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문화+서울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SOUL OF SEOUL

8월호

가장 애틋했던 그 여름으로

친구 몇 명과 후쿠오카 거리를 걷고 왔다. 조금은 급작스러운, 아주아주 오랜만의 여행이었다. 낮볕이 강하게 내리쬐더니 별안간 비가 한바탕 쏟아지고, 또다시 뜨겁게 달아올랐다. 우리는 사흘간 여름의 한복판에 있었다. 일상에서의 여름이란, 어떻게든 버티어 떠나보내야 하는 두려운 존재이지만, 도시의 여름을 대책 없이 온몸으로 맞이하고 보니 뭐 그럴 일이었나, 싶었다. 낮게 내려온 잿빛 하늘과 먹구름을 받치고 선 오래된 일본식 건물들, 친구들이 흔들며 걷던 알록달록한 우산과 젖어버린 운동화를 대신한 슬리퍼가 내는 소리들. 아주 경쾌하고 낭만적인 풍경으로 나는 이 여름을 두고두고 떠올릴 것이다.

어쩌면 아이 같은 마음으로 여름을 사랑해볼 수도 있다. 두 번째 생일도 채 맞지 않은 작은 아이가 자꾸만 밖으로 나가려 할 때마다 실시간 일기 예보를 확인하며 모자나 우비 따위를 챙겨 들고는 집으로부터 그리 멀어지지 않으려 애를 쓰지만, 역시나 뭐 그럴 일이었을까. 젖은 몸을, 익은 얼굴을 영원히 되돌리지 못하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여행에서 돌아오니 여름의 모든 순간을 멋지게 만끽하고 있는 아이가 보였다.

다른 계절보다 여름은, 일종의 공간감으로 다가온다. 여름이라는 문을 열고 들어서서 그 계절이 들려주는 장면과 이야기를 통과해 다시 다른 계절로 빠져나가는 느낌이라고 할까. 나의 지난 어느 여름을 들려준다면, 무슨 일이 있었는지 말로 설명하는 일보다 어떤 장소나 감촉, 온도나 기분을 떠올리는 일이 더 쉽고 자연스럽다.

영화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을 많은 이가 궁극의 여름 영화로 여기며 좋아하는 이유도 이와 비슷할 것이다. 여름 한 계절, 이탈리아의 어느 별장, 그리고 엘리오와 올리버. 영화의 설정은 간단하지만, 영화의 팬들이 손꼽는 장면마다의 감정의 결은 결코 단순하지 않다. 엘리오의 두근거림을 따라 흐르던 피아노곡들, 욕조에 나란히 걸린 수영복 두 개의 색감, 자전거를 타고 달리며 나눈 대화에 따라붙던 여운, 입맞춤의 순간, 엘리오가 올리버를 기다리던 밤의 온도…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의 수록곡 ‘Mystery of Love’는 듣는 이들을 단숨에 어느 먼 곳으로 데리고 간다. 각자가 품은 가장 애틋한 어느 여름으로.

‘Mystery of Love’와 비슷한 결의, 듣는 동안 몽글몽글한 마음 위로 어느 여름날을 지어 올릴 수 있는 곡들을 찾아 여름 플레이리스트를 만들었다. 네 곡, 11분짜리 플레이리스트로 이 여름을 나는 기분이다.

첫 번째는 첼리스트 존 헨리 크로퍼드John-Henry Crawford가 연주하는 브라질 작곡가 에이토르 빌라 로부스Heitor Villa-Lobos의 초기작 페케나 모음곡Pequena Suite W064 중 다섯 번째 곡 ‘Melodia’다. 빌라 로부스가 파리에 머무르며 쓴 곡으로 알려진 이 곡은 대중적인, 아름답고 편안한 첼로 선율과 피아노 반주로 이루어져 있는데, 존 헨리 크로퍼드의 어둑한 듯 그윽한 음색이 강렬한 몰입을 이끈다. 기어코 감정적 동요를 일으키고야 마는 마법 같은 연주.

노르웨이 작곡가 그리그의 서정 소품집Lyric Pieces Op.71 중 두 번째 곡 ‘Summer Evening’은 이 마법 같은 순간에 조금 더 머물 수 있게 도와준다. 프랑스 인상주의를 떠올리게 하는 멜랑콜리한 분위기를 유지하면서도, 각자의 개성이 배어 나온다.(빌라 로부스는 브라질, 그리그는 노르웨이의 민족적 색채를 드러낸 작곡가로 유명하다.) 피아니스트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Leif Ove Andsnes는 감정에 도취하지 않는 순수하고 섬세한 연주를 들려주는데, 그 터치가 어쩐지 알 수 없는 무언가를 그리워하게 하는 노스탤지어를 불러일으킨다.

새뮤얼 바버Samuel Barber의 목관 5중주를 위한 ‘여름 음악Summer Evening’ Op.31 중 3악장은 스트라빈스키가 그린 찬란한 여름의 풍경으로 가기 위한 징검다리다. 전체 곡은 12분 길이로 ‘느리고 게으르게’라는 지시어로 시작해 다섯 개의 목관 악기가 주고받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펼쳐 보이는데, ‘활기차게, 더욱 빠르게’라는 지시어로 1분 20초간 짧게 흐르는 3악장만 떼어 들으면 명랑한 여름이 금세 선명해진다.

스트라빈스키가 1938년에 완성한 ‘덤버턴 오크스Dumbarton Oaks’라는 제목의 협주곡 1악장에는 푸르른 생명력이 감돈다. 제목인 덤버턴 오크스는 워싱턴 교외에 있는 국제적 회의가 열리던 한 저택의 이름으로, 이후에는 한 미국인 부부가 이곳을 사들여 연주회가 가능한 공간으로 꾸몄다고 한다. 이곳을 운영하던 이들이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규모의 작품을 스트라빈스키에게 의뢰했고, 이에 스트라빈스키는 바로크 시대 합주협주곡 형식에 생동감 넘치는 리드미컬한 현대적 작곡 기법을 새겨 넣었다. 악보 어디에도 여름을 떠올리게 할 만한 단서는 없지만, 나는 이 곡으로 여름의 한복판으로 간다. 다신 없을 것 같은 여름의 생기가, 맑음이, 거칠 것 없는 나아감이 나를 활기찬 그곳으로 데려간다.

이 계절은 뛰어든 자들에게만 어떠한 충족감을 선사한다. 후회 없는 사랑을 한 엘리오처럼, 매일 문을 열고 달려 나가는 나의 아이처럼. 매끈한 사운드에 음악가들이 새겨넣은 뜨거운 무언가를 헤집으며, 또 금세 떠나려는 여름을 붙잡아 본다.

김호경 『플레이리스트: 음악 듣는 몸』 저자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