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문화+서울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문화+서울

문화+서울

  • 지난호 보기
  • 검색창 열기
  • 메뉴 열기

테마토크

9월호

서울 거리, 예술이 되다
<서울거리예술축제 2020> & <거리예술 캬라반>

<서울거리예술축제 2020>과 ‘거리예술 시즌제’에서 올해부터 <거리예술 캬라반>으로 바뀐 두 거리예술 축제가 9월과 10월에 진행된다. 이번 축제는 낯선 일상을 마주한 우리에게 축제의 본질을 알려주는 특별한 시간으로 기억될 것이다.
축제의 열기는 번지되 전염병은 번지지 않길 바라며….

서울시 대표 거리예술축제 서울거리예술축제 2020

‘낯선, 일상’ <서울거리예술축제 2020>

낯선, 일상. <서울거리예술축제 2020>의 주제다. 올해 서울거리예술축제는 9월 18일(금)부터 10월 4일(일)까지 서울 도심 일원(종로, 을지로 등)에서 열린다. 기간은 길어지고, 장소는 확장됐다. 안전한 축제를 위해 내린 결정이다.

일상의 변화, 축제의 변화

2020년은 익숙하고 당연하게 생각하던 일상에 많은 변화가 일어난 한 해다. 외출할 때 꼭 챙겨야 하는 마스크, 온라인 등 비대면 방식으로 대체되는 일터와 교실, 쉽지 않은 외출, 올해는 기약할 수 없는 해외여행 등 일상이 낯설어졌다. 이런 변화로 일상은 불편해졌고, 미래는 불안해졌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낯설어졌기 때문에 일상을 되돌아보게 됐고, 주변을 재발견하고 새로운 도전을 마주하게 됐다. 두 가지 면을 가진 ‘낯선, 일상’은 거리예술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거리예술은 일상의 공간을 예술로 낯설게 만들어 그 시간을 특별하게 한다. 올해 서울거리예술축제는 일상을 낯설게 다시 보고 이를 공감하며 거리예술의 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

그럼에도 축제는 계속된다

코로나19로 올 초부터 많은 행사가 연기되거나 취소됐다. 축제도 예외일 순 없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이기 때문에, 안전하게 축제를 만드는 방법을 생각해야 했고, 축제에 변화를 줘야 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축제의 본질을 놓치지 않기 위해, ‘전염병이 창궐하는 시대에 우리는 왜 서울거리예술축제를 하려 하는가?’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던졌다. ‘거리예술’은 생활 공간을 무대로 바꾼다. 일상과 예술 사이의 벽을 허물고 무심히 지나던 장소를 새롭게 만든다. 그렇게 함께 어우러져 공간을 누리고 기억을 나눈다. 거리예술은 ‘일상의 공간에서 예술로 연대’하는 것이다. 그리고 ‘축제’는 정해진 기간에 축제가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를 밀도 있게 공유하는 시간이다. 이것을 지키면서 축제의 방향성을 찾는다면 안전하게 축제를 진행하는 새로운 장을 열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래서 4일이던 일정을 17일로 늘리고, 장소는 기존 서울광장·청계광장에서 그 주변으로 확대했다. 종로, 을지로와 같은 인근 지역 일대와 성곽이 보이는 창신동, 한강에 있는 선유도 등 다양한 장소에서 약 3주 동안 서울의 공간을 재발견하는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1 <아직, 있다!>(프로젝트 외)
2 <지게: 꾼>(아이모멘트)

