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검색 창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FOCUS

2월호

틀 밖에서 상상하라
밀레니얼 세대와 오팔 세대의 창작자들

198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초반 출생한 2030 세대를 일컫는 밀레니얼 세대와 은퇴 후 새로운 활동과 활기찬 생활을 이어가는 5060 세대인 오팔 세대. 최근 소비 트렌드를 이끄는 핵심 축으로 꼽히는 두 세대는 문화예술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이들 세대에서 주목할 만한 창작자들을 통해 이들이 즐기고 소비하는 문화예술의 모습을 살펴봤다. 밀레니얼 세대는 ‘디지털 세대’답게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해 문화예술에 적용하고 있으며, 오팔 세대는 새로운 시도를 통해 자신의 숨어 있던 문화예술 욕구를 발견하는 모습이 눈에 띈다.

<탱크> 전시 전경.(아트선재센터 제공, 사진 김연제)

밀레니얼 세대

김희천 작가

김희천 작가(1989년생)는 데뷔 때부터 게임 등을 이용한 가상현실(VR)을 소재·주제로 작업하면서 디지털에 익숙한 밀레니얼 세대인 자신만의 특성을 거침없이 드러내왔다. 미디어아티스트 백남준이 자기 세대의 신문물인 TV와 방송 시스템을 활용했다면 김희천은 게임과 VR 등을 활용한다.
지난해 11월 29일부터 올해 2월 9일까지 서울 아트선재센터에서 진행되는 개인전 <탱크>에서는 김희천만의 특징이 온전히 드러났다. 김희천은 잠수부들이 시뮬레이션 훈련에 쓰는 ‘감각 차단 탱크’를 영상작품으로 만들었다. 암흑과도 같은 3층 전시장을 더듬어 통로를 따라가다 보면 관객은 영상을 마주하게 된다. 영상 속에서 그는 감각 차단 탱크에 들어가는데, 시각·청각·후각 등 신체의 감각이 사라져 감각 차단 탱크에서 온전히 자신의 정신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관람객의 시선도 작가와 같아 공감이 증폭된다. 관람객도 함께 가상인지 실제인지 헷갈리는 상황 속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김희천은 기술이 발달해 기술의 존재가 실제로 드러나지 않는 현상과 함께 이것이 인간의 계산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자율주행자동차 시대가 다가오는 지금, 시간이 신체를 감각할 기회를 점점 상실하게 될 수 있는 미래를 밀레니얼의 눈으로 바라봤다.

김동식 작가

정식으로 등단하지는 않았지만 반전을 거듭하는 독특한 짧은 소설로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작가가 있다. 김동식 작가(1985년생)는 2016년 5월, ‘오늘의 유머’ 사이트의 ‘공포게시판’에 ‘복날은 간다’라는 아이디로 처음 글을 쓰기 시작해 2~3일에 한 번씩 짧은 소설을 써냈다. 이렇게 써낸 무려 300편 이상의 작품은 지난 2017년 첫 단행본 <회색인간>으로 출간됐고, 독자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김 작가는 이후에도 꾸준히 출간을 하고 강연 활동을 이어가면서 독자들을 만나고 있다. 놀라운 점은 그가 글쓰기 공부를 한 적 없는 고졸 검정고시 출신의 성수동 주물공장 노동자라는 것이다. 김 작가는 “‘오늘의 유머’ 사이트의 ‘공포게시판’에서 미스터리한 글을 보는 게 취미였는데 용기 내 글을 한 번 쓰게 된 후 그 사이트 유저들의 댓글과 관심으로 계속 글을 쓸 수 있었다”고 말했다.
무인도 표류, 환생, 로또 당첨 등을 소재로 생각지 못한 에피소드를 풀어내는 그의 글 원천은 10년 이상의 공장 생활에서 얻은 잡생각이다. 오랜 시간 다른 사람과의 대화가 거의 없이 벽을 보며 단순 작업을 하면서 혼자 여러 가지 생각을 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가 정의하는 작가는 “한 명이라도 봐주는 글을 쓰는 이”이다. 블로그든 사이트든 글을 쓰는 곳과 상관없이 ‘누군가가 글을 봐준다면 나도 작가’라는 열린 사고를 바탕으로 무한한 상상력을 펼치고 있다.

클래식 음악 유튜브 ‘또모’(TOWMOO)

클래식 음악 콘텐츠는 전문가들의 연주와 인터뷰, 해설 영상이 대부분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어렵게만 느껴지는 클래식도 밀레니얼 세대와 만나면 쉽고 재밌어질 수 있다. ‘모바일 세대를 위한 음악인 콘텐츠’를 표방하는 클래식 음악 유튜브 ‘또모’가 대표적이다. 구독자 수 30만 명을 자랑하는 ‘또모’는 ‘피아노 전공생이 쳐본 가장 어려운 곡’이라는 콘텐츠로 조회 수 465만 건을 기록하는 등 클래식을 잘 모르는 이들에게 클래식을 확산하며 화제가 됐다. ‘베토벤처럼 귀가 들리지 않는 상태에서 피아노를 쳐본다면’과 같은 콘텐츠나 피아노, 현악기, 성악까지 클래식 음악에 대해 많은 이들이 궁금해했던 내용을 어렵지 않게, 재미있게 다뤘다.
‘또모’의 운영진은 세종대에서 피아노를 전공하는 백승준 대표(1998년생)를 비롯해 서울대, 연세대, 한양대 음대생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연주부터 영상 편집까지 직접 해 유튜브에 콘텐츠를 업로드한다. 이들의 목표는 클래식을 전혀 모르는 대중에게도 클래식을 흥미롭게 알려주고, 클래식 장벽을 낮추는 것. 운영진들은 유튜브의 댓글을 통해 콘텐츠를 즐기는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이들이 원하거나 궁금해하는 내용을 제작하는 등 활발하게 상호작용하고 있다.

