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COLUMN

4월호

음악,
시간을 다르게
감각하는 일

차로 서너 시간을 꼬박 달려 통영의 관문인 원문고개에 도착하는 순간, 벅차오를 정도로 근사한 풍경이 눈앞에 펼쳐진다. 저 멀리 보이는 푸른 바다와 길가에 늘어선 야자수, 굽이진 길 너머로 보이는 야트막한 건물들. 봄볕은 또 어떻게 그렇게 좋은지, 따사로운 빛에 흔들리는 윤슬과 야자수잎을 보고 있으면 왜 예술가들이 이 도시를 그토록 사랑했는지 알 것만 같다.

매년 봄을 맞이하는 장소로 통영을 택한 건 순전히 음악 때문이다. 누군가의 봄은 여의도나 남산 벚꽃길에 있겠지만, 내 봄은 원문고개를 지나 통영국제음악당까지 가는 길 위에 있다. 이 머나먼 남쪽까지 찾아와 봄을 보내는 건 이때 이곳에서만 들을 수 있는 음악이 있어서다. 그러니까 일단은… 현대음악, 그중에서도 현대음악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들, 때론 현대음악의 최신 현대음악이 있어서다.

‘현대음악의 최신 현대음악’이라는 웃기는 말에 대해서는 조금이나마 부연해야겠다. 이 말은 고대부터 이어져온 서양음악사 속 현대음악의 시작점에 놓인 쇤베르크나 그의 제자 같은 작곡가가 아니라 아직 음악사 책에 이름을 적어넣기 이른, 지금 당장 활발히 활동하는 요즘 작곡가들을 말한다. 예를 들어 지난해 상주 작곡가였던 온드르제이 아다메크Ondřej Adamek는 그 낯선 이름만큼이나 미지의 세계를 탐험하는 체코 출신의 40대 작곡가로, 움직임과 소리, 낯선 이야기와 노래 사이에서 참신한 작업을 선보여왔다. 2023년 <북 오브 워터The Book of Water>를 선보인 작곡가 미셸 판 데르 아Michel van der Aa는 50대 네덜란드 작곡가로, 미디어와 극을 섬세하게 다루는 작품을 선보여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통영국제음악제가 아니라면 베니스 비엔날레 정도는 가야 한자리에서 볼 수 있을 이런 작곡가들의 최근 작품을 국내에서 만나는 건 정말 만나기 드문 행운이다.

2023년 통영국제음악제에서 공연한 <북 오브 워터> ⓒTIMF

올해 음악제에서 만날 수 있는 현대음악은 최신보다는 조금 더 고전 쪽에 가깝다. 올해의 상주 작곡가 한스 아브라함센Hans Abrahamsen은 70대 덴마크 작곡가로, ‘슈니Schnee’와 ‘렛미텔유Let Me Tell You’ 등 손꼽히는 대표작으로 이미 널리 이름을 떨쳤다. 시간 감각을 절묘하게 다루는 그의 곡을 듣고 있으면 시간이 멈춘 것 같다가도, 흐르는 것 같다가도, 모든 것이 눈 깜짝할 새 환영처럼 사라지는 것 같기도 했다. 이번 음악제에서는 그가 작곡한 실내악곡· 협주곡· 오케스트라곡과 편곡 작품을 고루 만날 수 있지만, 그중 제일 기대되는 것은 아무래도 왼손을 위한 피아노 협주곡 ‘레프트, 얼론Left, alone’이다. 왼손을 위한 피아노 협주곡은 일찍이 모리스 라벨이 제1차 세계대전에서 한 손을 잃은 파울 비트겐슈타인을 위해 쓴 편성이다. 한스 아브라함센이 같은 형식으로 곡을 쓴 건, 그가 태생적으로 오른손을 잘 쓸 수 없기 때문이다. 그에게 피아노 음악에 관해 또 다른 시각을 갖게 한 이런 조건이 그의 세계에서 어떻게 구현될지를 듣는 것만으로도 몹시 기대되지만, 그 연주를 바로 선우예권이 맡는다는 사실이 한층 더 큰 기대를 품게 한다.

