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COLUMN

10월호

농담을 농담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걸리는 시간

피터팬컴플렉스PPCX가 부른 이 곡을 무척이나 좋아한다. 긴 제목이 유행하기 훨씬 전인 2003년에 나온 곡을 20년이 지난 지금 정용준 작가의 『저스트 키딩』(마음산책)을 읽으며 떠올릴 거라곤 생각지 못했는데. 참 농담 같다. 저마다에겐 농담을 농담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걸리는 시간이 있다. 즉석에서 와하하 함께 웃고 털어낼 수 있는 농담이 있고, 매우 화내며 상대방과 절연 후 시간이 흐른 뒤에 농담이었음을 깨달을 때가 있으며, 어떤 농담에 숨어 있는 진심을 보며 낭패감을 느껴본 적 있을 것이고, 농담으로 받아들여선 안 됐던 일들도 있다.

『저스트 키딩』은 그런 면에서 아주 거대한 농담집이다. 농담한다는 건 인간을, 삶을, 앞에 서 있는 상대방을 잘 알아야 할 수 있는 일이다. 잘 알지 못 하고 건네는 농담은 무례함만 남긴 채 흩어지거나 돌연 깊은 상처로 남는다. 그렇기에 농담을 하는 사람이 누구인지도 굉장히 중요한데, 정용준 작가라면 믿고 들어도 되겠다고 생각했다. 『바벨』2014(문학과지성사), 『선릉 산책』2021(문학동네), 『내가 말하고 있잖아』2020(민음사), 『소설 만세』2022(민음사) 등으로 인간을 깊이 바라봐온 그가 이번에는 마음산책에서 짧은 소설 시리즈로 열세 편의 작품을 내놓았다.

그러니까 소설들은 죄다 이런 식으로 시작되어 저런 식으로 끝이 났다. 낙서에서 이야기로. 일기에서 편지로. 고백에서 함성으로. 그림에서 문장으로. 산책에서 여행으로 비명에서 음악으로. 혼잣말에서 귓속말로. 새벽에서 아침으로. 끝에서 시작으로. → 8쪽

몇 작품이 특히 기억에 남는다. 학교폭력 피해자를 아들로 둔 세신사 신 씨의 이야기 「돌멩이」, 죽은 사람을 만날 수 있는 펜션에 생을 마감하러 갔다가 누군가를 마주한 「브라운 펜션」, 비루한 과거를 팔아 영원히 밝은 꿈을 샀지만 무르고자 그 판매원을 간절히 기다리는 「너무 아름다운 날」, 어머니를 찾으러 간 아버지를 하염없이 기다리는 톨게이트 징수원의 이야기 「세상의 모든 바다」, 밤길을 걷는 여성을 뒤따라간 다음 반응을 실컷 영상으로 따고서 장난이었다고 말하는 몰카 유튜버를 직접 찾아간 누군가의 이야기인 표제작 「저스트 키딩」까지. 농담은 힘이 제법 강해서 그저 웃자고 하는 말이 아닐 때가 더 많다. 정말로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어서, 그래서 정말 잊을 수 없게 전하고 싶어서 취하는 방식이 농담일 때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 농담을 마주할 때면 우리는 웃음기를 거두고 여느 때보다 귀를 크게 열어 그가 하는 말을 듣는다.

아들은 자신이 왜 그럴 수밖에 없었는지를 설명하다가 옷을 벗었다. 그 장면을 잊을 수 없다. 잊을 수만 있다면 맹장처럼 잘라낼 수만 있다면 배를 가르고 머리를 갈라 이 기억을 없앴을 것이다. 멍으로 가득한 울긋불긋한 몸. 그동안 셀 수도 없을 만큼 많은 이의 몸을 구석구석 보고 살았는데 정작 아들의 몸을 보지 않았다. → 28쪽, 「돌멩이」

그리워지더군요. 슬프고 쓸쓸하고 억울하고 아팠던 날들이. 어둠과 두려움. 실패와 실망. 수치와 부끄러움을 한 번만 더 맛볼 수 있다면 소원이 없겠다, 생각하기 시작했죠. → 48쪽, 「너무 아름다운 날」

“(…) 그런데 끝까지 모르겠는 건…… 이유였어. 도대체 그 사람에게 왜 그랬을까. 그런데 이제 알았어. 이유가 없다는 걸. 생각 자체를 하지 않았으니까. 김민수 씨. 당신은 아직 값을 치르지 않았어요. 사람을 죽인 죄. 또 사람을 죽이려고 한 죄.” → 109쪽, 「저스트 키딩」

작가의 이번 단편들은 환상과 현실, 망상을 부지런히 오가기에 나의 감상 또한 잠시 헛것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그러나 겹겹의 농담을 들춰 첫 번째 겹에 다다랐을 때, 그곳엔 손에 잡히는 우리들의 오늘이 있었다. 학교폭력, 가족의 죽음, 무명의 뮤지션, 소셜미디어 중독, 이상동기 범죄, 붙잡을 수 없던 이별, 근무 중 낮잠 같은 휴식, 헤어진 연인과의 재회…. 냉정한 현실에 뿌리를 둔 그의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그럴 만도 하지’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나도, 내 친구도 겪었던 일이니까, 그 마음을 알 것 같으니까. 각각의 작품에서 불완전한 이들은 그 옆에 있는 또 다른 불완전함을 감싼다. 너만 그런 게 아니라고, 나도 그랬고 당연히 그럴 수 있다고, 이해한다고. 이것은 작품 속 주인공끼리가 아닌, 정용준이라는 사람이 우리에게, 또 우리가 서로에게 응원을 건네는 방식이기도 할 것이다.

“괜찮습니다. 그럴 만해요. 기사님, 포기하지 마세요.” → 54쪽, 「두 남자」 「저스트 키딩」

‘꾸다’라는 단어에는 두 가지 뜻이 있다. ‘꿈을 꾸다’와 ‘남에게 무언가를 빌리다’. 이 책을 이제 와 한 줄로 소개해 보자면 ‘농담이 꾼 인생’이라 말하고 싶다. 농담이 꿈꾸어본 인생이자 인생에서 꾸어온 어떤 것들로 농담을 한 농담집. 삶의 희로애락은 때론 너무 잔인하도록 구체적이지만, 한편으론 내가 살아 숨 쉬고 있음을 선명히 감각하게 한다. 그의 농담은 이걸 분명히 느끼게 해주었다.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기쁨, 슬픔, 절망, 좌절, 사랑, 분노, 수용이 흘러넘쳤다. 앞서 말한 노래에는 이런 가사가 있다. “꿈의 에덴동산도 매일 맑은 날만 계속 되어진다면 사막이 되어버리겠지.” 현실에서 잠시 벗어나 에덴동산을 찾아 떠난 책 속에서 나는 에덴동산에 머물고 싶지 않다고 생각했다. 온 마음 다해 치열하게 느낄 것들이 많이 남았음을 어렴풋이 깨달았다. 그가 건넨 농담들을 어디까지 받아들일지는 당신 몫이다. 이 선택까지가 그가 계산한 농담의 크기 같다.

손정승 『아무튼, 드럼』 저자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