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ASSOCIATED

11월호

작가의 방
‘작가의 방’에서는 문화예술계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를 선정해 인터뷰를 진행합니다.
본 게시글은 《한겨레》의 <서울&>에 소개되는 ‘사람in예술’에 동시에 게재됩니다.
상흠 국악 싱어송라이터기타로 내는 거문고 소리

“거문고와 가야금 닮은 소리를 찾으려 노력했어요.”

활동 기간만 10년이 넘는 베테랑 국악 싱어송라이터 상흠(본명 박상흠)이 7월 11일 발매한 첫 정규 앨범 <마주한 거울>의 준비 과정을 이렇게 소개했다.
이번 앨범엔 자신이 직접 작곡과 편곡을 마친 10곡을 담았는데, 특히 피아니스트 박성도, 일본인 퍼커셔니스트 다무라 료, 경기민요 소리꾼 여성룡, 드러머 양현모, 싱어송라이터 도빛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인 세션단만 봐도 앨범의 깊이를 짐작게 한다.
상흠은 가장 대중적인 현악기인 ‘기타’를 연주하면서 “어떻게 하면 우리 전통음악의 소리를 구현할 수 있을지” 고민해 왔다. 그렇게 해서 기타의 줄을 ‘뜯고 누르는’ 방식을 발견했는데 이것을 ‘상흠표 컨템퍼러리 국악’이라 불렀다.
그는 지난해 발매한 디지털 싱글 ‘연장선’이 음악적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하나의 점을 찍었다면, 이번 앨범은 더 뚜렷한 국악 요소와 다양한 장르를 결합해 독창성과 대중성을 겸비했다고 소개했다. 또한 그는 다루지 못하는 악기가 없을 정도로 폭넓은 스케일을 자랑하는데, 어쿠스틱 기타와 일렉트릭 기타, 콘트라베이스, 일렉트릭 베이스까지 모든 곡에 연주자로도 참여했다. 오랫동안 활동해 왔지만 단 한 번도 ‘뜨는 뮤지션’이었던 적이 없었기에 음악계의 냉혹한 현실을 누구보다 잘 안다며, 이번 앨범은 현대사회의 외로움과 불안, 현실과 꿈이 마주한 삶에서 자신을 위로한 곡들로 채웠다.
홍대 앞과 청계천에서 거리 아티스트 활동을 통해 음악적 기반을 탄탄하게 다져온 그가 디스코부터 월드뮤직, 재즈, 리듬 앤드 블루스(R&B), 유로사운드, 대풍류까지 장르를 넘나들던 광폭 행보를 넘어 이제는 어떤 길을 꿈꾸고 있을지 궁금했다.
“길거리 소음도 누군가에겐 음악이 될 수 있듯이 현대적이고 독창적인 표현 방식에 초점을 둔 국악을 흠모하고 싶습니다. 우리 모두가 좋아하는 국악을 연주하는 게 꿈이에요.”

상흠은 ‘더뉴재즈밴드’에서 콘트라베이스 연주를 시작으로 ‘비버의숙제’에서 기타와 보컬을 맡고 ‘킹스턴루디스카’에서 일렉트릭 베이스를 연주했다. ‘보싸다방’과 ‘무드살롱’에서 리더를 맡았다. 서울문화재단의 2019 아트서울 기부투게더, 2020 예술창작활동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바 있다.

조정래 영화감독판소리 사랑한 영화감독

“한도 많고 흥도 많은 우리 정서가 집약된 전통음악 아닐까요?”

전통음악을 소재로 한 뮤지컬 영화 <소리꾼>의 메가폰을 잡은 조정래 감독은 영화의 흐름을 주도한 판소리를 이렇게 정의했다. 지난 7월 1일 영화를 개봉한 뒤 동료 국악인뿐 아니라 수많은 예술가의 지지와 응원에 힘입어 “<서편제> 이후 가장 한국적인 판소리 영화가 컴백했다”는 평을 받은 작품이다.
“판소리를 사랑한 영화감독”이라고 소개한 그는 그렇게 부른 계기를 대학 시절에 작성한 리포트로 기억했다. “‘서편제2’라는 시나리오를 써서 언젠가 임권택 감독님께 보여드리고 싶었는데, 학생 신분으로 어떻게 다가갈 수 있었겠어요? 소심하게 있다가 제대 뒤 작법 시간에 ‘회심곡’을 썼는데, 이게 영화의 모티프가 됐어요.”
영화학을 전공한 그는 졸업 뒤엔 동문 후배인 최용석 소리꾼과 공동으로 설립한 ‘바닥소리’에서 활동하면서 판소리의 매력에 빠졌단다. 여기에서 그는 고수를 맡았는데, 어린이 창작 판소리와 소외당한 이들을 위한 공연 등을 이어오면서 ‘위안부’ 피해 할머니도 만났고, 국악인들과 교류를 이어올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학창 시절부터 미쳐 있다시피 했던 판소리 덕분에 그는 한국적인 영화를 찍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자신의 첫 장편영화인 <두레소리>가 국악을 소재로 한 것이라든지, ‘위안부’의 사연을 담은 <귀향>의 음악이 대부분 국악으로 채워진 것도 여기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거대 자본이 투입된 블록버스터 위주로 상영관을 내주는 영화계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숨기지 않았다.
“요즘같이 힘든 때 힐링이 되는 한국적인 영화도 있는데, 어려운 때일수록 자본의 논리가 더 강화되는 거 같아요. 판소리에 대한 이해만큼 우리 영화도 많이 사랑해 주세요.”

조정래는 중앙대학교 영화과를 졸업했으며, 2000년 단편영화 <종기>로 데뷔했다. 제53회 대종상영화제에서 신인감독상(2016)을, 제51회 휴스턴국제영화제 심사위원특별상(2018)을 받았다. 주요 작품으로는 <두레소리>(2011), <파울볼>(2014), <귀향>(2015), <귀향, 끝나지 않은 이야기>(2017), <에움길>(2019), <소리꾼>(2020)이 있다.

글 이규승_서울문화재단 홍보IT팀장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