축제의 도시 탐색 1 서울의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종로와 을지로

서울은 긴 역사만큼 공간마다 여러 이야기가 담긴 곳이다. 새로운 장소를 찾으면서 우선 고민한 곳은 서울의 지난 시간과 현재가 공존하는 ‘종로와 을지로’다. 역사적으로도 줄곧 서울의 중심이었던 이곳은 광복 이후 가장 먼저 개발된 곳이기도 하다. 그중에서도 세운-대림-인현-진양상가로 이어지는 중구 일원은 바쁘게 살아온 생활의 터전에 켜켜이 시간의 때가 묻어 있는 곳이자, 오늘날 도시의 모순을 드러내는 장소다. 200L 쓰레기봉투를 통해 인간의 쓸모와 노인에 대한 문제의식을 담아내는 <200 LITTER>(로맨틱용광로), 커다란 짐을 짊어진 배우들의 여정에서 도시인들 삶의 무게를 들춰내는 <지게: 꾼>(아이모멘트), 지금은 존재하지만, 미래에는 사라질 것들에 대한 엉뚱한 상상을 관객과 소통하며 그려보는 <미래, 도시>(우주마인드프로젝트), 전염병 시대에 한없이 연약하고 위태로운 우리 스스로에게 위안과 치유의 경험을 건네는 <셀프 마사지사>(비쥬얼씨어터 꽃) 등 우리의 현재 모습과 마주할 수 있는 주제를 담은 공연을 주로 선보인다.

축제의 도시 탐색 2 주민들 삶의 소리가 들리는 창신동 골목

깎아지른 듯한 화강암 채석장 절벽 풍경이 인상적인 ‘창신동’은 동대문시장과 가까워 봉제산업이 발달해 온 곳으로, 높다란 언덕 사이에 돌고 도는 재봉틀 소리와 원단을 실은 오토바이 소리가 아직 골목을 채우고 있다. 인터뷰를 통해 주민들의 삶과 소리를 기록하고 세대별 무용수들의 움직임으로 창신동 곳곳을 여행하는 <아직, 있다!>(프로젝트 외), 깎여 나간 돌산 아래 사람들의 환희와 비애를 노래에 담아내는 <돌멩이 캔디>(제너럴쿤스트)를 비롯해, 종로와 낙산을 중심으로 서울시민의 이야기를 담은 거리 콘서트 <서울살이>(음악그룹 더튠) 등 동네와 사람들의 이야기를 좀 더 가까이에서 담아낸 공연을 만날 수 있다.

3 <200 LITTER>(로맨틱용광로)
4 <도시벌집>(문화로 도도다)

축제의 도시 탐색 3 서울의 숨겨진 공간 캠벨 선교사 주택

이번 축제를 통해 시민에게 선보이는 사직동 ‘캠벨 선교사 주택’은 구한말 서울에 파견된 선교사 조지핀 캠벨이 살던 주택으로 석재 건축물과 넓은 정원이 인상적인 곳이다. 여기에서는 ‘안녕! 우리집’을 소주제로 극단 사다리의 <내 친구 양말목> <고재경 마임>(마임공작소 판), 테이블 오브제극 <무니의 문>(작은극장H), 1인 관객을 위한 관객 참여형 팝업북 연극 <몬몬 읽기>(정결) 등 인형극·무용·서커스 등 다채로운 장르와 형식의 가족 대상 공연이 관객을 맞이한다.

