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문화+서울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테마토크

12월호

코로나 위에서 서핑하듯 즐기는 예술

코로나19라는 전 지구적 재앙을 맞닥뜨린 지난 2020년이 불가항력적 쓰나미에 휩쓸린 듯 어지럽고 힘든 시기였다면, 2021년 미술계는 그 지진해일에서 간신히 빠져나와 조금씩 정신을 가다듬어 어느새 넘실대는 파도를 탈 줄 아는 ‘위드 코로나’로 전이하는 과정이었다.

코엑스 아티움 외벽미디어. 미디어아트 특성을 살려 도자기 등 오브제의 움직임을 담아냈다.
전시 작품은 이예승 작가의 <정중동, 동중동>이다.

예술로 다가온 디지털과 뉴미디어

미술 전시에서 파도타기를 즐기게 만든 일등 공신은 온라인과 뉴 미디어, 새로운 디지털 기술이었다.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거리두기 관람 정책에 따라 필수가 된 온라인 사전 예약 방식이 습관처럼 자리 잡았고, 인터넷을 통해 미술 작품을 관람할 수 있게한 온라인 뷰잉룸이 해외 교류 전시를 대체했다. 덕분에 상용화 초기 단계이던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이 빠르게 자리 잡았으며, 대체 불가능 토큰을 뜻하는 NFTNon-Fungible Token와 현실에서와 같은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 가상세계인 메타버스는 순식간에 일상 용어가 됐다. 대형 전광판에 불과했던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 아티움의 외벽 미디어는 다양한 작가의 최신작을 ‘나뿐만 아니라 우리가 함께’ 감상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이 됐다. 한국의 전통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AR기법을 적용한 이예승 작가의 <정중동, 동중동>은 도심 풍경에 색다른 변화를 선물했다. 코엑스 인근에 부착된 QR코드를 통해 대형 작품을 스마트폰 같은 손안의 미디어로 옮겨 담아 감상할 수도 있었다. 이곳은 5월 한 달간 영국 작가 데이비드 호크니의 신작 <해돋이>를 최초로 선보이며, 서울과 런던·뉴욕·로스앤젤레스·도쿄 등을 연결하는 글로벌 예술 플랫폼이 되는 등 삭막한 도시를 연중 밝히고 있다.
전국 각지에서 열린 격년제 국제 미술제인 비엔날레에서도 코로나 이후 달라진 풍경이 목격됐다. 2021년에 열린 비엔날레는 미디어아트·사진·디자인·공예·도자 등 장르별 특화가 두드러지는 데 주제 면에서는 ‘코로나 이후’라는 세계적 화두 아래 예술이 줄 수 있는 치유와 새로운 시작에 관해 이야기했다. 대구사진비엔날레·광주디자인비엔날레·청주공예비엔날레·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전남수묵비엔날레를 비롯해 강원국제트리엔날레가 열렸다. 출품작들은 팬데믹을 초래한 인간의 오만을 지적하면서도 고립과 격리의 기간을 보내며 얻은 깨달음, 공존의 가치와 새로운 미래 등을 속삭였다. 물론 여기서도 ‘언택트’(비대면) 관람객을 위한 ‘온택트’(온라인 이용 가능) 콘텐츠는 필수 요소였다. 특히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는 대중교통 내 영상매체, 미디어 캔버스 등 서울시 100여 곳에서 비엔날레 상영작을 다양하게 만날 수 있는 ‘유통망’ 프로젝트를 펼쳤다. 팬데믹 장기화에 따른 새로운 문화예술의 향유 방식을 경험하고, 예술이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유통 방식으로 지속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 자리였다.
공예·디자인 창작 레지던시인 신당창작아케이드 입주작가들이 4~10월까지 7개월간 릴레이 전시로 펼쳐 보인 <신당 파트너 프로젝트: 새로운 일상>은 코로나 이후의 뉴 노멀을 경험하게 한 대표적 전시였다. 서울 중구 마장로 서울중앙시장 지하에 있는 SASS갤러리를 찾아갔을 때, 사람은 없었다. 관객이 없는 게 아니라 안내 직원이 없었다는 게 더 정확하다. 무인 운영 방식의 갤러리에 마련된 작품 설명서를 살펴보며 더욱 작품에 집중해 빠져들 수 있었다. 코로나19로 단절된 사회적 관계를 예술로 치유한다는 내용으로 공모를 통과한 7팀의 작가들이 매달 새로운 기획전시와 온라인 참여 프로그램을 선보였고, 이들의 신작은 전시장뿐만 아니라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으로도 공개됐다. 젊은 작가들은 팬데믹 시대에 새롭게 전개될 여가와 여행 문화를 온라인 공간에서 다루는가 하면 QR코드를 통해 작가가 재해석한 방역 마스크를 AR필터로 착용해 보는 것도 가능하게 했고, 향·소리·식물 등을 통해 심신 안정을 도모하는 치유 시간도 마련했다. 서울 강남구 코리아나미술관이 기획한 국제 미술전 <프로필을 입력하세요>는 디지털 공간에서 생성된 ‘또 다른 자아’ 혹은 ‘부캐’를 이야기하며 메타버스 상용화의 시대가 일상으로 다가왔음을 이야기했다.

신당창작아케이드 입주작가 전시. 관객이 QR코드를 이용해 전시에 참여한다.

생태와 친환경에도 눈뜬 미술관

전시관 피크닉의 기획전 <정원만들기>는 종종 잊고 지내는 흙·땅, 소리 없이 피고 지는 풀·꽃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음을 정조준했다. 코로나를 겪으며 기후변화와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자각했고, 코로나 우울을 극복하는 데 반려 식물과 플랜테리어Planterior가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봄부터 가을까지 길고 느릿하게 전시를 이어가 계절의 변화를 눈으로 확인하며 “도시의 자연성을 회복시키는 장소로서 정원의 의미를 재조명”해 잔잔한 반향을 일으켰다. 부산현대미술관이 기획한 <지속 가능한 미술관: 미술과 환경>은 항공을 통한 작품 운송, 전시 기간에만 사용하고 버려지는 가벽과 포장 폐기물 등 그간 미술관이 쉬쉬했던 환경 파괴의 민낯을 그대로 드러냈다. 투박한 나무판자, 시트지 대신 손으로 쓴 안내 글 등 거칠지만 환경친화적인 전시에 도전했다.
재앙이었던 코로나가 예술 향유 방식의 확장, 미술이 기울여야할 또 다른 관심사의 발견이라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온 셈이다.

조상인 《서울경제》 미술전문기자 | 사진 서울문화재단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