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과잉의 시대, 문화예술 탐색하기
서울문화재단 주요 누리집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에 ‘찾아보고 싶은’ 서울문화재단 주요 누리집 13곳을 소개한다.
정보화 시대를 넘어 정보가 넘쳐흐르는 시대의 문화예술은 발견보다 탐색이 더 중요하다. 예술을 향한 접근은 전보다 더 쉬워졌지만 정작 내가 보고 싶은 예술을 찾는 일은 더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서울문화재단은 예술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온라인 플랫폼을 설계해왔다. 예술인을 위한 공모 지원, 시민을 위한 문화 향유 기회 제공, 기록과 축적의 아카이브까지. 일차적인 정보 제공을 넘어 온라인이 문화예술 향유의 출발점이 될 수 있도록 플랫폼 하나하나에 ‘예술로 가는 길’을 만들어왔다. 남녀노소 다양한 이들이 걷는 이 길에는, 장애 유무나 정보기술에 대한 익숙함과는 관계없이 누구든 편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웹 접근성 표준 또한 꾸준히 반영하고 있다. 복잡하거나 난해한 디자인보다는 누구나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화면 구성, 정보는 꼭 필요한 것만 명확하게 제공하는 것도 필수다.
온라인 플랫폼은 한번 구축하고 끝나는 게 아니라 계속 손보고 가꿔야 살아 있는 통로가 된다. 정보는 빠르게 바뀌고 기술은 진화하며, 무엇보다 사람들의 사용 방식이 계속해서 달라지기 때문이다. 기능은 더 단순하게, 화면은 더 직관적으로, 정보는 더 명확하게 정리하고, 불필요한 중복은 줄여야 한다. 너무 많은 정보는 오히려 피로감을 준다. 서울문화재단은 꼭 필요하고 중요한 것에 집중하는 플랫폼을 목표로, 모바일 환경에서의 신청과 정보 검색의 편의성 강화, 사용자 질의 기반의 맞춤형 정보 제공 서비스 도입 등을 숙제로 삼아 계속해서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더 많은 시민이 더 쉽게, 더 빠르게, 더 편하게 예술과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
-
서울문화예술지원시스템 SCAS scas.kr since 2021. 2
예술지원 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예술인을 위한 핵심 플랫폼으로, 신청부터 심의·교부·정산까지 공모의 전 과정을 온라인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술지원의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 매년 기능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현재 재단 운영 플랫폼 중 가장 활발하게 기능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
-
서울예술지원 선정작 정보 포털 SPAC spac.sfac.or.kr schedule 2025. 7
연간 500편 규모의 예술창작활동지원 선정작 정보를 소개하는 플랫폼으로, 오는 7월 15일 운영을 시작한다. 시민과 예술인을 이어주는 여러 작품 정보가 게시되며, 문화예술 공간을 기반으로 한 검색 또한 가능하다.
-
서울문화재단 통합대관시스템 SIRS sirs.sfac.or.kr since 2024. 12
서울문화재단이 운영하는 문화예술 공간을 대관하고 싶다면 SIRS 안에서 한 번에 신청할 수 있다. 현재는 일부 공간에 한해 운영 중이며, 이용 대상 공간은 순차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
서울예술상 seoulartsawards.com since 2023. 2
서울예술상은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활동지원 선정작과 서울에서 발표된 예술 작품 중 한 해 동안 시민에게 감동을 선사한 순수예술 분야 우수 작품을 선정해 시상하는 사업이다. 이 플랫폼에서는 올해로 3회째를 맞이한 서울예술상의 역대 수상작과 시상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서울예술인지원센터 sfac.or.kr/sasc since 2024. 11
예술인을 위한 법률·심리 상담을 신청할 수 있으며, 공모만 아니라 예술인 일거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예술인은 이곳에서 자신을 홍보하는 프로필을 등록해 일거리를 구할 수 있고, 반대로 예술인의 손길이 필요한 곳에서는 일거리 공고를 올릴 수 있다. 구인처-구직자 간 직접 소통 창구를 지원해 신속한 일거리 매칭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
서울시민예술학교 sfac.or.kr/asa since 2024. 4
강의·토크콘서트·예술 체험 등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는 플랫폼. 오픈 초기에는 프로그램 신청·마감·대기·취소·자동 승인 등 신청 처리에 관한 다양한 변수가 있어 운영이 쉽지 않았으나 실제로 누리집 가동을 시작해 경우의 수에 맞는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보며 현재의 효율적인 방식으로 정리됐다.
-
서울청년문화패스 youthcultureseoul.kr since 2023. 4
서울청년문화패스는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20~23세 청년에게 공연(뮤지컬·연극, 클래식 음악·오페라, 발레·무용, 국악) 및 전시 관람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문화예술 시장 활성화를 위해 문화이용권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서울청년문화패스 이용자라면 해당 누리집에서 다양한 대상 작품을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다.
-
서울어텀페스타
schedule 2025. 82025년 서울문화재단이 신설한 공연예술 통합 브랜드 ‘서울어텀페스타’의 플랫폼으로, 8월 중 오픈을 앞두고 있다. 100여 편의 공연·축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허브로 시민에게 다가간다.
-
아트서울 기부투게더 sfac.or.kr/givetogether since 2014. 11
서울문화재단이 그간 추진한 제휴사업과 캠페인을 소개한다. 기업 파트너십과 제휴 관련 문의 또한 가능하며,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부·제휴 플랫폼이다.
-
공연물품 공유 플랫폼
리스테이지 서울 re:stage seoul restageseoul.or.kr since 2023. 5서울시와 서울문화재단이 공연물품의 공유와 재사용을 위해 운영하는 공익 목적의 플랫폼으로, 대도구·의상·소품 같은 공연물품을 빌리거나 맡길 수 있다.
-
서울문화재단 아카이브 sfac.or.kr/archive
서울문화재단에서 생성한 영상·사진·간행물·웹진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통합 제공하는 시각 기반 디지털 아카이브. 재단의 역사와 그간의 걸어온 길이 궁금하다면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서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아카이브 모아, 담아 moda.or.kr since 2021서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아카이빙을 위해 개설된 플랫폼. 2021년부터 현재까지 지원사업에 선정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단체·개인별 프로그램 모집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
남산예술센터 디지털 아카이브 nsac.or.kr since 2020. 12
2020년 12월 31일부로 운영이 종료된 남산예술센터 12년간의 기록물을 차곡차곡 저장해둔 아카이브 플랫폼.
글 김지승 서울문화재단 정보관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