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ASSOCIATED

5월호

한국작가회의 이사장 이상국 시인사람들과 함께 나누는 국수, 국수 같은 시
그리운 추억을 떠오르게도, 허기진 마음을 달래주기도 하는 국수. 시인 이상국은 국수와 닮았다. 예술가의 삶이 그 작품과 반드시 일치하진 않겠지만, 이상국 시인은 자신의 작품 속 화자처럼 부드럽고 따듯한 목소리로 이야기한다. “어둠이 허기 같은 저녁/ 눈물자국 때문에/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사람들과/ 따뜻한 국수가 먹고 싶다”(<국수가 먹고 싶다> 중)는 구절같이 그는 사람을 배려하고 보듬는다.

1976년 《심상》을 통해 등단해 50여 년 동안 한국의 대표 시인으로 사랑받아 온 이상국 시인. 그가 2019년 12월 문학 자전 《국수》를 펴냈다. 《국수》는 이상국의 대표 시편뿐 아니라 산문, 작품론, 연보 등을 두루 살펴볼 수 있는 귀한 책이다. 출간 즈음 그는 한국의 대표 문인 단체인 한국작가회의의 이사장으로 선출됐다. 어느 때보다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을 이상국 시인과 한 그릇 국수처럼 따뜻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어려운 시국, 한국작가회의 이사장으로서

트레이드마크 같은 벙거지 모자를 쓰고 나타난 이상국 시인은 ‘권위적’이란 말과는 거리가 멀었다. 부드럽고 신사다웠다. 그의 친근한 모습은, 대선배와의 인터뷰에 잔뜩 긴장한 분위기를 한결 누그러뜨렸다. 그러나 한편으론 그런 시인에게 커다란 단체의 이사장 자리가 부담스럽지는 않았을까 궁금했다. 한국작가회의(이하 작가회의) 이사장으로 취임한 소감에 대해 묻자 그는 ‘소통’에 대해 이야기했다.
“막중한 일이기도 하지만 일단 하게 됐으니 잘해야지요. 무엇보다 지방과 소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운영하고 싶어요. 수도권 위주로 편성된 문화예술계이지만, 지방의 문제에 귀를 기울여 상생하고 싶습니다.”
작가회의는 본회·지회·지부를 포함한 거대한 단체다. 여러 면에서 운영이 쉽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상국 시인은 소통의 힘을 믿고 있었다. ‘소통’이란 말엔 남의 말을 경청하겠다는 의미도 포함돼 있지 않은가. 큰소리를 내기 이전에 남의 말에 귀 기울이겠다는 자세가 그에게서 엿보였다. ‘부드러운 카리스마’를 느낄 수 있었다.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사태로 문화예술계가 어려운 시기에 취임한 것이니 그 시작이 쉽지 않을 거라는 생각도 들었다. 인터뷰가 진행된 4월 둘째 주만 해도 초유의 ‘작가회의 온라인 이사회’까지 예정돼 있었다.
“과거 선배 이사장과 문인들이 작가회의를 이끌어갈 때는 지금보다 사회·경제·정치적으로 더 어려울 때였지요. 그에 비하면 지금의 코로나19 사태는 그나마 나을 수도 있어요. 그래도 시국이 시국인 만큼 어려운 점도 있어요. 감염병이 언제 종식될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작가회의의 사업이 지체되거나 활력을 잃는 것을 조심하려고 합니다.”
의도치 않았지만, 작가회의는 여러 의미에서 혁신적인 집행부를 꾸리게 됐다. 사상 처음 직선제로 사무총장을 뽑기로 돼 있었는데, 그 또한 문자 투표와 온라인 투표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상국 시인은 그에 대해 “사상 첫 직선제 사무총장의 선출로, 제도적으로 훨씬 건강해지지 않았는가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문화예술계에 대한 제언