오팔 세대

모델 김칠두

60대 모델 김칠두(1955년생)는 “나의 늙음에 감사한다”고 말한다. “늙었기 때문에 모델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젊은 시절에는 모델과는 전혀 상관없는 일을 하다가 2018년 3월 63세의 나이에 모델로 데뷔하면서 최근 시니어 모델의 대표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그는 어린 시절 모델 일을 하고 싶어서 기웃거리기는 했지만 결국 공사판 막노동꾼에서 생선장수, 순댓국밥집 사장까지 굴곡진 인생을 거쳤다. 2017년 11월 사업이 망하면서 망연자실해하던 찰나, 딸의 권유로 시니어 모델 학원을 다니면서 모델 일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우연히 모델이 된 그에 대한 세상의 반응은 생각보다 뜨거웠다. 현재 그의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는 7만 명이 넘었고, 방송 출연 섭외와 인터뷰 요청이 쏟아지고 있다.
그는 얼굴 주름이나 머리 염색을 하지 않은 백발 등 자연스럽게 늙어가는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려고 노력한다. 젊어 보이기 위해 억지로 만들어낸 모습이 아닌 자연스러움이 그가 사랑받는 비결 중 하나다. 그는 오팔 세대를 향해 무엇이든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또 자신의 장점을 살려서 할 수 있다면 도전해보라고 권한다. “도전도 안 하고 그냥 생각만 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해본들 안 되더라도 괜찮다”고 그는 말한다.

패션 유튜버 장명숙

장명숙(1952년생)은 우리나라의 첫 이탈리아 밀라노 유학생으로 유명 디자이너이자 바이어였다. 그가 개설한 유튜브 채널 ‘밀라논나’는 2개월 만에 20만 구독자를 모았다. 그가 유튜브를 통해 공유하는 라이프스타일에 20~30대는 열광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는 ‘매일 출근하는 지적인 여자를 위한 옷’ 같은 패션 팁을 선보이기도 하고, 일과 육아를 병행한 워킹맘으로서의 비법을 전하기도 하는 등 인생 상담에도 적극적이다. 패션업계 종사자였던 만큼 옷장에 화려한 의상이 가득할 것 같지만 자신의 아버지가 입었던 셔츠를 지금까지 가지고 있거나 미용실에 가지 않고 직접 머리 손질을 하는 검소한 모습도 인상적이다. 그는 우리나라 최초로 1978년 밀라노 유학길에 올라 패션 바이어이자 디자이너로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 한국-이탈리아 교류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이탈리아 정부로부터 기사 작위까지 받았다. 은퇴한 후에는 유튜브를 통해 자신의 경력과 지혜를 나누고 최근에는 <바다에서는 베르사체를 입고 도시에서는 아르마니를 입는다>를 출간하는 등 본인이 쌓아온 경험을 다양한 방식으로 젊은 세대와 공유하고 있다. 화려한 전직 디자이너의 면모를 보이기보다는 자신의 뜻과 꿈을 끝까지 지켜내기 위해 노력해온 굳건한 인생 선배의 진솔한 모습이 그가 사랑받는 비결 중 하나다.

여행 작가 임택

여행 작가 임택(1960년생)은 수입 오퍼상으로 지내온 인생 1막을 지나 여행 작가로의 삶을 새롭게 시작했다. 그가 여행 작가가 되기로 결심한 계기는 2012년 어느 날 서울 평창동에서 우연히 마을버스를 보고 나서였다. 힘들게 한 바퀴를 돌고 잠시 쉬는 것처럼 보였던 마을버스는 승객을 싣고 왔던 길을 또 내려갔다. 그 모습을 보고 임 작가는 문득 ‘우리의 인생이 마을버스와 무엇이 다를까?’라는 질문을 자신에게 던졌다. 직장과 가정을 오가며 가족을 부양하느라 진정으로 하고 싶었던 일을 평생 미루며 살아왔던 것은 아닌지 회의가 든 그는 새로운 도전에 나섰다.
임 작가는 폐차를 6개월 앞둔 마을버스를 타고 세계 일주를 떠났다. 마을버스에 ‘은수’라는 버스 회사의 이름을 달아주고 은수와 677일간 7만km 이상을 여행하는 여정을 시작했다. 마을버스로 세계 곳곳의 문의 열고, 그곳에서 만난 많은 사람들의 마음도 열었다. 그는 “한국을 비롯해 페루,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여행이 낳아준 아들과 딸들은 내 여행의 가장 큰 보물”이라고 말한다. 여행 작가로서의 삶을 아름답게 펼친 그는 2017년 책 <마을버스 세계를 가다>를 출간하고 강연·방송 활동 등을 통해 자신의 여행 이야기를 전하며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글 김현진_서울경제 기자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