이번 음악제에서 두 차례나 공연될 제라르 그리세Gerard Grisey의 ‘시간의 소용돌이Vortex Temporum’도 놓칠 수 없는 현대음악의 고전이다. 대학 시절, 작곡과 선배가 이 곡은 그야말로 “우주대명곡”이라며, 실연을 들을 기회가 있으면 절대 놓치지 말라고 당부했다. 그 당부를 잊지 않은 채 나는 8년 전 TIMF앙상블의 연주로 이 곡을 들었고, 그것이 정말로 세계대명곡이 아니라 우주대명곡이라는 사실을 몸소 느낀 뒤에 이 곡을 깊이 사랑하게 됐다. 내가 생각하기에 음악이 줄 수 있는 가장 특별한 감각은 시간을 다르게 감각하는 일이다. 시간이 꼬이고, 흘러가고, 되돌아오고, 반복되고, 중첩되며, 한껏 느려졌다가 믿을 수 없이 빠르게 흐르는 그런 일. ‘시간의 소용돌이’라는 제목에 걸맞게 이 곡에서는 그런 일들이 계속해서 벌어진다. 마치 어떤 사건을 한 번은 우리의 맨눈으로, 다른 한 번은 고래의 눈으로, 다른 한 번은 새의 눈으로 바라보는 것 같다고도 할 수 있겠다. 말로 설명하기 어렵지만, 그 소용돌이에 기꺼이 휩쓸려본다면 정말로 마법 같은 경험을 하게 된다.

현대음악 이야기를 한참 했지만 통영국제음악제의 가장 좋은 점은, 그 어떤 음악제보다도 폭넓은 프로그램을 선보인다는 것이다. 누군가는 비발디의 음악을 재해석해 또다시 새로운 음향으로 내놓고, 드뷔시의 피아노곡 ‘달빛’과 에펠탑의 정경을 그린 애니메이션을 한자리에서 경험케 한다. 1920년대 무성영화와 그로부터 한 세기 후에 작곡된 음악을 붙이는 묘한 ‘시네콘서트’를 열기도 한다. 이자람의 판소리 공연도, “프로그램 연주 당일 공개”라고 써놓은 재즈 콘서트도, 이 시대를 다시 되돌아보게 만드는 브리튼 ‘전쟁 레퀴엠’도 주요 행사 중 하나다. 프로그램을 차근히 보고 있으면 과거와 현재, 또는 전통과 현대가 겹겹이 교차하고 중첩되는 이곳이 꼭 ‘시간의 소용돌이’ 같기도 하다.

음악제를 보고 서울로 돌아올 때면 늘 현대, 또는 동시대가 얼마나 복잡한 시대인지를 곰곰이 되짚게 된다. 현대음악 레퍼토리를 기대하고 간 것이지만 결국 내가 그곳에서 만나는 건 우리가 지금 마주하는 음악들, 현재의 감각으로 예리하게 갈고 닦아진 음악들이다. 그것은 여전히 한국의 고전이기도 하고, 유럽 전통의 토대가 되는 음악이기도 하고, ‘음악’이라는 한 단어로 포괄할 수 없는 어떤 공연이기도 하다. 통영국제음악제는 하나의 구심점을 제시하는 대신 다채로운 현재의 음악을 한자리에 펼쳐놓는다. 서로 다른 음악이 모여 만든 그 장면은 꽤 소란스럽고, 울퉁불퉁하며, 때론 탐미적일 정도로 아름답다가도 까다롭고 낯설기 그지없다. 그 복잡다단한 음악제의 풍경이 나는 너무도 만족스러운데, 그건 오늘의 음악이 우리에게 선사하는 감각이 이렇게나 다채롭고 다양하다는 사실을 매번 새롭게 깨닫기 때문이다.

글 신예슬 음악평론가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