작가회의 이사장으로서의 일을 이야기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한국문학, 나아가 한국의 문화예술계에 대한 이야기로 화제가 이어졌다. 이상국 시인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인 단체가 재정적으로 힘든 점에 대해서 작가회의 이사장으로서 안타까워했다. 이것은 문화예술계의 문제이기도 했다.
“한국은 잘사는 나라인데, 그런 나라의 문화 선봉을 자처하는 단체가 이렇게 쪼들린다는 것이 아쉬워요. 한국의 문화예술인은, 조선 이후 식민지를 거쳐오며 한시도 편한 적이 없습니다. 늘 어딘가에 저항하거나 개혁을 하는 계층이었습니다. 또 문화예술인은 의인이나 지사적 기질을 갖추고 있었고요. 그러니 돈하고 상관없다고 생각한 것이죠. 그런 인식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문화예술인은 적당히 가난해야 한다고 생각하죠. 이제 이런 사회적 편견도 없어져야 되지 않을까요.”
더불어 그는 “한 나라를 지탱하는 문화예술의 힘”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봉준호 감독이 영화 <기생충>으로 떠들썩한 조명을 받고, 방탄소년단 같은 팀도 해외 음악 차트에서 큰 활약을 보여줬습니다. 그런데 정작 문학은 문화적 반열에서 보면, 저조하거나 뒤처지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노벨상의 여러 수상 분야 중에서도 문학을 최고로 치지 않습니까. 문화 중에서도 문학이 강한 힘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겠죠. 한국문학이 뒤처진 것은 문학 하는 사람들에게 1차 책임이 있겠지만, 그전에 국민의 무관심도 한몫했다고 봐요. 우리나라의 개인별 도서 구입량이 일본의 반도 안 된다는 자료를 본 적 있어요.”
그도 그럴 것이 등단 이후 50여 년 시를 써온 이상국 시인도 공들여 쓴 시에 대해 최저임금에 미치지 못하는 원고료를 받는 실정이다. 작가가 작품에 투자한 시간을 최저임금 같은 물리적 단위로 환산할 순 없지만, “평생을 훈련한 기술로 최저임금도 안 되는 원고료를 받는다는 것이 아이러니하다”라는 그의 말이 공감됐다. 국가가 문화 창달 면에서 “좋은 책을 낼 수 있게 돕는다거나 고료를 뒷받침해 주는 방식”을 준비해야 한다고 그는 말했다. 물론 작가인 그가 자신의 이익을 챙기려는 것은 아니다.
자신 같은 원로 문인이 아닌, 젊은 후배 작가들 입장에서 하는 이야기였다.
“젊은 작가들에게 문학이 그저 아르바이트 정도가 돼버리면 우리 문화의 앞날이 빤하지 않을까요. 그들에게 힘을 주고 격려하며 좋은 문학이 나오도록 터전을 마련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한 문학 단체의 힘으로는 부족하고 정부의 배려나 정책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작가로서의 삶을 정리하는 책, 《국수》

이상국 시인의 문학 인생을 정리하는 자전 《국수》 또한 강원문화재단의 후원으로 발간된 책이다. 문화 정책으로 한 작가가 자신의 작품 세계를 정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는 것이 그에겐 “보람 있고 기쁜 일”이었다. 흥미로운 부분은 그와 함께 선정된 작가가 소설가 전상국 선생이라는 점이다. 한국문학의 두 거장의 이름이 같다는 것이 재미있었다. 자연스럽게 《국수》와 관련된 이야기로 이어졌다.
“50년 가까이 문학을 했으니 그에 대해 정리해 보면 어떨까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대표작을 싣고 산문도 좀 싣고 작품 연보와 서지도 실었어요. 내가 나를 정리한다는 면이 참 좋았습니다.”
책 제목 《국수》에도 뜻깊은 의미가 담겨 있었다.
“나를 알고 있는 사람들, 또 독자들, 그리고 문학의 도반들과 국수를 나눠 먹어야겠다는 마음에 제목을 붙였어요. 내 시 중에서 일반 대중에게 알려진 시가 <국수가 먹고 싶다>이기도 하고요. 처음에는 이상한가 싶었는데 나중에는 잘 지었다 싶었어요. 국수가 부담 없고 소화도 잘되지 않습니까.”
함께 나누는 국수처럼, 함께 나누는 시. 이상국 시인의 문학을 한마디로 정리하는 말로 ‘국수’만한 게 더 있을까.
2022년은 그가 등단한 지 50주년이 되는 해다. 그를 기념할 만한 계획을 준비 중인지 물으니 그는 50주년, 60주년이 됐다고 해서 무언가를 할 계획은 없다고 했다. 그저 “힘이 되는 데까지 열심히 공부해서 나름의 작품을 만들어보려 한다”는 것이다. 존경받는 시인에게 또 어떤 공부가 필요한 것일까.
이상국 시인은 4월 말 동시집도 출간했다. 그는 처음으로 써낸 동시집을 “마지막이 될 동시집”이라고 표현했다.
“동시가 참 어려워요. 말랑말랑한 사고로 써야 하는데, 이미 굳어질 대로 굳어진 사고를 부드러운 언어로 감싼다고 해서 되는 게 아니니까요. 딱딱한 어른의 생각을 부드러운 아이들의 형식에 맞추니 참 어색하더군요.”
늘 공부해야겠다고 말하는 그는 겸손한 사람이다. 처음이자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완성된 그의 동시집이 기다려지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이상국 시인은 마지막으로 아쉬운 소식을 하나 전했다. 오는 5월 콜롬비아 보고타(Bogota)에서 열릴 예정이던 국제도서전이 코로나19 사태로 연기됐다는 것이다. 그는 전상국 소설가와 함께 도서전에 초청된 상황이었다. 가을쯤 여력이 된다면 그곳에 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그와 함께 우리를 달래주는 위로의 한마디도 전했다.
“코로나19로 인해 개인의 삶뿐 아니라 국가나 문화 등 모든 게 다 변화했어요. 아주 큰 변화죠. 그래도 국민들이 잘 이겨내고 있습니다. 자랑스러운 일이죠.”
늘 우리를 따뜻하게 해주는 ‘국수’ 같은 시인, 그다운 말이었다.
글 권민경_시인, 미술평론가
사진 김창제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