축제의 도시 탐색 4 휴식과 쉼의 공간 선유도
정수시설이었던 건물을 자연과 어우러진 모습으로 개방해 시민들의 쉼터가 돼주는 ‘선유도’에서는 좀 더 편안하게 관객과 만날 수 있는 작품들이 채워진다. 일상의 기억을 담은 사물의 드로잉을 선유도 내 가설 갤러리에서 증강현실로 만날 수 있는 관객 참여형 드로잉 퍼포먼스 <사물들의 우주>(강제욱), 쉴 틈이 필요한 도심 속 우리에게 서울의 하늘을 바라보는 휴식과 쉼을 주는 <도시벌집>(문화로 도도다)과 서커스 공연 두 편 <잇츠 굿>(봉앤줄), <아슬>(포스)이 준비 중이다.
축제의 프로젝트 낯선 일상 속 변화한 서울광장의 모습
매년 북적이던 서울광장은 축제의 주제를 집약적으로 담은 기획제작 프로그램 <84시간>으로 전염병 시대에 축제가 제안하는 새로운 모습의 광장을 드러낸다. 서울광장 한가운데 세워진 집에서 4일 동안 살아가며 외부로부터 고립된 예술가는 새롭게 작동하는 질서를 경험하고, 단절되고 유예된 시간을 통해 생존을 위한 방법을 체득해 간다. 고립된 예술가의 모습을 통해 관객과 현시대에서의 생존, 환경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새로운 방식의 비대면 해외 교류를 통한 공연 프로그램
물리적 초청이 어려운 시기에 비대면 방식으로 국내 공연자들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선보이는 새로운 제작 방식의 국제 교류 신작도 소개된다. <우리는 두려워한다, We Fear>는 스페인의 조르디.DR과 에바.MF의 장소 특정형 작품으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주제로 한 그들의 에피소드를 한국의 작가들(움직임·사운드·영상)과 발전시켜 죽음 이후의 ‘분해·해체·부패’에 대한 새로운 에피소드를 선보인다. 한국 작가들의 실연과 스페인 작가의 온라인 참여, 전시·설치가 특정 공간에서 함께 진행된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으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가제)>는 프랑스 극단 아르펑터가 한국을 리서치하던 중 발견한 서울의 기억과 장소성을 기반으로 용산역과 프랑스의 마르세유 역 사이를 넘나드는 물리적인 움직임 없는 여행을 제안하는 작품이다. 멀리 떨어져 있음이 어떻게 우리를 함께하게 만들고, 부재가 어떻게 우리를 더욱 존재하게 만드는지 질문을 던진다.
재난 이후, 거리예술의 방향성에 대한 예술가들의 고민이 담겨 있는 기획 공모 ‘아주 가까운 거리’의 다양한 프로젝트인 <이미터> (신현아), <우리 도시 좀 봐>(Bruno & Loic), <그림자 산책> (이이난), <표류백화점>(허나영), <피켓라인>(제너럴쿤스트), <거리예술기록보관소>(위워크인투) 역시 주목할 만한 올해 축제의 한 축이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사전 예약제로 운영되고, 일부는 온라인을 통해 공개된다. 상세 정보는 9월 초부터 서울거리예술축제 누리집(ssaf.or.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글 최성희_서울거리예술축제 추진단 홍보PD
사진 제공 서울문화재단

5 <피켓라인>(제너럴쿤스트)
6 <숨, 자장가>(보이스씨어터몸MOM소리)_2020 거리예술 캬라반

2020 거리예술 시즌 프로그램 거리예술 캬라반

새로운 이름, <거리예술 캬라반>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에서 6년 동안 진행해 온 ‘거리예술 시즌제’도 <서커스 캬라반>과 마찬가지로 올해부터 <거리예술 캬라반>이라는 이름으로 개편해 이전보다 더 다양한 공간으로 시민들을 초대한다.
더 다양한 공간에서 시민들과 만나다
<거리예술 캬라반>은 9월 둘째 주부터 10월 둘째 주까지 모든 주말과 공휴일에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서울숲, 선유도공원 등 인근 공원과 서울시의 주요 재생시설 및 성과시설인 ‘잘생겼다! 서울’ 공간 중 평화문화진지, 돈의문 박물관 마을, 서울로7017에서 진행된다. 참가 작품은 공개 모집을 통해 예년보다 많은 5개의 신작 <나무위의 둥지>(The Prayer), <삐리삐리 삐리릿!>(프로젝트 외), <아프리카, 어디까지 가봤니?>(아프리칸댄스컴퍼니 따그), <우리가 진짜 대통령>(에스꼴라 알레그리아), <제네스>(살거스)를 포함해 총 15개 작품을 선정했고, 서울문화재단 축제팀에서 주관해 서울시 대표 B-boy단 엠비크루와 협업으로 탄생한 신작 <마당>까지 총 16개의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거리에서 거리 두기
코로나19 전염병의 장기화가 예상되는 상황 속에서 진행하는 <거리예술 캬라반>은 예술가와 시민의 안전한 공연 관람을 위해 ‘거리 두기 관람’을 준비하고 있다. 먼저 공연장에 준비된 ‘방역 부스’를 찾아 문진 기록, 발열 체크, 손 소독제 사용을 마친 후에 거리를 두고 설치한 대형 튜브에 앉거나 진행요원들의 안내에 따라 1m 이상 떨어져 공연을 관람하게 된다.
글 최호범_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
사진 제공 서울문화재단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축제의 일정이 변경, 연기 또는 취소될 수 있습니다.
위로 가기

문화+서울

서울시 동대문구 청계천로 517
Tel 02-3290-7000
Fax 02-6008-7347