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공연 시장은 양적 성장을 이뤘지만, 세월호 여파로 관객수가 줄고 성장률도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공연기획사의 매출은 늘었지만, 대학로와 민간 공연장 매출은 크게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가 2014년 한 해 국내 공연예술 시장 실태를 분석한 ‘2015 공연예술실태조사’는 ‘양호한 양적 성장과 아쉬운 질적 성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공연예술실태조사는 문체부가 2007년부터 통계청의 승인을 얻어 매년(공연단체 매출은 2년에 한 번) 시행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2015년 6월부터 9월까지 공연작품의 창작(제작)을 담당하는 공연단체(2,284개), 공연작품의 유통(매개)을 담당하는 공연시설(1,034개), 공연행정기관(245개)을 대상으로 대인면접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해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공연시설 ±3.4%포인트, 공연단체 ±2.7%포인트이다.
덩치는 커지고
2014년 국내 공연단체와 공연시설의 매출 총합은 7,593억 원으로 2012년(7,130억 원) 대비 6.5% 증가했다. 공연시설 수는 1,034개, 공연장 수는 1,280개로 전년 대비 5.1%, 4.3% 늘어났다.
공연시설은 복합 시설 전체를 통칭하는 의미고, 공연장은 공연시설 내 실제 공연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의미한다. 예컨대 국립극장은 공연시설로, 국립극장 내 해오름극장과 달오름극장은 개별 공연장으로 집계된다. 공연시설과 공연장 수는 2007년 각각 662개, 891개에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4년 공연시설 종사자 수는 1만 2,669명(전년 대비 7.9% ↑)을 기록했다.
공연단체 수는 2,284개로 2012년 대비 8.3% 증가했고, 종사자 수는 5만 5,858명으로 9.9% 많아졌다. 전국 공연장에서 1년간 진행된 공연 건수는 총 4만 7,489건, 공연 횟수는 20만 228회로 전년 대비 각각 5.1%, 0.9% 늘어났다. 공연단체 또한 총 4만 5,308건의 작품을 무대에 올리고 총 11만 9,968회를 공연하며 2012년 대비 각각 16%, 1.8% 실적 증가를 보였다.
영양은 아쉽고
양적 지표는 늘었지만, 실질적인 시장 환경은 크게 둔화됐다. 공연시설 매출액은 3,68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9% 감소했다. 국공립 극장이나 문예회관 등의 공공시설은 1,835억 원으로 1.5% 소폭 증가했지만, 민간시설의 경우 1,854억 원으로 20.6%나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률도 눈에 띄게 떨어졌다. 2012년 29.81%였던 매출 성장률은 2014년 6.49%를 기록해 23.3%포인트나 줄었다. 세월호 사건과 브라질 월드컵 이슈로 관람객 수도 전년(3,766만명) 대비 5% 감소한 7,738명으로 집계됐다.
빈익빈 부익부
시장 주체별 매출 규모를 들여다보면 영양 불균형 상태가 극명하게 드러난다. 먼저 2014년 국내 공연단체 매출액은 3,904억 원으로 2년 전 조사와 비교해 16.2% 증가했다. 공연단체는 크게 국립, 공립(광역?기초), 민간 공연단체, 민간 기획사 등으로 나뉘는데 이 중 연극?뮤지컬 장르의 민간 기획사는 매출액이 2012년 대비 21.7% 늘어나며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민간 기획사는 공연단체 총 매출액의 대부분인 63.5%를 차지했다. 문체부는 “매출 규모 100억 원대 이상의 대형 기획사의 실적 개선이 컸던 것 같다”고 추정했다. 다만, 매출액은 벌어들인 돈 중 각종 비용을 제외하기 전 금액인 만큼 실질적인 이익과는 거리가 있다.
반면 공연장은 관객 수 감소의 직격탄을 맞아 매출이 크게 떨어졌다. 대학로 소극장을 비롯한 민간 공연시설의 총 매출액은 2,335억 원으로 2012년 대비 20.6%나 쪼그라들었다. 공공시설 역시 2,335억 원을 기록해 1.5%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가동률 격차는 여전
한편, 시설 특성별 공연장 가동률도 여전히 격차가 커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공연장 가동률은 공연일수와 준비일수, 기타 행사일수를 합한 값을 1년(365일) 중 시설물 점검 일수와 연간 휴관일을 제외한 일자로 나눠 100을 곱한 수치로, 1년 중 공연장을 얼마나 실제 공연을 위해 활용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2014년 전체 공연장 가동률은 67.4%로 2013년 72.5%에서 크게 줄었다. 중앙정부 운영 공연장과 대학로 공연장은 각각 99.4%, 94.5%, 대학로 외 민간 공연장은 75.2%의 가동률을 보였지만, 지자체 문예회관은 55.4%에 그쳐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유통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보여줬다.
공연 횟수↑ 관객 수↓
공연 횟수는 늘었지만, 관객 수는 줄어들었다. 대내외적 이슈로 위축된 소비시장이 완전히 회복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2014년 공연시설에서 올린 공연 건수(작품 단위)와 횟수(회차 단위)는 각각 4만 7,489건, 20만 228회로 5.1%, 0.9% 늘어난 반면 관객수는 3,766만 7,737명으로 5.0% 감소했다.
- 글 송주희
- 서울경제신문 문화?레저부 공연 담당 기자
- 도표 및 그래프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2015 공연예술 실태조사 (2014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