출판했고, 이 책 역시 HBO와 드라마 제작 계약을 맺었다.

정보의 바다 너머 감정의 바다

SNS에서 사기를 치는 것이 애나만은 아니다. 한국에서도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오픈채팅방 등에서 크고 작은 범죄 행각이 벌어진다는 뉴스를 심심치 않게 접한다. 여행 한번 가지 않은 사람도 남이 찍은 사진으로 인스타그램 가계정을 만들 수 있고, 투자 전문가도 아니면서 부자인 것처럼 화려한 라이프스타일을 유튜브에 올려 투자자를 모을 수도 있다. <애나 만들기>에서 애나가 꼬리에 꼬리를 물어 거짓말을 이어 붙이는 장면은 거의 예술의 경지로 그려진다. 하지만 애나가 천재 거짓말쟁이라는 사실보다 중요한 것이 있다. 애나의 친구들은 물론이고 전문 금융인까지 왜 그녀에게 속았을까. 우리는 언제든 소셜미디어에 속을 준비가 돼 있다. 우리는 그저 유튜브 영상만을 여러 개 보고도 영상 속 유튜버에게 친밀감을 느끼고 그의 말을 쉽게 믿는다. 유튜버와 구독자가 그들만의 약속으로 만든 언어는 관계에 끈끈한 결속력을 만들어준다. 인플루언서와 구독자 사이에는 애정과 서사가 쌓인다. 한 음악 플레이리스트 채널 운영자가 ‘라이브 방송’을 예고한 시각에 맞춰 채팅방에 들어가 봤다. 유튜브 라이브 채팅방에서 수다를 떨던 친구들은 별별 고민과 상념을 털어놓았다. 누군가 “나 와인 다 마셨어, 가지러 다녀올게”라고 글을 쓰면 또 다른 사람이 “음악 정말 좋다. 역시 내 취향을 아는 건 OOO밖에 없어”라고 글을 썼다. 그곳에 외로움은 없었다. 인플루언서에게 감정 이입을 하기 때문에 배신감도 크게 느낀다. 유튜버가 실망스러운 행동을 하거나 거짓말을 한 것이 밝혀지면 세찬 매질을 하며 ‘구독 취소’로 응징한다. 구독자를 실망시킨 유튜버는 석고대죄하며 손 글씨를 쓰거나 파리한 얼굴로 사죄 영상을 빠르게 찍어 올려야 한다. 구독과 재생 시간을 투자했기 때문에 유튜버는 구독자를 실망시켜선 안 된다. 우리는 유튜버의 영상으로 위로를 받고, 인스타그램에서 구매 대행을 하는 각종 식품과 기구들을 ‘믿고’ 구매한다. 그곳에 가면 시간이 후딱 가고 외롭지도 않다. 누구보다 긴 시간을 할애한 친밀한 친구가 그곳에 있다. 우정과 취향과 사랑이 넘쳐나는 인스타그램과 유튜브를 감히 가상공간이라 할 수 있을까. 실물경제가 아닌 메타버스와 NFT가 미래 성장 산업이라며 경제 서적이 쏟아진다. NFT가 대체 불가능한 토큰, 디지털 자산을 칭하는 언어라면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이야말로 대체 불가능한 친구가 있는 세계다. 그들이 파는 것은 감정의 경제다.

김송희 《빅이슈코리아》 편집장, 《희망을 버려 그리고 힘내》 저자, 칼럼니스트 | 사진 넷플릭스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