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문화+서울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사람과 사람

8월호

광복 80주년,
서울에서 만나는 빛나는 장면들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 곳곳에서 독립의 역사와 광복의 의미를 예술로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문화예술 행사가 펼쳐진다. “독립, 너의 미래를 위해서였다”라는, 독립운동가 양우조·최선화 부부가 쓴 일기 모음 『제시의 일기』 속 글귀에서 출발한 이번 행사는 과거의 역사적 기억을 오늘의 감각으로 다시 연결하고, 미래 세대에 그 가치를 예술로 전달하기 위해 준비된 자리다. 노들섬과 대학로극장 쿼드, 그리고 5개 권역별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등에서 진행되는 전시·공연·체험을 통해 우리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우리의 내일을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

전시·행사 | 노들섬을 가득 채운 태극기 바람

노들섬 복합문화공간에서는 8월 9일 오후 7시 30분에 열리는 광복 80주년 기념식을 시작으로, 8월 9일부터 17일까지 광복 주간에 태극기를 소재로 한 전시와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기념식에서는 ‘큰별쌤’으로 잘 알려진 최태성 강사의 진행 아래, 서울시소년소녀합창단의 합창, 뮤지컬 <영웅> 갈라 공연 등 광복의 의미를 다채롭고도 깊이 있게 풀어낸 프로그램이 이어진다.

노들섬 라이브하우스 외벽에는 “당신에게 광복은 어떤 의미입니까?”라는 질문과 함께, 1919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서울 진관사 태극기’가 래핑 전시된다. 동시에 야외 노들스퀘어에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태극기인 ‘데니 태극기’를 포함해 16개의 대형 태극기가 연대순으로 설치되고, 잔디마당에는 초대형 태극기 설치미술 작품이 전시돼 울림을 선사할 예정이다. 아울러 노들섬 1층 실내 공간에서는 태극기와 함께한 우리나라 근현대사 사진전과 여성 독립운동가 80명의 초상화 등 독립운동가에 대한 감사를 느낄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공연 | 과거의 100년이 미래의 100년을 이어간다 <열차 37호>

서울과 중앙아시아의 예술인이 함께 만든 뮤지컬이 대학로 무대에 오른다. 8월 14일부터 15일까지 대학로극장 쿼드에서 공연되는 <열차 37호>는 1937년 중앙아시아에 강제로 이주당한 고려인이 새로운 땅에 정착해 극장을 세우고 해방을 염원하며 살아온 이야기를 담고 있다. 대사 없이 오직 노래로만 전개되는 송스루 뮤지컬로, 한 세기 가까이 이어진 디아스포라의 기억을 무대 위에 펼쳐낸다.

교육 | 내가 만든 태극기, 우리의 광복 이야기 <나의 태극기, 우리의 □□□>

양천·용산·강북·서초·은평 등 서울시 5개 권역별 문화예술교육센터에서는 7월 15일부터 8월 16일까지 그림작가 마키토이와 협업해 제작한 DIY 체험 프로그램을 상설 운영한다. 태극기의 상징인 건·곤·감·리를 해체하고 재구성해 예술 작품으로서 태극기를 새롭게 만들어본다. 이를 통해 태극기의 변천사와 광복절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게 한다. 선착순 1만 명까지 누구나 별도의 사전 신청 없이 각 센터를 방문해 현장에서 참여할 수 있다.

나혜린 서울문화재단 홍보마케팅팀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